[1471] ◈ 嗚 呼 痛 哉 (오호통재)【한자】 탄식할 오 / 부를 호 / 아플 통 / 어조사 재【의미】 ‘아! 애통하도다’라는 뜻으로, 원통하고 안타까운 슬픈 탄식의 심정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감탄(感歎) 표현의 의미.【유의어】▶ 嗚呼哀哉 (오호애재) : 아! 슬프구나.【字意】◎ 嗚(오) 탄식하는 소리로 ‘감탄사’ 역할을 함. 烏(오)는 발음. ◎ 呼(호) 오라고 ‘부른다’는 의미에서 ‘호통치다’나 ‘숨쉬다’, 또 감탄사 ‘아!’ 등 파생. ‘乎(호)’는 발음. ◎ 痛(통) ‘병(녁)’부수는 모두 질병과 관련된 글자. 疾病(질병). ◎ 哉(재) 입으로 하는 말이 끊어지는데 사용하는 ‘어조사’의 의미로 쓰임. 口(구)를 제외한 부분은 발음 (재)와 ‘창으로 끊는다’의 의미까지 함께 포함하고 있음.
[1472] ◈ 玉 昆 金 友 (옥곤금우)【한자】 구슬 옥 / 형 곤 / 쇠 금 / 벗 우【의미】 옥 같은 형과 금 같은 아우라는 뜻으로, 남의 형제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玉(옥) 구멍이 뚫린 옥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王(왕)’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 昆(곤) 태양 아래 여럿이 나란히 있다는 의미에서 ‘함께’의 의미를 생성 후에 ‘자손’과 ‘맏’의 의미에서 ‘형’의 뜻을 파생함. ◎ 金(금) 땅 속에서 금속이 드러나 있는 모양에 발음 ‘今’을 더함. 금속의 대표격으로 사용되고 성씨에서는 (김)으로 발음됨. ◎ 友(우) 두 개의 손이 서로 맞잡고 있는 모양에서 가까운 친구 사이를 의미함.
[1473] ◈ 玉 骨 仙 風 (옥골선풍)【한자】 구슬 옥 / 뼈 골 / 신선 선 / 바람 풍【의미】 옥 같은 골격에 신선 같은 기풍이라는 뜻으로, 살갗이 희고 고결하여 신선과 같은 풍채를 지닌 사람을 의미함.【유의어】▶ 仙風道骨 (선풍도골) : 신선의 기풍에 도인의 골격.【字意】◎ 骨(골)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 ◎ 仙(선) 산에 살며 不老長生의 도를 닦는 사람의 의미로 ‘신선’이라 함. ◎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오호통재, 옥곤금우, 옥골선풍 - 교본파일(49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74] ◈ 屋 上 架 屋 (옥상가옥)【한자】 집 옥 / 위 상 / 시렁 가 / 집 옥【의미】 지붕 위에 지붕을 더한다는 뜻으로, 물건이나 일을 부질없이 거듭함을 이르는 말. 【유의어】▶ 屋下架屋 (옥하가옥) : 지붕 밑에 또 지붕을 더함. 흉내만 내고 발전이 없음.【字意】◎ 屋(옥)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집’의 의미로 사용됨. ◎ 上(상)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 架(가) 물건을 걸어두거나 올려놓는 기구인 ‘시렁’의 의미에서 후에 얽어 ‘만들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加(가)’는 발음
[1475] ◈ 玉 石 俱 焚 (옥석구분)【한자】 옥 옥 / 돌 석 / 함께 구 / 불사를 분【의미】 옥과 돌이 함께 불탄다는 뜻으로, 좋고 나쁨의 구별 없이 함께 해를 입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유의어】▶ 玉石俱碎 (옥석구쇄) : 옥과 돌이 함께 부서짐▶ 玉石同沈 (옥석동침) : 옥과 돌이 함께 가라앉음.【字意】◎ 玉(옥) 구멍이 뚫린 옥 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王(왕)’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 石(석)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 俱(구) 함께 같아한다는 의미. ‘具(구)’는 발음 역할. ◎ 焚(분) 숲에 불을 놓아 사냥한다는 의미에서 ‘불사르다’는 의미 파생
[1476] ◈ 玉 石 混 淆 (옥석혼효)【한자】 옥 옥 / 돌 석 / 섞일 혼 / 뒤섞일 효【의미】 옥과 돌이 뒤섞여있다는 뜻으로, 선악의 구별 없이 뒤섞임을 비유하는 말.【유의어】▶ 玉石同匱 (옥석동궤) : 옥과 돌이 같이 함에 들어있음.▶ 魚目混珠 (어목혼주) : 물고기의 눈과 구슬이 섞여있음.【字意】◎ 混(혼) 물 속에 뒤섞여 혼란스러운 상태를 의미. ◎ 淆(효) 뒤섞여 어지러워지고 흐리다는 의미 생성. ‘肴(효)’는 발음 역할.▣ 옥상가옥, 옥석구분, 옥석혼효 - 교본파일(49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77] ◈ 沃 野 千 里 (옥야천리)【한자】비옥할 옥 / 들 야 / 일천 천 / 거리 리【의미】 비옥한 들이 천 리라는 뜻으로, 기름져 농사가 잘 되는 비옥한 평야가 한없이 넓게 펼쳐져 있다는 의미.【관련어】▶ 門前沃畓 (문전옥답) : 문 앞의 비옥한 논.【字意】◎ 沃(옥) 본래 논에 물을 대는 의미에서 후에 ‘비옥하다’는 의미를 파생함. ◎ 野(야) 밭 주변의 ‘들판’의 의미에서 후에 ‘거칠다’ 등의 의미 파생. ◎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숫자 ‘일천’을 의미함. ◎ 里(리) 농사지을[田] 땅[土]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 의미와 후에 구획을 의미한 ‘거리’ 단위로 사용됨.
1478] ◈ 屋 烏 之 愛 (옥오지애)【한자】 집 옥 / 까마귀 오 / 어조사 지 / 사랑 애【의미】 지붕 위 까마귀의 사랑이라는 뜻으로, 그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도 귀엽게 보인다는 의미에서 편애(偏愛)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속담】▶ 아내가 예쁘면 처갓집 막뚝에도 절을 한다.【字意】◎ 屋(옥)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집’의 의미로 사용됨. ◎ 烏(오) 온 몸이 검은 까마귀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눈까지 새까맣게 표현해 눈을 생략함. ‘火(화)’ 부수에 속한 것은 자형에 따른 분류임. ◎ 愛(애) 위쪽과 아래쪽이 사람의 손 모양으로 두 손으로 마음을 전달해 준다는 의미에서 '마음으로 전해준다'는 의미로 확대되어 '아끼다', '사랑하다'는 의미 파생.
[1479] ◈ 屋 下 架 屋 (옥하가옥)【한자】집 옥 / 아래 하 / 시렁 가 / 집 옥【의미】 지붕 아래에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흉내만 내고 발전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屋上架屋 (옥상가옥) : 지붕 위에 지붕을 더 만듦.【字意】◎ 屋(옥) 건축물의 지붕을 강조한 것에서 후에 ‘집’의 의미로 사용됨. ◎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架(가) 물건을 걸어두거나 올려놓는 기구인 ‘시렁’의 의미에서 후에 얽어 ‘만들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加(가)’는 발음▣ 옥야천리, 옥오지애, 옥하가옥 - 교본파일(49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0] ◈ 溫 故 知 新 (온고지신)【한자】 따뜻할 온 / 옛 고 / 알 지 / 새 신【의미】 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안다는 뜻으로, 과거의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리와 가치를 발견하고 실현해 나간다는 의미. [論語(논어)]【관련어】▶ 法古創新 (법고창신) : 옛 것을 법 삼아 새 것을 창조함【字意】◎ 溫(온)온천의 의미에서 따뜻하고 온화하다는 의미 파생함. ◎ 故(고) 지나간 옛날의 의미인데, 이유나 까닭이 있는 연고의 의미. ◎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新(신) 나무를 도끼로 찍어 다듬은 모양에서 ‘새로운 재목’의 의미 생성
[1481] ◈ 溫 恭 自 虛 (온공자허)【한자】 따뜻할 온 / 공손할 공 / 스스로 자 / 빌 허【의미】 온화하고 공손하며 스스로 겸허하다는 뜻으로, 안색을 부드럽게 하고 행실을 삼가고 겸허하게 스승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자기 고집을 하지 않는 일의 의미.【유의어】▶ 溫恭直諒 (온공직량) : 온화 공경하며 정직 정성스러움.【字意】◎ 恭(공)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공손함’의 의미. ‘共(공)’은 발음. ‘敬(경)’은 본질적인 의미인 ‘공경’이고, ‘恭(공)’은 실천적인 의미의 ‘공손’임. ◎ 自(자)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의 의미 파생. ◎ 虛(허) 범의 다리를 2개만 표현해서 비다, 없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1482] ◈ 溫 如 玉 (온여옥)【한자】 따뜻할 온 / 같을 여 / 옥 옥【의미】 온아(溫雅)하기가 옥과 같다는 뜻으로, 군자(君子)의 덕의 아름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玉(옥) 구멍이 뚫린 옥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王(왕)’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온고지신, 온공자허, 온여옥 - 교본파일(49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3] ◈ 溫柔敦厚 (온유돈후)【한자】 따뜻할 온 / 부드러울 유 / 도타울 돈 / 두터울 후【의미】 온화하고 부드럽고 도탑고 두텁다는 뜻으로, 성품이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인정이 두터워 유화하고 성실함을 의미. [= 溫厚(온후)]【유의어】▶ 溫恭自虛 (온공자허) : 온화하고 공손하며 스스로 겸허함.【字意】◎ 溫(온)온천의 의미에서 따뜻하고 온화하다는 의미 파생함. ◎ 柔(유) 창{矛}의 자루로 쓰는 나무{木}은 부드럽고 연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부드럽다’, ‘순하다’는 의미 도출. ◎ 敦(돈) 攴(복)으로 인위적인 힘을 가해 모든 일을 충실하게 처리한다는 의미에서 ‘돈독하다’는 의미 생성. ◎ 厚(후) 두텁게 위에서 덮고 있는 의미에서 ‘두텁다’는 의미 생성
[1484] ◈ 溫 凊 定 省 (온정정성)【한자】 따뜻할 온 / 서늘할 정 / 정할 정 / 살필 성【의미】 따뜻하고 서늘하게 해드리며, 정해드리고 살펴본다는 뜻으로,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리며, 밤에는 잠자리를 펴드리며 아침에는 문안을 드린다는 부모를 섬기는 자식의 기본적인 도리의 의미.【원문】▶ 爲人子之禮 冬溫而夏凊 昏定而晨省. <禮記(예기)>【字意】◎ 凊(정) ‘서늘하고 신선하다’는 의미. ‘靑(청)’은 발음 요소. ◎ 定(정) 집안의 물건들을 잘 정돈한다는 의미에서 ‘정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正은 발음. ◎ 省(성) 작은 것을 상세히 살펴본다는 의미에서 ‘살피다’는 뜻 생성. 작게 줄인다는 의미에서 ‘덜다’는 뜻도 파생.
[1485] ◈ 甕 算 畵 餠 (옹산화병)【한자】 독 옹 / 셈 산 / 그림 화 / 떡 병【의미】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꿈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동의어】▶ 畵中之餠 (화중지병) : 그림의 떡.【字意】◎ 甕(옹) 옹기그릇인 ‘독’의 의미. 雍(옹)은 발음 요소.◎ 算(산) 계산에 사용하는 대나무 등으로 만든 ‘산대’의 의미에서 ‘세다’는 뜻을 생성함. 아랫부분은 발음 요소.◎ 畵(화) 밭의 경계를 긋다는 의미에서 사물의 경계나 한계를 정한다는 뜻 생성. 나중에 그림, ‘그리다’ 의 뜻으로도 사용. ‘긋다’는 의미는 劃(획)과 통용. ◎ 餠(병) 밀보리 등으로 만든 ‘떡’의 의미. ‘幷(병)’은 발음.▣ 온유돈후, 온정정성, 옹산화병 - 교본파일(49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6] ◈ 蝸 角 之 爭 (와각지쟁)【한자】 달팽이 와 / 뿔 각 / 어조사 지 / 다툴 쟁【의미】 달팽이 뿔의 싸움이라는 뜻으로, 달팽이 두 촉수 위에 있는 촉(觸)과 만(蠻) 두 나라가 영토를 다툰다는 고사에서 보잘 것 없는 다툼의 의미로 사용됨. <莊子(장자)>【유의어】▶ 蠻觸之爭 (만촉지쟁) : 만과 촉의 싸움.▶ 自中之亂 (자중지란) : 한패 속에서 일어나는 싸움.【字意】◎ 蝸(와) 달팽이나 고둥의 의미. ◎ 角(각) 뿔 모양을 본떠 ‘모난 것’, ‘겨루다’의 의미 파생. 角逐(각축) ◎ 爭(쟁) 하나의 물건을 놓고 서로 다투는 모양을 의미함.
[1487] ◈ 臥 龍 鳳 雛 (와룡봉추)【한자】 누울 와 / 용 룡 / 봉황 봉 / 병아리 추【의미】 누워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영웅(英雄)이 아직 세상에 나타나지 않고 숨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伏龍鳳雛(복룡봉추)]【반의어】▶ 飛龍乘雲 (비룡승운) : 용이 구름을 타고 하늘에 오름.【字意】◎ 臥(와)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人’과 합해서 만듦. ◎ 龍(룡)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鳳(봉)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황(凰)’과 호응됨. ◎ 雛(추) 병아리 같은 새의 새끼를 의미함. 왼쪽부분은 발음 역할.
[1488] ◈ 瓦 釜 雷 鳴 (와부뇌명)【한자】 기와 와 / 가마 부 / 우레 뢰 / 울 명【의미】 흙으로 만든 솥이 우레와 같은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현사(賢士)가 때를 얻지 못하고 우매(愚昧)한 자가 높은 지위에 앉아 큰 소리를 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瓦(와) 기와가 서로 얽혀있는 모양이나 질그릇의 의미에서 ‘기와’, ‘실패’, ‘방패’ 의미 생성. ◎ 釜(부) 발이 없는 큰솥의 의미에서 솥의 범칭으로 사용됨. ◎ 雷(뇌) 본래 ‘밭갈피(뢰)[田 세 개]’에서 현재의 하나로 변화되어 발음부호 역할. 기상현상 하나로 ‘雨(우)’부수에 속함. ◎ 鳴(명) 새가 입으로 지저귀는 의미를 나타내, 새가 ‘운다’는 의미 생성. 사람이 우는 경우는 ‘泣(읍)’이나 ‘哭(곡)’을 사용함.▣ 와각지쟁, 와룡봉추, 와부뇌명 - 교본파일(49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89] ◈ 臥 薪 嘗 膽 (와신상담)【한자】 누울 와 / 섶나무 신 / 맛볼 상 / 쓸개 담【의미】 섶나무에 눕거나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 위해 온갖 괴로움을 참으면서 기다림을 비유하는 말.【고사】▶ 오왕(吳王) 부차(夫差)의 臥薪과 월왕(越王) 구천(句踐)의 嘗膽 고사.【유의어】▶ 切齒腐心 (절치부심) : 이를 갈고 마음을 썩힘.【字意】◎ 臥(와)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人’과 합해서 만듦. ◎ 薪(신) 섶나무나 땔나무의 의미. ‘新(신)’은 발음 역할.◎ 嘗(상) 음식을 먹어본다는 ‘맛보다’에서 ‘경험하다’까지 파생함. ◎ 膽(담) 쓸개의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
[1490] ◈ 臥 遊 江 山 (와유강산)【한자】 누울 와 / 놀 유 / 강 강 / 산 산【의미】 누워서 강산을 유람한다는 뜻으로, 산수를 그린 그림을 보고 즐김을 비유하는 것.【참고】▶ 臥遊 (와유) : 집에서 명승이나 고적 그림을 감상함.【字意】◎ 臥(와)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人’과 합해서 만듦. ◎ 遊(유) 즐겁게 지내면서 ‘논다’는 의미. ◎ 江(강) 물이 줄기를 이루어 흐르는 것. 주로 중국의 남쪽 지방의 물줄기를 江(강)이라 하고, 북방 쪽은 ‘河(하)’로 표현함.
[1491] ◈ 瓦 解 土 崩 (와해토붕)【한자】 기와 와 / 풀 해 / 흙 토 / 무너질 붕【의미】 기와가 깨지고 흙이 무너진다는 뜻으로, 모두 무너져 내리는 것처럼 대세(大勢)가 허무러짐을 이르는 말.【동의어】▶ 土崩瓦解(토붕와해).【字意】◎ 瓦(와) 기와가 서로 얽혀있는 모양이나 질그릇의 의미에서 ‘기와’, ‘실패’, ‘방패’ 의미 생성. ◎ 解(해) 칼[刀]로 소[牛]의 뿔[角]을 발려내는 의미에서 '해체한다'의 의미 생성. 후에 '해결한다'는 의미 파생. ◎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崩(붕) 산, 언덕 따위가 ‘무너지다’는 의미에서 파괴되다, 흩어지다 등과 함께 ‘천자(天子)나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을 의미함. ‘朋(붕)’은 발음.▣ 와신상담, 와유강산, 와해토붕 - 교본파일(49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92] ◈ 完 璧 (완벽)【한자】 완전할 완 / 구슬 벽【의미】 구슬을 완전하게 보전한다는 뜻으로, 빌었던 물건을 온전히 반환하는 의미거나, 흠이 없는 완전함의 의미.【고사】전국시대(戰國時代) 조(趙)나라의 인상여(藺相如)가 구슬을 가지고 진(秦)나라의 사신으로 갔다가 구슬을 빼앗기지 않고 무사히 가지고 돌아왔다는 고사.《史記》【원문】▶ 完璧歸趙 (완벽귀조)【字義】◎ 完(완) 건축물을 완전하게 수리해서 ‘완전하다’는 뜻을 생성함. 元(원)은 발음 요소. ◎ 璧(벽) 둥글 납작하고 중앙에 구멍이 있는 둥근 옥의 의미
[1493] ◈ 曰 可 曰 否 (왈가왈부)【한자】 말할 왈 / 옳을 가 / 말할 왈 / 아닐 부【의미】 옳다 말하고 아니다 말하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옳으니 그르니 하는 것처럼 옳다고 하는 이도 있고 그르다고 하는 이도 있어 이러쿵저러쿵한다는 의미.【字意】◎ 曰(왈) 입의 모양에 말소리의 의미를 표시해 ‘말하다’는 의미 생성. ◎ 可(가) 옳고 찬성한다는 의미에서 ‘옳다’는 의미 생성. ◎ 否(부) 아니라고 말하다는 의미에서 ‘아니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不(불)은 발음 역할도 함
[1494] ◈ 曰 是 曰 非 (왈시왈비)【한자】 말할 왈 / 옳을 시 / 말할 왈 / 아닐 비【의미】 옳다 말하고 그르다 말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옳고 그름을 말하며 따진다는 의미.【유의어】▶ 是也非也 (시야비야) : 옳고 그름을 따짐.【字意】◎ 是(시) 태양을 가장 옳고 바른 것으로 인식해 ‘옳다’는 의미를 생성함. 후에 ‘이’, ‘이것’ 등의 지시대명사 의미를 파생함. ◎ 非(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날아 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양인데, 하늘을 수평으로 나는 것과 반대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로 변화. 후에 ‘날다’는 나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飛(비)’를 만듦.▣ 완벽, 왈가왈부, 왈시왈비 - 교본파일(49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95] ◈ 王 道 政 治 (왕도정치)【한자】 임금 왕 / 도리 도 / 정사 정 / 다스릴 치【의미】 왕의 도리를 다하는 정치라는 뜻으로, 인덕(人德)에 바탕을 둔 정치를 행하는 것을 의미함. 유가(儒家)의 맹자(孟子)에 의해 가치를 확립함. <孟子>【반의어】▶ 覇道政治 (패도정치) : 패권만을 추구하는 과욕의 정치.【字意】◎ 王(왕) 가로 세 선은 천지인(天地人)을 상징하고 세로 선으로 천지인을 꿰뚫거나 연결해주는 하늘의 아들이라는 ‘천자(天子)’나 ‘왕’의 의미를 생성함. ◎ 道(도) 首(수)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 의미 파생. ◎ 政(정) 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행위의 의미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정사(政事) 의미를 생성.◎ 治(치)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1496] ◈ 往 生 極 樂 (왕생극락)【한자】 갈 왕 / 날 생 / 다할 극 / 즐거울 락【의미】 떠나서 극락에서 태어난다는 뜻으로, 죽어 극락의 세계로 가 다시 태어난다는 불가(佛家)의 축원 내포 말. [= 極樂往生]【유의어】▶ 往生安樂 (왕생안락) : 왕생극락하여 안락한 생을 가짐.【字意】◎ 往(왕) 발의 의미인 止(지)에서 ‘가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主(주)는 본래 ‘王(왕)’에서 변한 것임[발음 역할]. ◎ 生(생)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 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極(극) 집의 가장 높은 곳인 일종의 용마루 의미에서 ‘최고’의 의미로 인해 ‘극한’, ‘다하다’는 의미 파생. ◎ 樂(락)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락]’나 ‘좋아한다[요]’는 의미 파생.
[1497] ◈ 往 者 勿 止 (왕자물지)【한자】 갈 왕 / 놈 자 / 말 물 / 그칠 지【의미】 가는 것은 그치게 하지 말라는 뜻으로, 가는 것은 그 자연에 맡겨 가게 할 것이요, 부질없이 잡아 두어서는 안 된다는 집착과 고집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의미. <莊子>【연결어】▶ 來者勿禁 (내자물금) : 오는 것은 금하지 말라.【字意】◎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勿(물) 본래 칼에 피가 묻은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단죄(斷罪)했다는 의미로 전용되어 금지의 의미인 ‘하지 말라’는 뜻으로 사용됨.[毋(무)와 동일한 의미]. ◎ 止(지) 사람의 한쪽 발이나 발자국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멈추다’, ‘걷다’는 의미나 시간의 변화와 관련된 의미로도 사용됨.▣ 왕도정치, 왕생극락, 왕자물지 - 교본파일(49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498] ◈ 枉 尺 直 尋 (왕척직심)【한자】 굽을 왕 / 자 척 / 곧을 직 / 찾을 심【의미】 자를 굽혀 심[尋:두 팔을 벌린 길이로 7~8尺정도]을 편다는 뜻으로, 짧은 것은 굽히고 긴 것을 펴듯이 작은 욕을 돌보지 않고 큰 일을 이룬다는 의미.<孟子>【유의어】▶ 大義滅親 (대의멸친) : 큰 의리를 위해 혈육의 친함도 버림▶ 滅私奉公 (멸사봉공) : 사사로움을 버리고 공적 일을 받듦.【字意】◎ 枉(왕) 나무가 휜 것에서 ‘굽다’는 의미 생성. 후에 ‘굽히다’나 ‘어긋나다’ 등 파생함. ◎ 尺(척) 사람의 등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寸(촌: 치)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자’ 의미까지 확대함. ◎ 直(직) 곧은 막대를 자르고 나서 눈으로 재는 모양에서 ‘곧다’는 의미 생성 직선이 ‘十’으로 표현됨. ◎ 尋(심) 좌우의 양손을 벌려 길이를 잰다는 의미에서 ‘길이의 단위’와 확인해 ‘찾다’는 의미를 생성함.
[1499] ◈ 王 侯 將 相 (왕후장상)【한자】 임금 왕 / 제후 후 / 장수 장 / 정승 상【의미】 제왕과 제후와 장수와 재상이라는 뜻으로, 진(秦)의 진승(陳勝)이 봉기(蜂起)하며 내세운 기치에서 유래.【출전】▶ 王侯將相 寧有種乎 (왕후장상 영유종호): 왕후장상이 어찌 종자가 있겠느냐?【字意】◎ 王(왕) 가로 세 선은 천지인(天地人)을 상징, 세로 선으로 천지인을 꿰뚫거나 연결해주는 하늘의 아들인 ‘천자(天子)’나 ‘왕’ 의미 생성. ◎ 候(후) 본래 사람이 화살을 쏘는 것에서 ‘과녁’의 의미인데, 후에 봉토를 받은 오등작의 둘째 작위(爵位)로 활용. ◎ 將(장) 나무 위에 고기를 놓고 요리하려는 뜻에서 ‘앞으로 일어날 상황’인 ‘장차’ 생성. 후에 ‘장수’ 파생. ◎ 相(상) 나무에 올라가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뜻에서 ‘보다’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인 ‘정승’ 파생.
[1500] ◈ 矮 子 看 戱 (왜자간희)【한자】 키작을 왜 / 아들 자 / 볼 간 / 유희 희【의미】 난쟁이가 연극을 본다는 뜻으로, 난쟁이가 키 큰 사람 뒤에서 연극을 관람하는 것처럼 앞사람의 비평에 덩달아 비평하듯이 식견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동의어】▶ 矮子觀場 (왜자관장) : 矮子看場 (왜자간장).【字意】◎ 矮(왜) 짧은 화살의 의미에서 ‘키작은 사람’의 뜻을 파생함. ◎ 看(간) 눈 위에 손을 얹고 본다는 의미로 ‘보살핀다’는 의미로 지켜보는 것. ◎ 戱(희) 본래 ‘戈(과)’의 의미에서 군사의 훈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해 동작이나 ‘놀이’의 의미가 파생됨.▣ 왕척직심, 왕후장상, 왜자간희 - 교본파일(500)이 포함되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531-1560 (0) | 2012.12.21 |
---|---|
이야기한자성어1501-1530 (0) | 2012.12.21 |
이야기한자성어1441-1470 (0) | 2012.12.18 |
이야기한자성어1411-1440 (0) | 2012.12.18 |
이야기한성어1381-1410 (0) | 201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