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1] ◈ 雲 煙 過 眼 (운연과안)【한자】 구름 운 / 연기 연 / 지날 과 / 눈 안【의미】 구름과 안개가 눈앞을 지나간다는 뜻으로, 구름과 연기가 홀연 지나가듯이 일시적인 즐거움일 뿐 마음을 오래도록 깊이 두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우)’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 ◎ 煙(연) 불땔 때 나는 ‘연기’의 의미에서 후에 ‘안개’, ‘기운’ 파생. ◎ 過(과)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발음으로도 사용되면서, ‘뼈’의 의미에 ‘과거’나 ‘후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지나가다’는 의미에서 ‘지나치다’, ‘잘못’, ‘과거’ 등의 의미를 파생함. ◎ 眼(안) 눈으로 보는 일까지 확대되어 ‘눈’, ‘보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1562] ◈ 運 之 掌 上 (운지장상)【한자】 움직일 운 / 어조사 지 / 손바닥 장 / 윗 상【의미】 손바닥 위에서 움직인다는 뜻으로, 물건을 손바닥 위에서 굴리듯이 마음대로 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易如反掌 (이여반장) : 쉽기가 손바닥을 뒤집는 것 같다.▶ 囊中取物 (낭중취물) :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취하다.【字意】◎ 運(운) 움직여 옮겨 나른다는 의미에서 ‘움직이다’는 뜻을 생성함. 軍(군)은 발음 요소. ◎ 之(지) 문장 속에서 서술어 뒤에서는 대명사 ‘이것’, ‘그것’ 등 역할. 해석할 때 큰 비중이 없음. ◎ 掌(장) 사람 손바닥의 의미. 위의 ‘尙(상)’은 변화된 발음. ◎ 上(상)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1563] ◈ 雲 雨 之 情 (운우지정)【한자】 구름 운 / 비 우 / 어조사 지 / 정 정【의미】 雲雨의 정이라는 뜻으로, 본래 운우(雲雨)가 신녀(神女)의 미칭(美稱)으로 사용되다 변하여 남녀의 교정(交情)의 의미가 됨.【유의어】▶ 雲雨之樂 (운우지락) : 雲雨之夢 (운우지몽).【字意】◎ 雨(우)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비’와 ‘기후’,‘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 情(정) 감정과 정서의 의미. ‘靑(청)’은 변화된 발음.▣ 운연과안, 운지장상, 운우지정 - 교본파일(52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64] ◈ 雲 中 白 鶴 (운중백학)【한자】 구름 운 / 가운데 중 / 흰 백 / 학 학【의미】 구름 속의 흰 학이라는 뜻으로, 인품이 고상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雲上氣稟 (운상기품) : 구름 위의 기품.【字意】◎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우)’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 ◎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白(백) 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후에 ‘日(일)’과 구별을 위해 점을 첨가함. ◎ 鶴(학) 왼쪽 부분 위의 ‘집면[갓머리]’은 두루미와 유사한 새들의 머리 장식 표현임. 웅장한 모습의 두루미를 형상하고 있는 글자.
[1565] ◈ 雲 蒸 龍 變 (운증용변)【한자】 구름 운 / 찔 증 / 용 룡 / 변할 변【의미】 구름이 피어오르며 용으로 변한다는 뜻으로, 영웅호걸이 시운(時運)을 만나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飛龍乘雲 (비룡승운) : 용이 구름을 타고 날아 오름.【字意】◎ 蒸(증) 자잘한 땔나무인 ‘섶나무’의 의미에서 열기가 올라가 ‘찌다’는 ‘烝(증)’의 의미까지 함께 사용됨. ◎ 龍(룡)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變(변) 말이 오고 가면서 주제가 바뀌는 것으로 인해 ‘변하다’는 의미. 후에 ‘변고(變故)’나 ‘재앙(災殃)’의 의미 파생.
[1566] ◈ 雲 蒸 礎 潤 (운증초윤)【한자】 구름 운 / 찔 증 / 추춧돌 초 / 젖을 윤【의미】 구름이 피어오르면 주추가 젖는다는 뜻으로, 구름이 껴 비가 내리려하면 먼저 집의 주추가 눅눅해지는 것처럼 사물의 조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원문】▶ 山雲蒸 柱礎潤 (산운증 주초윤).【字意】◎ 礎(초) 건물의 기둥 밑에 발이 되는 돌의 의미인 ‘주춧돌’의 의미. 楚(초)는 발음 역할. ◎ 潤(윤) 물기를 머금어 ‘적시다’는 의미에서 후에 더해지다는 뜻이 확대되어 ‘윤택하다’, ‘은혜’ 등 파생함. ‘閏(윤)’은 발음 역할.▣ 운중백학, 운증용변, 운증초윤 - 교본파일(52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67] ◈ 雲 出 無 心 (운출무심)【한자】 구름 운 / 나갈 출 / 없을 무 / 마음 심【의미】 구름이 가는데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 구름이 아무 생각 없이 흘러가듯이 인생을 유유하게 사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우)’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 ◎ 出(출)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오다’는 의미에서 ‘성장하다’, ‘출생하다’ 등의 의미 파생. ◎ 無(무)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무)’를 만듦.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사람의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 의미로 활용.
[1568] ◈ 雲 合 霧 集 (운합무집)【한자】 구름 운 / 합할 합 / 안개 무 / 모일 집【의미】 구름이 모이고 안개가 모여든다는 뜻으로, 많은 것이 일시에 모여드는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門前成市 (문전성시) : 많은 사람이 운집한 상황.【字意】◎ 合(합) 밥그릇과 뚜껑이 합쳐져 있는 모양에서 ‘합하다’는 의미 생성. ◎ 霧(무) 기상조건의 의미인 우를 사용해 하늘을 덮는 수증기인 ‘안개’의 의미 생성. 務는 발음. ◎ 集(집) 새가 나무 위에 모여 앉아있는 모양에서 ‘모이다’는 의미 생성.
[1569] ◈ 熊 虎 之 士 (웅호지사)【한자】 곰 웅 / 범 호 / 어조사 지 / 선비 사【의미】 곰과 호랑이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용맹한 무사나 장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유의어】▶ 熊虎之將 (웅호지장) : 용맹한 장수.【字意】◎ 熊(웅) 본래 ‘能(능)’이 곰의 형상인데, ‘능하다’로 쓰이자 발을 더해 ‘熊’으로 만듦. ‘빛나다’는 의미의 활용으로 모양이 ‘火’로 됨. ◎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士(사) 넓적한 날로 된 도끼의 모양에서 도끼를 다루는 남자의 상징으로 사용됨. 후에 신분의 계급으로 변화.▣ 운출무심, 운합무집, 웅호지사 - 교본파일(52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70] ◈ 圓 孔 方 木 (원공방목)【한자】 둥글 원 / 구멍 공 / 모 방 / 나무 목【의미】 둥근 구멍에 모난 나무라는 뜻으로, 둥근 구멍에 네모난 나무를 꽂아 맞추는 것처럼, 일이 잘 맞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圓(원) 큰 테두리의 둘레의 뜻에서 ‘둥글다’, ‘원’의 의미 생성. ◎ 孔(공) 아이가 젖을 빠는 젖의 ‘구멍’의 의미와 정도의 ‘심함’을 의미함. ◎ 方(방) 농기구 모양이나 벌판의 영역표시 등에서 방향이나 모서리 등의 의미를 생성함. ◎ 木(목)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片(편)’은 나무를 자른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1571] ◈ 遠 交 近 攻 (원교근공)【한자】 멀 원 / 사귈 교 / 가까울 근 / 칠 공【의미】 먼 곳과 사귀어 가까운 곳을 친다는 뜻으로, 가까운 나라가 이미 자기 소유가 되면 점차 먼 나라로 미치는 전국시대 秦(진)의 책략.【연관어】▶ 舍近交遠 (사근교원) :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곳과 사귐.【字意】◎ 遠(원)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는 의미에서 ‘멀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부호. ◎ 交(교) 두 발을 서로 교차해서 꺾고 있는 모양에서 서로 ‘사귄다’는 의미 생성. 후에 ‘서로 주고받다’는 뜻 파생. ◎ 近(근)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에서 ‘곁’이나 ‘친척’ 등의 의미 파생. ◎ 攻(공) ‘치다[칠 복]’는 의미에서 ‘공격하다’는 의미 파생. ‘工(공)’은 발음.
1572] ◈ 圓 頭 方 足 (원두방족)【한자】 둥글 원 / 머리 두 / 모 방 / 발 족【의미】 둥근 머리와 네모난 발이라는 뜻으로, ‘사람’을 가리켜 이르는 말.【동의어】▶ 圓首方足 (원수방족).【字意】◎ 頭(두) ‘豆(두)’는 발음, ‘頁(혈)’은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 方(방) 농기구 모양이나 벌판의 영역표시 등에서 방향이나 모서리 등의 의미를 생성함. ◎ 足(족) 발 모양의 ‘止’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ᄆ’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원공방목, 원교근공, 원두방족 - 교본파일(52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73] ◈ 圓 木 警 枕 (원목경침)【한자】 둥글 원 / 나무 목 / 경계할 경 / 베개 침【의미】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圓(원) 큰 테두리의 둘레의 뜻에서 ‘둥글다’, ‘원’의 의미 생성. ◎ 木(목)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片(편)과 爿(장)은 나무를 자른 양쪽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 警(경) 경계하여 말하다는 의미에서 ‘경계하다’는 의미. ‘敬(경)’은 발음. ◎ 枕(침) 목침(木枕) 같은 잠잘 때 베는 ‘베개’의 의미. 주로 잠자는 것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됨. 오른쪽은 발음.
[1574] ◈ 鴛 鴦 之 契 (원앙지계)【한자】 원앙 원 / 원앙 앙 / 어조사 지 / 맺을 계【의미】 원앙의 관계라는 뜻으로, 원앙새의 자웅(雌雄)이 언제나 붙어 다니고 떨어지지 않는 데서, 부부 사이의 정이 매우 두터운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유관어】▶ 琴瑟相和 (금슬상화) : 거문고의 조화로 부부사이의 정.【字意】◎ 鴛(원) 원앙새의 의미로, 수컷을 ‘鴛’이라 함. ‘夗(원)’은 발음. ◎ 鴦(앙) 원앙새의 암컷. ‘央(앙)’은 발음. ◎ 契(계) 사람이 칼로 새겨서 표시하는 의미에서 관계를 ‘맺다’는 의미 생성.
[1575] ◈ 怨 入 骨 髓 (원입골수)【한자】 원망할 원 / 들 입 / 뼈 골 / 골수 수 【의미】 원망이 골수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원한(怨恨)이 골수에 사무친다는 의미.【유의어】▶ 徹天之寃 (철천지원) : 하늘에 사무치도록 깊은 원한.▶ 不俱戴天之怨讐 (불구대천지원수) : 함께 하늘을 이지 못하는 원수.【字意】◎ 怨(원) 저녁에 사람이 구부리고 잠을 못자는 심정에서 ‘원망하다’는 의미 생성. ◎ 入(입)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 骨(골)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 ◎ 髓(수) 동물의 뼈 속에 있는 누른빛의 기름 같은 물질인 ‘골수’의 의미. ▣ 원목경침, 원앙지계, 원입골수 - 교본파일(52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76] ◈ 遠 族 近 隣 (원족근린)【한자】 멀 원 / 겨레 족 / 가까울 근 / 이웃 린【의미】 먼 친족과 가까운 이웃이라는 뜻으로, 멀리 사는 친족보다 가까이 사는 이웃이 더 낫다는 이웃사촌 의미.【원문】▶ 遠水不救近火 遠親不如近隣 (원수불구근화 원친불여근린).【字意】◎ 遠(원)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는 의미에서 ‘멀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부호. ◎ 族(족) 상징이 되는 깃발아래에 화살을 쌓아 놓은 모양에서 많은 무리가 뭉쳐있다는 개념에서 ‘겨레’, ‘무리’의 의미 생성. ◎ 近(근)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에서 ‘곁’이나 ‘친척’ 등의 의미 파생. ◎ 隣(린) 본래 오른쪽의 우부방[邑]으로 쓴 글자가 본자이고, 좌부방[阜]의 글자는 약자임. 주변 지역이나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이웃’의 의미 생성.
[1577] ◈ 怨 天 尤 人 (원천우인)【한자】 원망할 원 / 하늘 천 / 허물 우 / 사람 인【의미】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허물한다는 뜻으로, 큰 낭패나 좌절에 대해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한다는 의미.【대칭어】▶ 誰怨誰咎 (수원수구) :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리오.【字意】◎ 怨(원) 저녁에 사람이 구부리고 잠을 못자는 심정에서 ‘원망하다’는 의미 생성.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땅[地]’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 尤(우) 더욱 유별나게 다르다는 의미에서 ‘허물’의 의미 파생함. ◎ 人(인) 본래 사람[大]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1578] ◈ 源 淸 流 淸 (원청유청)【한자】 근원 원 / 맑을 청 / 흐를 류 / 맑을 청【의미】 근원 물이 맑으면 흐르는 물도 맑다는 뜻으로,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이 맑듯이 윗사람이 청렴하면 아랫사람도 청렴해짐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동의어】▶ 源淸流潔 (원청유결)【원문】▶ 源淸則流淸 源濁則流濁 (원청칙유청 원탁칙유탁) <荀子>【字意】◎ 源(원) 땅 속에서 샘이 흐르는 근원의 의미. 후에 原(원)과 통용됨. ◎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流(류)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 ▣ 원족근린, 원천우인, 원청유청 - 교본파일(52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79] ◈ 元 亨 利 貞 (원형이정)【한자】 으뜸 원 / 형통할 형 / 이로울 리 / 곧을 정【의미】 역리(易理)에서 말하는 천도(天道)의 네 가지 덕(德)으로, 사물의 근본원리를 의미함. ‘元’은 만물의 시초로 봄과 인(仁), ‘亨’은 만물이 자라나는 여름과 예(禮), ‘利’는 만물이 이루어져 가을과 의(義), ‘貞’은 만물이 거두어져 겨울과 지(智)를 의미함. 【字意】◎ 元(원) 사람 몸의 맨 위인 ‘머리’를 표시해 ‘으뜸’, ‘처음’의 의미를 생성함. ◎ 亨(형) 받들어 모신다는 의미에서 ‘형통하다’는 뜻 생성. ◎ 利(리) 벼[禾]를 베는 칼[刀]의 의미에서 ‘날카롭다’는 의미 생성. 후에 수확의 결과로 인해 ‘이익’, ‘편하다’ 등의 의미 파생. ◎ 貞(정) 점을 처 잘 알아낸다는 의미에서 후에 ‘바르다’는 뜻 파생함.
[1580] ◈ 遠 禍 召 福 (원화소복)【한자】 멀 원 / 재앙 화 / 부를 소 / 복 복【의미】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인다는 뜻으로, 재앙을 멀리하고 복된 일을 맞이한다는 의미.【字意】◎ 遠(원)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는 의미에서 ‘멀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부호. ◎ 禍(화) 示는 초인간적인 하늘의 상징 표현이고, 오른쪽 모양은 ‘骨(골)’의 변형으로 잔해만 남았다는 의미에서 ‘재앙’의 뜻 생성. ◎ 召(소) 오라고 부른다는 의미에서 ‘부르다’는 뜻 생성. ◎ 福(복) 신에게 술단지 같은 제물을 바치는 모양에서 ‘복을 빈다’는 의미로 ‘행복’의 의미 생성.
[1581] ◈ 猿 猴 取 月 (원후취월)【한자】 원숭이 원 / 원숭이 후 / 취할 취 / 달 월【의미】 원숭이가 달을 취한다는 뜻으로,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다가 물에 빠져 죽는 것처럼, 사람이 제 분수를 지키지 않고 욕심을 부리면 화를 입게 됨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猿(원) ‘짐승’ 의미의 ‘犬(견)’ 부수에 오른쪽은 (원)발음. ◎ 猴(후) 원숭이의 의미. ‘侯’는 발음. ◎ 取(취) 전쟁에서 이겨 손[又]으로 적군의 귀[耳]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月(월)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陰)’도 표현. ▣ 원형이정, 원화소복, 원후취월 - 교본파일(52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82] ◈ 月 旦 評 (월단평)【한자】 달 월 / 아침 단 / 비평할 평【의미】 매달 첫날의 비평이라는 뜻으로, 인물(人物)에 대한 비평(批評)을 이르는 말.【고사】후한 때 여남(汝南)에 허소(許昭)와 그 종형 허정(許靖)이 매 월단에 품제를 정하여 향당의 인물을 비평했는데, 아주 정확해서 여남(汝南)의 월단평이라는 말이 생김.【字意】◎ 月(월)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陰)’도 표현. ◎ 旦(단) 태양이 지평선 위에 올라왔음을 표시해 해가 뜬 ‘아침’의 의미 생성. ◎ 評(평) 잘잘못을 살펴서 정한다는 의미에서 ‘품평하다’는 뜻을 생성함
[1583] ◈ 月 露 風 雲 (월로풍운)【한자】 달 월 / 이슬 로 / 바람 풍 / 구름 운【의미】 달, 이슬, 바람, 구름이라는 뜻으로, 시문을 짓는 것이 月露風雲을 형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무용무익(無用無益)한 문사(文辭)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露(로) 공기중 수중기가 엉겨 생긴 물방울인 이슬의 의미인데, 후에 ‘적시다’, ‘드러나다’ 등의 의미 파생. ‘路(로)’는 발음 역할. ◎ 風(풍)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우)’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
[1584] ◈ 月 滿 則 虧 (월만즉휴)【한자】 달 월 / 찰 만 / 곧 즉 / 이지러질 휴【의미】 달이 차면 기운다는 뜻으로, 차이 차면 기울 듯이 사물이 성한 나머지 쇠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月盈則食 (월영즉식) : 달이 차면 기울다.【字意】◎ 滿(만) 물이 가득 차서 넘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오른쪽은 더 많다는 의미를 지님. ◎ 則(즉) 본래 화폐[貝]를 나눈다[刀]는 의미에서 규정을 한다는 의미의 ‘법칙[발음은 (칙)]’의 의미 생성. 문장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하면[발음은 (즉)]’으로 사용됨. ◎ 虧(휴) 한 귀퉁이가 떨어져 나가 ‘부서지다’는 의미에서 후에 ‘줄이다’, ‘그만두다’ 등을 파생함. ▣ 월단평, 월로풍운, 월만즉휴 - 교본파일(5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85] ◈ 月 明 星 稀 (월명성희)【한자】 달 월 / 밝을 명 / 별 성 / 드물 희【의미】 달이 밝으니 별이 드물다는 뜻으로, 밝은 달로 인해 별이 숨듯이 드물게 보이는 것처럼 대인(大人)이 나타남에 소인(小人)이 빛을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月(월)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陰)’도 표현. ◎ 明(명)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日’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 星(성) 하늘에서 별이 해의 분신처럼 밝게 비춘다는 의미에서 ‘별’의 의미를 생성함. ◎ 稀(희) 벼가 줄기에 성기게 났다는 의미에서 ‘드물다’는 뜻 생성. ‘希(희)’는 발음.
[1586] ◈ 月 白 風 淸 (월백풍청)【한자】 달 월 / 흰 백 / 바람 풍 / 맑을 청【의미】 달은 밝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맑고 깨끗한 서늘한 가을 달밤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字意】◎ 白(백) 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후에 ‘日(일)’과 구별을 위해 점을 첨가함. ◎ 風(풍) 예민한 봉황의 깃털로 바람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보거나 凡(범)이 ‘널리 퍼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바람’의 의미를 생성한 것으로 봄. 후에 상징적인 벌레의 의미를 더함. ◎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1587] ◈ 月 章 星 句 (월장성구)【한자】 달 월 / 글 장 / 별 성 / 구절 구【의미】 달 같은 문장과 별 같은 구절이라는 뜻으로, 문장의 아름다움을 밤하늘에 빛나는 아름다운 달과 별에 비유들어 찬양하여 이르는 말.【관련어】▶ 美辭麗句 (미사여구) : 아름다운 말과 훌륭한 글귀.【字意】◎ 章(장) ‘十’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완결된 단락의 의미로 후에 ‘시문의 한 절’이나 ‘법률의 조목’의 의미로 사용됨. ◎ 星(성) 하늘에서 별이 해의 분신처럼 밝게 비춘다는 의미에서 ‘별’의 의미를 생성함. ◎ 句(구) 본래 갈고리로 물건을 끌어올린다는 의미인데, 후에 문장의 ‘구절’의 의미로 파생됨. ▣ 월명성희, 월백풍청, 월장성구 - 교본파일(52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588] ◈ 越 鳥 巢 南 枝 (월조소남지)【한자】 넘을 월 / 새 조 / 깃들 소 / 남녘 남 / 가지 지【의미】 월나라 새가 남쪽 가지에 둥우리를 튼다는 뜻으로, 월조가 남쪽 고국을 생각하며 남쪽 가지에 집을 짓듯이 고향을 잊지 못함을 비유함.【유의어】▶ 首邱初心 (수구초심) : 고향과 근본을 잊지 않음.【字意】◎ 越(월) 앞질러 건너다’는 의미에서 ‘넘다’는 의미 생성. ◎ 鳥(조) 새의 눈과 날개, 다리 등을 강조한 모양. 다소 꽁지가 긴 큰 새의 의미로, 다소 작은 새인 ‘隹(추)’와 구별됨. ◎ 巢(소) 나무 위 새집에 새가 앉아있는 모양에서 ‘둥지’, ‘집’ 등의 의미 생성. ◎ 南(남) 뿔 같은 장식을 단 북 종류의 악기의 모양인데, 중국 남방지방의 부족들이 사용해서 ‘남쪽 방위’와 ‘부족’의 의미를 지님. ◎ 枝(지) 나무의 가지를 의미. ‘支(지)’는 발음.
[1589] ◈ 越 津 乘 船 (월진승선)【한자】 넘을 월 / 나루 진 / 탈 승 / 배 선【의미】 나루를 건너고 나서 배에 오른다는 뜻으로, 일의 순서를 거꾸로 처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本末顚倒 (본말전도) : 근본과 말단이 바꾸어 거꾸로 됨.【字意】◎ 津(진) 강에서 배를 정박하고 건너다닐 수 있게 만든 ‘나루’의 의미. ◎ 乘(승) ‘人+桀’의 결합으로 桀(걸)이 나무 위에 두 발이 얹혀 있는 모양인데 여기에 人을 더해 두 발로 ‘오른다’는 의미를 파생함. 여기서는 수레를 세는 단위로 사용됨. ◎ 船(선) 배의 의미. 주로 舟(주)보다 큰 배에 사용함. 오른쪽 부분은 발음 표시 역할
1590] ◈ 月 下 氷 人 (월하빙인)【한자】 달 월 / 아래 하 / 얼음 빙 / 사람 인【의미】 달빛 아래의 노인과 얼음 위의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부의 인연을 맺어주는 신이나 중매인(仲媒人)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태평광기(太平廣記)》《진서(晉書)》【동의어】▶ 月下老人 (월하노인) / 氷上之人 (빙상지인) : 月下老 氷上人【字意】◎ 月(월)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陰)’도 표현. ◎ 下(하)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氷(빙) 물이 변한 얼음의 의미에서 ‘이수변[얼(빙)]’을 만듦.▣ 월조소남지, 월진승선, 월하빙인 - 교본파일(53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621-1650 (0) | 2012.12.21 |
---|---|
이야기한자성어1591-1620 (0) | 2012.12.21 |
이야기한자성어1531-1560 (0) | 2012.12.21 |
이야기한자성어1501-1530 (0) | 2012.12.21 |
이양기한자성어1471-1500 (0) | 201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