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1891-1920

ria530 2013. 1. 9. 14:03

[1891] 長 幼 有 序 (장유유서)한자길 장 / 어릴 유 / 있을 유 / 차례 서의미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다는 뜻으로, 연장자와 연소자 사이에는 지켜야 할 차례가 있음을 이르는 오륜(五倫)의 하나.참고】▶ 五倫 : 父子有親(부자유친), 君臣有義(군신유의), 夫婦有別(부부유별), 長幼有序(장유유서), 朋友有信.字意()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 힘이 작다[()]는 의미에서 어리다는 뜻 생성. ()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 의미 생성. 자형의 분류에 따라 부수에 포함시킴. () 담을 둘러싸고 있는 건물로 학교의미로 만들어진 글자가, 후에 ()의 실마리와 연결되어 차례의미 파생.

[1892] 莊 周 之 夢 (장주지몽)한자풀성할 장 / 두루 주 / 어조사 지 / 꿈 몽의미장주의 꿈이라는 뜻으로, 자아(自我)와 외계(外界)와의 구별(區別)을 잊어버린 경지(境地)를 이르는 말.고사】▶ 胡蝶夢 (호접몽) : 장주(莊周)가 나비가 된 꿈을 꾸었는데, 꿈이 깬 뒤에 자기가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자기가 된 것인지 분간이 가지 않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함. <莊子(장자)>字意() 풀이 무성하게 잘 자라 있는 것에서 엄정하다는 의미 파생. ‘은 발음. () ‘+의 결합으로 입을 잘 써서 두루 미치다는 의미 생성. ()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1893] 場 中 得 失 (장중득실)한자마당 장 / 가운데 중 / 얻을 득 / 잃을 실의미시험장 안에서의 성공과 실패라는 뜻으로, 과거장에서 잘하는 사람이 낙제하거나 못하는 사람이 급제할 수도 있듯이 일이 생각하지 않게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나, 잘 되어가던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字意() 마당이나 평지의 의미. ‘()’은 발음 요소.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 떨어뜨리거나 놓쳐 잃는다는 의미. ‘손해본다[반대는 ()]’는 의미 파생.장유유서, 장주지몽, 장중득실 - 교본파일(63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94] 掌 中 寶 玉 (장중보옥)한자손바닥 장 / 가운데 중 / 보배 보 / 구슬 옥의미손안의 보옥이라는 뜻으로, 보배처럼 사랑스럽고 소중한 것을 이르는 말.字意() 사람 손바닥의 의미. 위의 ()’은 변화된 발음.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집안에 옥이나 재화가 가득 차 있는 모양으로 보물’, ‘보배의 의미 생성. () 구멍이 뚫린 옥 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1895] 長 枕 大 衾 (장침대금)한자길 장 / 베개 침 / 큰 대 / 이불 금의미긴 베개와 큰 이불이라는 뜻으로, 함께 잠자는 데 편리한 것에서 형제간의 우애나 친구간의 우정이 돈독함을 이르는 말.字意() 목침(木枕) 같은 잠잘 때 베는 베개의 의미. 주로 잠자는 것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됨. 오른쪽은 발음.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잠잘 때 사용하는 이불의 의미.‘()’은 발음.

[1896] 長 醉 不 醒 (장취불성)한자길 장 / 취할 취 / 아니 불 / 깰 성의미오래도록 취해서 깨어나지 못한다는 뜻으로, 늘 술에 취해있어 깨어나지 못하고 흐리멍덩한 생활을 하는 것을 이르는 말.字意()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 술을 마셔 취한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술에서 깨어나다는 의미. ‘()’은 발음.장중보옥, 장침대금, 장취불성 - 교본파일(63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97] 才 德 兼 備 (재덕겸비)한자재주 재 / 덕 덕 / 겸할 겸 / 갖출 비의미재주와 덕이 함께 갖추었다는 뜻으로, 재주와 덕성을 겸하여 갖추고 있는 빼어난 능력을 이르는 말.字意() 본래 식물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재능 있는 인재는 뿌리부터 알아본다는 의미에서 인재’, ‘재주의 의미 파생. ‘()’재목의 의미. () 본래 +++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이 행동과 관련하여 을 첨가함. () ‘++의 결합으로 손으로 두 포기의 벼를 쥐고 있는 모양에서 아우르다’, ‘겸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사람이 물건을 갖추어 준비한다는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으로 사용됨.

[1898] 再 生 之 恩 (재생지은)한자거듭 재 / 날 생 / 어조사 지 / 은혜 은의미다시 살아난 은혜라는 뜻으로, 죽게 된 경우에 살려준 큰 은혜를 이르는 말.구별어】▶ 再生之人 (재생지인) : 죽을 고비를 넘기고 난 사람.字意() 나무를 쌓은 모양에 을 더해 거듭 중복해서 처리한다는 의미. ()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 사람의 마음이 선량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에서 은혜의 의미 생성.

[1899] 才 勝 德 薄 (재승덕박)한자재주 재 / 이길 승 / 덕 덕 / 엷을 박의미재주는 나으나 덕은 엷다는 뜻으로, 재주는 있으나 덕이 적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才勝德 (재승덕) : 재주가 덕보다 많음.字意() []으로 이기다는 의미 생성. ‘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발음부호. 후에 이기기 위해 견디다는 의미와 이겨서 낫다는 의미로 인해 빼어난 경치까지 확대됨. 상대어인 지다는 의미는 ()’()’. () 풀이 아주 작고 얇아 물에 뜰 정도라는 의미에서 얇다는 의미 생성. 후에 천하다’, ‘야박하다등의 의미 파생.재덕겸비, 재생지은, 재승덕박 - 교본파일(63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00] 才 子 佳 人 (재자가인)한자재주 재 / 아들 자 / 아름다울 가 / 사람 인의미재주가 있는 사람과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뜻으로, 보통 재주 있는 젊은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를 일컬음.동의어】▶ 佳人才子 (가인재자).字意() 본래 식물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재능 있는 인재는 뿌리부터 알아본다는 의미에서 인재’, ‘재주의 의미 파생. ‘()’재목의 의미.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내적 아름다움의 의미. ‘()’는 외적 아름다움 표현.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1901] 才 子 多 病 (재자다병)한자재주 재 / 아들 자 / 많을 다 / 병 병의미재능이 있는 사람은 병이 많다는 뜻으로, 재능이 너무 뛰어난 사람은 오히려 운명이 각박하다는 의미.유의어】▶ 美人薄命 (미인박명).字意() 본래는 고기[]를 포개놓은 모양에서 많다생성. () 사람이 병이 걸려 침상에 누워있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은 발음.

[1902] 才 學 識 三 長 (재학식삼장)한자재주 재 / 배울 학 / 알 식 / 석 삼 / 길 장의미재주와 학문과 식견 세 방면에 빼어나다는 뜻으로, 훌륭한 역사를 쓰는 데는 이 세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는 말에서 유래됨.字義()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의 배우다는 뜻 생성. () 말로 설명해 안다는 의미. ‘기억하다’, ‘외다는 의미로는 ()발음. 모두 오른쪽 부분[+]이 발음 역할. ()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재자가인, 재자다병, 재학식삼장 - 교본파일(63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03] 低 頭 平 身 (저두평신)한자낮을 저 / 머리 두 / 평평할 평 / 몸 신의미머리를 낮게 하고 몸을 숙인다는 뜻으로, 사죄의 마음으로 머리를 숙이고 몸을 낮춘다는 의미.동의어】▶ 平身低頭 (평신저두) .유의어】▶ 低頭傾首 (저두경수) : 머리를 숙임. 근신하는 모양.字意() 사람이 몸을 숙이고 있다는 의미에서 낮다’, ‘숙이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는 발음으로도 사용됨. () ‘()’는 발음, ‘()’머리의 뜻. 후에 우두머리의 의미 확대. () 기운이 위로 퍼져 올라가면서 나뉘어[()] 평평하게 퍼져 깔린다는 의미에서 평평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1904] 樗 櫟 之 材 (저력지재)한자가죽나무 저 / 상수리나무 력 / 어조사 지 / 재목 재의미가죽나무와 상수리나무의 재목이라는 뜻으로, 별 쓸모가 없는 나무라는 의미에서 무능한 사람이나 쓸모 없는 물건 등의 의미로 사용됨.준말】▶ 樗櫟 (저력) / 樗材 (저재).字意() 가죽나무의 뜻으로, 쓸모 없는 물건 뜻도 파생. () 상수리나무의 뜻. ‘()’은 발음 역할. () 본래 식물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재능 있는 인재는 부리부터 알아본다는 의미에서 인재’, ‘재주의 의미 파생. ‘()’재목의 의미.

[1905] 低 首 下 心 (저수하심)한자낮을 저 / 머리 수 / 아래 하 / 마음 심의미머리를 숙이고 마음을 억누른다는 뜻으로, 상대에게 굴복(屈服)함을 의미하는 말.字意() 사람의 코[]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 기준선 아래에 표시해 아래의 의미를 나타냄.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저두평신, 저력지재, 저수하심 - 교본파일(63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06] 赤 口 毒 舌 (적구독설)한자붉을 적 / 입 구 / 독 독 / 혀 설의미적나라하고 혹독한 말이라는 뜻으로, 남을 몹시 비난하고 저주하는 심한 욕설(辱說)을 이르는 말.字意() 가 결합하여 사람이 불을 쬔다는 의미에서 붉다는 의미를 도출해낸 글자로 봄. ()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의 의미까지 파생함. () [()]과 음란하다[()]의 결합으로 사람을 음란하게 만드는 풀이 무성해 진다는 의미에서 방해하는 의 의미 생성. () 입과 혀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거나 입과 범한다는 의미의 결합으로도 봄

[1907] 適 口 之 餠 (적구지병)한자갈 적 / 입 구 / 어조사 지 / 떡 병의미입에 맞는 떡이라는 뜻으로, 꼭 마음에 드는 사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되는 속담(俗談)을 한역한 말.字意() 필요한 곳으로 나아가다는 의미에서 가다마땅하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의 의미까지 파생함. () 밀보리 등으로 만든 의 의미. ‘()’은 발음.

[1908] 積 年 累 月 (적년누월)한자쌓을 적 / 해 년 / 쌓을 루 / 달 월의미해를 쌓고 달을 거듭한다는 뜻으로, 오랜 시간이나 세월을 이르는 말.字意() 곡식을 모은다는 의미에서 쌓다’, ‘모이다등의 파생함. ()은 발음 요소. () 사람이 가을에 수확한 농작물[]을 메고 가고 있는 모양에서 한 해를 마감한다는 의미로 ’, ‘나이등 생성. () 포개어 쌓았다는 의미거나, 실로 물건을 묶는 모양. () 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항상 차있는 해[]와 구별해서 차고 기우는 달의 형상에서 이지러지는 달의 모양을 본떠 만듦. ‘이나 시기’, ‘시간등의 의미로 활용됨.

[1909] 賊 反 荷 杖 (적반하장)한자도적 적 / 도리어 반 / 맬 하 / 몽둥이 장의미도적이 도리어 몽둥이를 맨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에게 시비나 트집을 거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不蔽風雨 主客顚倒 (주객전도): 주인과 객이 뒤바뀜.字意() 재물[]을 창[]으로 빼앗는다는 의미에서 도적의 의미 생성. ‘의 입성 표현을 위해 사용. () 사람의 손으로 언덕을 기어올라가는 모양에서 평지가 아닌 반대되는 언덕을 올라간다는 의미에서 반대뜻 파생. ()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연꽃의 의미에서 후에 짊어지다로 확대되어 ’, ‘메다등을 파생함. () ‘()’을 이용해 지팡이나 몽둥이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

[1910] 赤 貧 如 洗 (적빈여세)한자붉을 적 / 가난할 빈 / 같을 여 / 씻을 세의미몹시 가난함이 마치 씻은 듯하다는 뜻으로, 너무 가난하여 아무것도 없는 것이 마치 씻어내어 깨끗한 것과 같이 가난하다는 의미.유의어不蔽風雨 (불폐풍우) : 비바람도 가리지 못하는 가난함. 三旬九食 (삼순구식) : 한 달 동안 아홉 번 먹음.字意() 가 결합하여 사람이 불을 쬔다는 의미에서 붉다는 의미를 도출해낸 글자로 봄. () 재물이 없어 곤궁하고 가난하다는 의미. ‘탐욕스럽다는 의미의 [()]과 자형 구별에 유의.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물로 씻다는 의미에서 후에 깨끗하다는 의미까지 생성함.

[1911] 積 善 餘 慶 (적선여경)한자쌓을 적 / 착할 선 / 남을 여 / 경사 경의미선을 쌓은 것이 경사스러운 복이 남을 정도라는 뜻으로, 선행을 많이 쌓은 사람은 그 좋은 복됨이 자신뿐만 아니라 자손에게까지 미칠 정도라는 의미.원문】▶ 積善之家 必有餘慶 (적선지가 필유여경).字意() 곡식을 모은다는 의미에서 쌓다’, ‘모이다등의 파생함. ‘()’은 발음 요소. ()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의 의미 생성. () 먹을 것이 충분하다는 의미에서 여유롭다’, ‘남다는 의미 생성. () 위부분은 사슴 록[鹿]의 변형. 곧 사슴은 얻은 기쁜 마음에 만지고 있는 모양에서 경사스러움의 의미 생성.적반하장, 적빈여장, 적선여경 - 교본파일(63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12] 積 小 成 大 (적소성대)한자쌓을 적 / 작을 소 / 이룰 성 / 큰 대의미작은 것을 쌓아 큰 것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쌓이면 큰 것이 됨을 이르는 말.유의어】▶ 積土成山 (적토성산) : 티끌 모아 태산.字意() 곡식을 모은다는 의미에서 쌓다’, ‘모이다등의 파생함. ‘()’은 발음 요소. () 작다는 의미를 만들기 위해 중심 좌우에 작은 점으로 표시함.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1913] 赤 手 空 拳 (적수공권)한자붉을 적 / 손 수 / 빌 공 / 주먹 권의미맨손 빈주먹이라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빈손의 의미. 준말은 적수(赤手)字意() 가 결합하여 사람이 불을 쬔다는 의미에서 붉다는 의미를 도출해낸 글자로 봄. () 다섯 손가락을 펼치고 있는 의 모양을 본뜬 글자. () 구멍[()]이 비어있다는 의미에서 비다’, ‘헛되다등의 의미 생성. () 손바닥을 모아 뭉친 상태의 주먹의 의미.

[1914] 赤 手 成 家 (적수성가)한자붉을 적 / 손 수 / 이룰 성 / 집 가의미맨손으로 집안을 이루었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에 태어나 맨손으로 살림을 이루어냄을 이르는 말.유의어】▶ 自手成家 (자수성가).字意()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 ‘가정의 의미로 사용.적소성대, 적수공권, 적수성가 - 교본파일(63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15] 積 水 成 淵 (적수성연)한자쌓을 적 / 물 수 / 이룰 성 / 연못 연의미물을 쌓아서 연못을 이룬다는 뜻으로, 적은 양의 물도 모이면 큰못을 이루듯이 작은 것도 모이면 크게 됨을 이르는 말. [= 積土成山 (적토성산), 積善成德 (적선성덕)]유의어積小成大 (적소성대) : 작은 것을 쌓아 큰 것을 이룸.塵合泰山 (진합태산) : 티끌 모아 태산.字意() 곡식을 모은다는 의미에서 쌓다’, ‘모이다등의 파생함. ‘()’은 발음 요소. () 물이 흘러가는 모양. ‘()얼음’, ‘()길다등 구별에 유의.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물이 깊이 차서 모여있다는 의미에서 연못의미 생성. 오른쪽이 발음역할도 함.

[1916] 積 薪 之 嘆 (적신지탄)한자쌓을 적 / 섶나무 신 / 어조사 지 / 탄식할 탄의미섶나무를 쌓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땔감을 쌓을 때 새로 해온 것을 늘 위에 있고, 먼저 해 온 것은 늘 아래에 눌려있듯이, 상급자로 승진하지 못하고 항상 남의 아랫자리에 머물러 있음을 한탄하는 말.字意() 섶나무나 땔나무의 의미. ‘()’은 발음 역할. () ‘한숨쉬다’, ‘탄식하다는 의미인데, ‘()’탄식하다는 의미에서는 통용됨

[1917] 積 惡 餘 殃 (적악여앙)한자쌓을 적 / 악할 악 / 남을 여 / 재앙 앙의미악을 쌓아 재앙을 남긴다는 뜻으로, 쌓이고 쌓인 악행의 보복으로 재앙이 자손에게 미침을 이르는 말.원문】▶ 積惡之家 必有餘殃 (적악지가 필유여앙): 악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남겨지는 재앙 있다.반의어】▶ 積善餘慶 (적선여경) : 선을 쌓아 복을 남김.字意() 죽음과 같은 나쁜 것의 의미. ‘미워하다()발음. () 먹을 것이 충분하다는 의미에서 여유롭다’, ‘남다는 의미 생성. () 신령이 내리는 재앙의 의미. ‘()’은 발음 역할.적수성연, 적신지탄, 적악여앙 - 교본파일(63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18] 積 如 邱 山 (적여구산)한자쌓을 적 / 같을 여 / 언덕 구 산語義쌓인 것이 구릉이나 산과 같다는 뜻으로, 산처럼 많이 쌓여 있어 지천으로 많음을 이르는 말.字意() 곡식을 모은다는 의미에서 쌓다’, ‘모이다등의 파생함. ‘()’은 발음 요소.()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공자의 이름자인 ()’ 대신한 언덕의미.() 솟아 있는 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1919] 寂 然 不 動 (적연부동}語義조용하고 고요하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쓸쓸하고 고요하게 움직이지 않고 적막하게 있다는 의미.字意() 집 안이 적막하고 조용하다는 의미에서 고요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쓸쓸하다등의 의미 파생. 은 발음요소. () 개고기를 불에 굽는 모양에서 독특한 냄새로 인해 안 보고도 알 수 있다는 의미의 그러하다는 뜻 생성.

[1920] 積 羽 沈 舟 (적우침주)한자쌓을 적 / 깃 우 / 가라앉을 침 / 배 주語義깃털을 쌓아 배를 침몰시킨다는 뜻으로, 가벼운 깃털도 많이 쌓이면 무거워져 배도 가라앉게 만들 수 있는 것처럼 작은 것도 쌓이면 큰 것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積土成山 (적토성산) : 흙을 쌓아 산을 만듦.字意() 새의 두 날개나 긴 깃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이나 날개를 의미함. () 물 속에 가라앉는다는 의미에서 빠지다등의 의미 생성. 성씨의 경우는 () 발음. () '통나무배'의 모양을 본뜬 글자.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951-1980  (0) 2013.01.09
이양기한자성어1921-1950  (0) 2013.01.09
이야기한자성어1861-1890  (0) 2013.01.09
이야기한자성어1831-1860  (0) 2013.01.09
이야기한자성어1801-1830  (0) 2012.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