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1] ◈ 自 行 自 止 (자행자지)【한자】 스스로 자 / 갈 행 / 스스로 자 / 그칠 지【의미】 스스로 가고 스스로 그친다는 뜻으로, 가고 싶으면 가고 말고 싶으면 마는 것처럼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함을 이르는 말.【字意】◎ 自(자)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의 의미 파생. ◎ 行(행)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止(지) 사람의 한쪽 발이나 발자국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멈추다’, ‘걷다’는 의미나 시간의 변화와 관련된 의미로도 사용됨.
[1862] ◈ 自 現 者 不 明 (자현자불명)【한자】 스스로 자 / 나타날 현 / 놈 자 / 아니 불 / 밝을 명【의미】 스스로 나타내는 자는 밝지 못하다는 뜻으로, 스스로 자신의 덕을 밖으로 나타내 보이려고 하는 사람은 도리어 그 덕을 어둡게 한다는 의미.【출전】▶ 自現者不明 自是者不彰 (-- 자시자불창): <老子>.【字義】◎ 現(현) 見(견)으로 설명하다 후에 玉(옥)을 더해 옥처럼 밝게 ‘드러나다’는 의미를 확충함. ◎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明(명)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日’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1863] ◈ 自 畵 自 讚 (자화자찬)【한자】 스스로 자 / 그림 화 / 스스로 자 / 기릴 찬【의미】 스스로 그리고 스스로 자랑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칭찬한다는 의미.【字意】◎ 自(자)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의 의미 파생. ◎ 畵(화) 밭의 경계를 ‘긋다’는 의미에서 사물의 경계나 한계를 정한다는 뜻 생성. 나중에 그림, ‘그리다’의 뜻으로도 사용. ‘긋다’는 의미는 ‘劃(획)’과 통용. ◎ 讚(찬) 言을 더해 남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확대되어 ‘칭찬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贊(찬)’은 발음.▣ 자행자지, 자현자불명, 자화자찬 - 교본파일(62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64] ◈ 作 舍 道 傍 (작사도방)【한자】 지을 작 / 집 사 / 길 도 / 곁 방【의미】 길가에 집을 짓는다는 뜻으로, 오가는 사람들의 참견에 오래도록 집을 완성하지 못한다는 것에서 이론(異論)이 많으면 일을 결정하지 못하거나 이루기 어렵다는 의미.【출전】▶ 作舍道傍 三年不成 (작사도방 삼년불성) : <후한서(後漢書)>【字意】◎ 作(작) 사람이 어떤 일을 한다는 의미에서 ‘만들다’, ‘짓다’는 의미 생성. ‘乍(사)’는 변화된 음. ◎ 舍(사) 머물러 거처하는 곳인 ‘집’의 의미인데, 후에 손의 동작인 ‘버리다’는 의미인 ‘捨(사)’와 가차로 사용됨. ◎ 道(도) ‘首(수)’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 의미 파생. ◎ 傍(방) 사람의 ‘주변’ 의미에서 후에 ‘모시다’ 등까지 확대됨. 旁은 곁의 의미와 함께 발음으로도 쓰임.
[1865] ◈ 酌 水 成 禮 (작수성례)【한자】 따를 작 / 물 수 / 이룰 성 / 예도 례【의미】 물을 떠놓고 예식을 치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안의 혼인 예식을 이르는 말.【字意】◎ 酌(작) 술의 의미인 酉(유)와 술을 따르는 도구의 의미인 勺(작)이 결합해 술 등의 액체를 ‘따르다’는 의미를 생성함. 勺(작)은 발음으로도 사용됨. ◎ 水(수) 물이 흘러가는 모양. ‘氷(빙)얼음’, ‘永(영)길다’ 등 구별에 유의.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禮(례) 신에게 섬기는 도리에서 ‘사람이 행해야할 중요한 도리’인 ‘예도(禮度)’의 의미 생성
[1866] ◈ 作 心 三 日 (작심삼일)【한자】 지을 작 / 마음 심 / 석 삼 / 날 일【의미】 작정한 마음이 삼 일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결심이 굳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 三(삼)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셋’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日(일)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의 흑점으로 설명.▣ 작사도방, 작수성례, 작심삼일 - 교본파일(62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67] ◈ 作 之 不 已 (작지불이)【한자】 지을 작 / 어조사 지 / 아니 불 / 이미 이【의미】 짓는 것이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끊임없이 있는 힘을 다하여 노력한다는 의미.【관련어】▶自强不息 (자강불식) : 스스로 강해지려 하며 쉬지 않음.【字意】◎ 作(작) 사람이 어떤 일을 한다는 의미에서 ‘만들다’, ‘짓다’는 의미 생성. ‘乍(사)’는 변화된 음. ◎ 不(불)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를 표현해 ‘아니다’는 의미 도출. ◎ 已(이) 뱀의 모양인 巳(사)에서 왔지만, 구분되어 ‘그만두다’, ‘그치다’ 등의 의미로 사용됨. 부사 ‘이미’의 뜻으로 많이 쓰임.
[1868] ◈ 綽 綽 有 餘 (작작유여)【한자】 너그러울 작 / 너그러울 작 / 있을 유 / 남을 여【의미】 느긋하여 여유가 있다는 뜻으로, 태연하여 서두르지 않고 여유 있는 모양을 이르는 말.【동의어】▶ 綽綽有餘裕 (작작유여유)【유의어】▶ 餘裕綽綽 (여유작작) : ▶ 餘裕滿滿 (여유만만).【참고】▶ 綽綽 (작작) : 침착하고 여유 있는 모양.【字意】◎ 綽(작) 실타래가 많아 여유가 있다는 의미에서 ‘너그럽다’는 뜻 파생. ◎ 有(유)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月]’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함. ◎ 餘(여) 먹을 것이 충분하다는 의미에서 ‘여유롭다’, ‘남다’는 의미 생성
[1869] ◈ 殘 杯 冷 炙 (잔배냉적)【한자】 해칠 잔 / 잔 배 / 찰 랭 / 구운고기 적【의미】 남은 술과 식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먹다 남은 찌꺼기라는 뜻에서 변변치 못한 주안상으로 푸대접을 하는 것을 말하거나, 모욕을 당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殘(잔) 뼈만 앙상하게 남았다는 의미에서 ‘해친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 戔(전)이 발음 역할도 함. ◎ 杯(배) 나무로 만든 ‘술잔’의 의미. 不(불)은 발음 요소. 盃(배)와 통용됨. ◎ 冷(랭) 얼음 조감으로 ‘차갑다’는 의미을 생성. 令은 발음 요소. ◎ 炙(적/자) 불에 고기를 굽다는 것에서 ‘구운 고기’의 의미 생성. 우리나라에서는 양념을 하고 꼬챙이에 꿰어서 불에 구운 어육이나, 닭,꿩 등을 양념해서 불에 구워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의 의미로도 사용함.▣ 작지불이, 작작유여, 잔배냉적 - 교본파일(62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70] ◈ 殘 月 曉 星 (잔월효성)【한자】 해칠 잔 / 달 월 / 새벽 효 / 별 성【의미】 쇠한 달과 새벽 별이라는 뜻으로, 새벽녘의 달과 새벽에 뜨는 별을 의미.【字意】◎ 殘(잔) 뼈만 앙상하게 남았다는 의미에서 ‘해친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 戔(전)이 발음 역할도 함. ◎ 月(월)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陰)’도 표현함. ◎ 曉(효) 해가 밝아오기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새벽’이나 ‘밝다’는 의미를 생성함. 堯(요)는 발음 요소. ◎ 星(성) 하늘에서 별이 해의 분신처럼 밝게 비춘다는 의미에서 ‘별’의 의미를 생성함.
[1871] ◈ 殘 忍 無 道 (잔인무도)【한자】 해칠잔 참을인 없을무 도리도【의미】 잔인하고 도리가 없다는 뜻으로, 인정이 없고 몹시 모질어서 도리(道理)가 없다는 의미. 殘酷(잔혹)【유의어】▶ 極惡無道 (극악무도) : 간사하고 도량이 적은 잡된 무리.▶ 無慈悲 (무자비) : 자비로움이 없음. 冷酷(냉혹).【字意】◎ 忍(인) 칼날[刃] 같은 고통이 마음에 와도 ‘참고 인내한다’는 의미. ◎ 無(무)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舞(무)’를 만듦. ◎ 道(도) 首(수)는 신체의 위 부분으로 궁극적으로 가서 닿는 곳이라서 ‘갈 (착)[책받침]’을 더해 걸어가는 ‘길’의 의미 생성. 후에 마땅히 걸어갈 길인 ‘도리’의 의미 파생.
[1872] ◈ 殘 編 斷 簡 (잔편단간)【한자】 해칠 잔 / 엮을 편 / 끊을 단 / 대쪽 간【의미】 손상된 책과 끊어진 죽간이라는 뜻으로, 이지러지고 흩어져 온전하지 못한 책이나 글발.【字意】◎ 殘(잔) 뼈만 앙상하게 남았다는 의미에서 ‘해친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 戔(전)이 발음 역할도 함. ◎ 編(편) 죽간을 ‘엮다’는 뜻에서 ‘책’ 등의 의미 파생. ◎ 斷(단) 도끼로 실타래를 자르는 의미에서 ‘끊다’는 의미 생성. ◎ 簡(간) 죽간(竹簡)의 모양에서 대쪽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간략하다’나 간략한 ‘서신(書信)’ 등의 의미까지 확대됨. 間(간)은 발음.▣ 잔월효성, 잔인무도, 잔편단간 - 교본파일(62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73] ◈ 潛 德 之 幽 光 (잠덕지유광)【한자】 자맥질할 잠 / 덕 덕 / 어조사 지 / 그윽할 유 / 빛 광【의미】 숨겨져 있는 덕의 그윽한 빛이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유덕(有德)한 사람의 그윽한 빛이라는 의미.【字義】◎ 潛(잠) 물 속에 잠겨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자맥질하다’는 의미 생성. 朁은 발음 요소. ◎ 德(덕) 본래 ‘十+目+一+心’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德)이 행동과 관련하여 ‘彳’을 첨가함. ◎ 幽(유) 산이 깊숙하다는 의미에서 ‘그윽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저승’의 의미 확대. ◎ 光(광) 소중한 불을 사람이 관리한다는 의미에서 ‘빛’의 의미 생성.
[1874] ◈ 暫 勞 永 逸 (잠로영일)【한자】 잠시 잠 / 힘쓸 로 / 길 영 / 편안할 일【의미】 잠깐의 수고로움에 긴 편안함이라는 뜻으로, 잠시동안 수고하여 오랜 동안 즐긴다는 의미.【字意】◎ 暫(잠) ‘日(일)’을 더해 시간적으로 잠깐이나 급작스럽게 행해지는 상황을 의미함. ‘斬(참)’은 발음 요소. ◎ 勞(로) ‘熒(형)’이 ‘반짝인다’는 의미라서 불이 계속해서 타오를 수 있도록 ‘힘[力]’을 더해 ‘일하다’, ‘힘쓰다’는 의미 생성. ◎ 永(영) 물줄기가 길게 이어지고 있는 모양에서 ‘길다’는 의미 생성. ◎ 逸(일) 토끼에 움직임을 나타내는 ‘辵(착)’을 더해 ‘달아나다’, ‘일어버리다’와 반대로 ‘뛰어나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1875] ◈ 暫 不 離 側 (잠불리측)【한자】 잠시 잠 / 아니 불 / 떨어질 리 / 곁 측【의미】 잠시도 곁에서 떨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않고 있음을 이르는 말.【字意】◎ 不(불)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를 표현해 ‘아니다’는 의미 도출. ◎ 離(리) 새의 꼬리를 갈라 ‘나누어 구별하다’는 의미에서 ‘떨어지다’는 뜻 생성. ‘离(리)’가 발음. ◎ 側(측) 자기 주변의 한쪽의 의미로 ‘곁’을 나타냄. ‘則(칙)’은 발음 요소.▣ 잠덕지유광, 잠로영일, 잠불리측 - 교본파일(62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76] ◈ 潛 蹤 秘 跡 (잠종비적)【한자】 잠길 잠 / 자취 종 / 숨길 비 / 자취 적【의미】 자취를 감추고 흔적을 숨긴다는 뜻으로, 종적을 아주 감추어 버림을 이르는 말.【준말】潛跡(잠적)【字意】◎ 潛(잠) 물 속에 잠겨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자맥질하다’는 의미 생성. ‘朁(참)’은 발음 요소. ◎ 蹤(종) 뒤를 ‘밟아가다’는 의미에서 ‘발자취’의 뜻을 파생함. ◎ 秘(비) 본래 [示+必]자가 본자로, 신령스러운 신의 존재인 ‘示(종)’의 의미로 인해 ‘신비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감추다’ 파생. ◎ 跡(적) ‘발자국’이나 ‘발자취’의 의미에서 후에 ‘흔적’의 뜻 파생. ‘亦(역)’은 발음 역할. ‘迹(적)’과 동일어의 이체자(異體字).
[1877] ◈ 將 計 就 計 (장계취계)【한자】 장차 장 / 계책 계 / 나아갈 취 / 계책 계【의미】 계책에 나아가 계책을 취한다는 뜻으로, 저 편의 계책을 미리 알아채고 그것을 역이용하는 계략. 곧 적의 계책의 의표를 찌르는 일의 의미로 사용됨.【字意】◎ 將(장) 나무 위에 고기를 놓고 요리하려는 의미에서 ‘앞으로 일어날 상황’인 ‘장차’의 의미 생성. 후에 ‘장수’의 의미 파생. ◎ 計(계) 숫자의 완성인 ‘十’을 놓고 말한다[言]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 計(계) 숫자의 완성인 ‘十’을 놓고 말한다[言]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 就(취) 사람 손으로 높게 쌓아 올린 망루가 남다르다[尤]는 의미에서 더욱 ‘이루어내다’는 의미를 파생함.[1878] ◈ 張 冠 李 戴 (장관이대)【한자】 베풀 장 / 갓 관 / 오얏 리 / 일 대【의미】 장가의 갓을 이가가 쓴다는 뜻으로, 이름과 실상이 일치하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상대어】▶ 名實相符 (명실상부) : 이름과 실상이 서로 꼭 맞음.【字意】◎ 張(장) 화살을 먹여 시위를 당겼다는 의미에서 ‘넓다’는 의미의 ‘베풀다’는 뜻 생성. ◎ 冠(관) ‘元(원)’은 ‘首(수)’의 의미라서 머리를 덮어 가리는 ‘갓’ 의미 도출. 후에 갓을 신분에 따라 달리 쓰게 되어 ‘헤아리다’는 의미의 ‘寸(촌)’을 더함. ◎ 李(리) 자두나무. ‘子(자)’는 발음 역할이나 나무의 정령 등으로 설명. ◎ 戴(대) 두 손으로 물건을 머리에 ‘이다’는 의미. 후에 ‘받들다’는 의미 파생.▣ 잠종비적, 장계취계, 장관이대 - 교본파일(62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79] ◈ 長 廣 舌 (장광설)【한자】 길 장 / 넓을 광 / 혀 설【의미】 길고 넓은 혀라는 뜻으로, 길고도 줄기차게 잘 늘어놓는 말솜씨나, 쓸데없이 장황하게 늘어놓은 말의 의미.【유의어】▶ 多辯 (다변) : 언변이 많음.【字意】◎ 長(장)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 廣(광) 건축물의 의미인 ‘엄’과 발음인 ‘黃(황)’을 더해 넓은 장소를 의미함. ◎ 舌(설) 입과 혀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거나 입과 범한다는 의미의 결합으로도 봄.
[1880] ◈ 長 久 之 計 (장구지계)【한자】 길 장 / 오랠 구 / 어조사 지 / 계책 계【의미】 길고 오랜 계책이라는 뜻으로, 사업이 오래 계속되기를 도모하는 계획이라는 의미. 長計(장계)【동의어】▶ 長久之策 (장구지책).【字意】◎ 久(구) 움직이는 사람을 뒤에서 잡는 모양에서 머무르다는 의미로 ‘오래되다’는 의미 생성. ◎ 計(계) 숫자의 완성인 ‘十’을 놓고 ‘말한다[言]’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1881] ◈ 章 句 之 學 (장구지학)【한자】 글 장 / 글귀 구 / 어조사 지 / 배울 학【의미】 문장의 구절만의 학문이라는 뜻으로, 문장의 장과 구의 해석에만 몰두하여 전체의 도리를 깨닫지 못하는 학문의 의미. 한대(漢代)의 훈고학(訓詁學)을 이르는 말에서 유래.【관련어】▶ 章句小儒 (장구소유) : 문장의 대의에 통하지 못하는 선비.【字意】◎ 章(장) ‘十’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완결된 단락의 의미로 후에 ‘시문의 한 절’이나 ‘법률의 조목’의 의미로 사용됨. ◎ 句(구) 본래 갈고리로 물건을 끌어올린다는 의미인데, 후에 문장의 ‘구절’의 의미로 파생됨. ◎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의 ‘배우다’는 뜻 생성.▣ 장광설, 장구지계, 장구지학 - 교본파일(62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82] ◈ 長 立 待 命 (장립대명)【한자】 길 장 / 설 립 / 기다릴 대 / 명령할 명【의미】 오래 서서 명령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권문세가(權門勢家)에 드나들며 이익을 얻고자하는 사람을 조롱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至當大臣 (지당대신) : ‘지당하다’만 외치는 간신배.【字意】◎ 長(장)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 立(립) 사람이 땅위에 서 있는 모양에서 ‘서다’는 의미 생성. ◎ 待(대) ‘기다리다’는 일에서 갖추어 기다리게 되어 ‘대접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命(명) 신전에서 신의 계시를 받는 모양으로 설명하거나 왕이 명령[令]을 입[口]으로 한다는 것에서 ‘목숨’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으로 ‘목숨’이나 ‘명령’의 의미로 분석함.
[1883] ◈ 杖 莫 如 信 (장막여신)【한자】 지팡이 장 / 없을 막 / 같을 여 / 믿을 신【의미】 의지함은 신의 만한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에게 의지함에는 신의(信義)보다 더 나은 것이 없다는 의미.【字意】◎ 杖(장) 지팡이나 몽둥이의 의미로, 후에 ‘의지하다’는 뜻까지 파생함. ‘丈(장)’은 발음 요소. ◎ 莫(막) 해가 숲 사이로 사라졌다는 의미에서 ‘없다’는 뜻 생성. ◎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信(신) 말로 사람을 평가할 수 있는, 그래서 신의가 있는 사람이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의미.
[1884] ◈ 張 飛 軍 令 (장비군령)【한자】 베풀 장 / 날 비 / 군사 군 / 명령할 령【의미】 장비의 군대 명령이라는 뜻으로, 삼국지에 등장하는 성미 급한 장비의 군령처럼 별안간 당하는 일이나 졸지에 몹시 서두르는 일을 이르는 말.【관련어】▶ 臨渴掘井 (임갈굴정) : 목마른데 임해서 우물을 판다. 준비없이 일을 당하고서 허둥대는 모양【字意】◎ 張(장) 화살을 먹여 시위를 당겼다는 의미에서 ‘넓다’는 의미의 ‘베풀다’는 뜻 생성. ◎ 飛(비)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 軍(군) 수레[전차]가 건축물 안에 있는 모양에서 군대가 주둔한 상태를 나나내 ‘군대’의 의미를 생성함. ◎ 令(령) 사람들을 굴복시킨다는 의미에서 ‘명령’의 의미 파생. 후에 ‘우두머리’, ‘좋다’ 등의 의미 파생. 여기서는 아첨하다[阿(아)]'는 의미 .▣ 장립대명, 장막여신, 장비군령 - 교본파일(6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85] ◈ 長 蛇 陣 (장사진)【한자】 길 장 / 뱀 사 / 진칠 진【의미】 큰 뱀이 진을 치고 있다는 뜻으로, 길게 줄지은 군진(軍陣)이나, 많은 사람들이 줄을 지어 늘어져 있음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됨.【관련어】▶ 門前成市 (문전성시) : 문 앞에 시장을 이루었다.【字意】◎ 長(장)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 蛇(사) 본래 뱀의 모양인데 변형되자 의미를 살리기 위해 ‘벌레(충)’을 더함. ◎ 陣(진) 군대의 행렬의 의미에서 ‘진영(陣營)’의 의미 확대, ‘늘어놓다’는 “陳(진)”과 일부 통용됨[1886] ◈ 張 三 李 四 (장삼이사)【한자】 베풀 장 / 석 삼 / 오얏 리 / 넉 사【의미】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딸이라는 뜻으로, 신분도 이름도 나지 않은 사람을 의미하거나,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동의어】▶ 樵童汲婦 (초동급부) : 나무하는 아이와 물긷는 아낙네▶ 匹夫匹婦 (필부필부) : 평범한 남녀. 보통사람들의 의미.【字意】◎ 張(장) 화살을 먹여 시위를 당겼다는 의미에서 ‘넓다’는 의미의 ‘베풀다’는 뜻 생성. ◎ 三(삼)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셋’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李(리) 자두나무. ‘子(자)’는 발음 역할이나 나무의 정령 등으로 설명. ◎ 四(사) 사방[口]으로 나누어지는[八] 모양의 부호를 표시해 음수(陰數: 홀수)인 ‘넷’의 의미를 나타냄.
[1887] ◈ 掌 上 煎 醬 (장상전장)【한자】 손바닥 장 / 윗 상 / 달일 전 / 장 장【의미】 손바닥에 장을 지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장담하거나 강력하게 부인할 때 스스로 맹세하여 쓰는 말의 의미.【字意】◎ 掌(장) 사람 손바닥의 의미. 위의 ‘尙(상)’은 변화된 발음. ◎ 上(상)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 煎(전) 불에 올려 ‘삶다’ 또는 ‘익히다’는 의미 생성. ◎ 醬(장) 고기를 소금에 절여 항아리에 넣어 익혀서 ‘젓갈’을 만드는 일에서 확대되어 ‘된장’, ‘간장’ 등의 종류에 사용됨.▣ 장사진, 장삼이사, 장상전장 - 교본파일(62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88] ◈ 長 生 不 死 (장생불사)【한자】 길 장 / 날 생 / 아니 불 / 죽을 사【의미】 오래 살고 죽지 않는다는 뜻으로, 영생(永生)의 의미로 사용됨.【유의어】▶ 不老長生 (불로장생) : 늙지 않고 오래 삶.【字意】◎ 長(장)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 生(생)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1889] ◈ 匠 石 運 斤 (장석운근)【한자】 장인 장 / 돌 석 / 움직일 운 / 도끼 근【의미】 장석이 도끼를 사용한다는 뜻으로, 고대 전설적 명공(名工)인 장석(匠石)이 자귀를 휘둘러 물건을 만드는데 조금의 착오도 없었다는 데서 ‘기예(技藝)가 오묘한 경지’에 이름을 이르는 말.【字意】◎ 匠(장) 도끼로 상자를 만든다는 의미에서 ‘장인’의 뜻 생성. ◎ 石(석)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큰 ‘석재(石材)’의 의미. ◎ 運(운) 움직여 옮겨 나른다는 의미에서 ‘움직이다’는 뜻을 생성함. ‘軍(군)’은 발음 요소. ◎ 斤(근) 긴 자루 끝에 도끼날을 단 ‘도끼’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혹 현재 자형을 두 개의 도끼를 나란하게 포개어 놓은 모습으로도 설명함.
[1890] ◈ 長 袖 善 舞 (장수선무)【한자】 길 장 / 소매 수 / 좋을 선 / 춤출 무【의미】 소매가 긴 옷은 춤추기 좋다는 뜻으로, 재화(財貨)가 많은 사람은 일을 성취하기 쉽다는 의미.【유의어】▶ 多錢善賈 (다전선고) : 돈이 많은 사람은 장사하기 좋음.【字意】◎ 袖(수) 옷의 소매에서 소매에 넣는 것 같은 ‘감추다’는 의미 파생함. ◎ 善(선) ‘羊+言’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선’의 의미 생성. ◎ 舞(무) 본래 ‘無(무)’가 사람이 소꼬리 같은 것을 양손에 들고 춤추는 모양인데,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없다’는 의미로 변하자 두 발의 움직임을 표현한 ‘舛(천)’을 더해 ‘춤추다’는 별도의 글자를 만듦.▣ 장생불사, 장석운근, 장수선무 - 교본파일(63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양기한자성어1921-1950 (0) | 2013.01.09 |
---|---|
이야기한자성어1891-1920 (0) | 2013.01.09 |
이야기한자성어1831-1860 (0) | 2013.01.09 |
이야기한자성어1801-1830 (0) | 2012.12.21 |
이야기한자성어1771-1800 (0) | 201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