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1801-1830

ria530 2012. 12. 21. 11:30

[1801] 一 箭 雙 雕 (일전쌍조)한자한 일 / 화살 전 / 쌍 쌍 / 수리 조의미하나의 화살로 두 마리 수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얻는다는 의미.유의어一石二鳥 (일석이조) : 하나의 돌로 두 마리 새를 잡음一擧兩得 (일거양득) : 하나를 들어 둘을 얻음.참고】▶ 一箭貫雙雕 (일전관쌍조) : 한 화살로 두 마리 수리를 쏨. 곧 활 쏘는 재주가 뛰어남.字意() 대나무로 만든 화살대에서 화살의미 생성. ‘()’은 발음. () 두 마리 새를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 ‘독수리의 의미. 후에 새기다[=()]’시들다[=()’ 등과 통용됨.

[1802] 一 塵 不 染 (일진불염)한자한 일 / 티클 진 / 아니 불 / 물들일 염의미하나의 티끌도 물들지 않는다는 뜻으로, 조금도 물욕(物慾)에 물들지 않는 것처럼, 관리 따위의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洗手奉職 (세수봉직) : 손을 씻고 공직에 봉사함.字意() 본래는 (鹿)’자 세 개와 아래 흙 토()’를 결합한 것으로, 사슴무리가 달리면서 흙먼지를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먼지’, ‘티끌의 뜻을 생성. 후에 속세나 속사(俗事)의 의미 파생. () 물감이 되는 나무를 여러 번 물에 적신다는 뜻에서 물들이다는 의미 생성.

[1803] 一 進 一 退 (일진일퇴)한자한 일 / 나아갈 진 / 한 일 / 물러날 퇴의미한 번 나아갔다가 한 번 물러난다는 뜻으로, 성했다 쇠했다 한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힘이 서로 맞먹어 이겼다 졌다함을 이르는 말.字意()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다는 의미. 후에 벼슬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는 발음 요소. 退() 물러나거나 물리친다는 의미. ‘()’은 발음요소로도 사용됨.일전쌍조, 일진불염, 일진일퇴 - 교본파일(50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04] 一 切 唯 心 造 (일체유심조)한자한 일 / 온통 체 / 오직 유 / 마음 심 / 지을 조의미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내는 것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에 달려있음을 깨달으라는 불교(佛敎) 용어.字義() 칼로 물건을 베는 의미에서 끊다는 의미 생성. 후에 정성스럽고 적절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간절하다는 뜻 생성. ()은 발음 요소. () 오로지 대답하다는 의미에서 오직의 의미를 생성함. ‘()’는 발음 요소.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 일을 하러 나아간다는 의미에서 후에 완성되다는 뜻으로 만들다’, ‘짓다등의 의미를 파생함. ‘()’는 발음 요소.

[1805] 一 觸 卽 發 (일촉즉발)한자한 일 / 닿을 촉 / 곧 즉 / 나갈 발의미한 번 닿으면 곧 터진다는 뜻으로, 위급하고 절박한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危機一髮 (위기일발) : 당장 끊어질 듯한 위험한 순간.焦眉之急 (초미지급) : 눈썹이 타는 다급함.字意() 뿔로 찌르고 받는다는 의미에서 닿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 때를 넘기지 않고 그 자리에서 바로라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 발을 벌리고 활을 당기는 모양에서 쏘다는 의미를 생성하고, ‘발생하다등의 의미를 파생함

[1806] 一 寸 光 陰 (일촌광음)한자한 일 / 마디 촌 / 빛 광 / 음지 음의미한 마디 밖에 안 되는 시간이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시간을 이르는 말.출전】▶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 (소년이노학난성 일촌광음불가경): 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 한 마디 같은 짧은 시간이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 <朱子, 偶成詩>字意() 손 의미의 ()’에 맥박 의미 부호를 합쳐, 손목과 맥박이 뒤는 위치까지의 거리, 곧 손가락 하나 정도 끼울 수 있는 거리 의미한 마디. () 소중한 불을 사람이 관리한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 응달의 의미에서 후에 어둡고 깊숙하다등의 의미를 파생함.일체유심조, 일촉즉발, 일촌광음 - 교본파일(60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07] 日 就 月 將 (일취월장)한자날 일 / 나아갈 취 / 달 월 / 장차 장의미날로 나아가고 달로 성장한다는 뜻으로, 나날이 자라고 발전한다는 의미.동의어】▶ 日將月就 (일장월취).字意()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의 흑점으로 설명. 매일 출몰(出沒)하는 것으로 인해 의 의미 파생. () 사람 손으로 높게 쌓아 올린 망루가 남다르다[]는 의미에서 더욱 이루어내다는 의미를 파생함. ()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도 표현. () 나무 위에 고기를 놓고 요리하려는 의미에서 앞으로 일어날 상황장차의 의미 생성. 후에 장수의 의미 파생.

[1808] 一 炊 之 夢 (일취지몽)한자한 일 / 불땔 취 / 어조사 어 / 꿈 몽의미한 번 밥짓는 동안의 꿈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부귀영화(富貴榮華)가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고사당나라 때 노생이 한단 땅의 주막에서 여옹이라는 선인의 봇짐을 베고 잠이 들어 꿈속에서 50년 간의 영화를 누리다가 깨어보니 주막의 밥짓는 사이의 시간에 불과했다는 허무함을 의미하는 일장춘몽(一場春夢)의 고사에서 유래.동의어】▶ 邯鄲之夢 (한단지몽) : 黃粱之夢(황량지몽).字意()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1809] 一 敗 塗 地 (일패도지)한자한 일 / 패할 패 / 칠할 도 / 땅 지의미한 번 패해서 땅을 더럽힌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는 일어설 수 없음을 비유한 말.출전()나라 말 패현(沛縣)의 현령으로 추대된 유방(劉邦)이 사양하며 남긴 말에서 유래된 고사로, 유방의 한()나라의 기틀이 마련된 시기의 배경을 지니고 있음. <史記>字意() 화패 개념의 ()’를 두드려 깬다는 의미에서 깨뜨리다’, ‘패하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 본래 진흙의 의미인데, 흙을 바르다는 의미에서 칠하다와 후에 길의 의미인 ()’와 통용됨. ()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를 결합해서 만듦.일취월장, 일취지몽, 일패도지 - 교본파일(60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10] 一 片 丹 心 (일편단심)한자한 일 / 조각 편 / 붉을 단 / 마음 심의미한 조각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정에서 우러나오는 충성된 마음, 혹은 참된 정성의 의미.유의어】▶ 匪石之心 (비석지심) : 돌처럼 구르지 않는 굳은 마음.字意() 나무를 쪼갠 한 쪽 조각의 의미. 반대쪽 조각도 ()’으로 조각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 () 땅 속에 붉은 빛 광물을 점으로 표현함.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

[1811] 一 筆 揮 之 (일필휘지)한자한 일 / 붓 필 / 휘두를 휘 / 어조사 지의미한 번 쓰는 붓이 휘날린다는 뜻으로, 단숨에 힘차게 글씨를 내리쓰는 것처럼 달필(達筆)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字意()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을 더함.() 손을 휘둘러 명령한다는 의미에서 지휘하다는 의미와 지휘하는 깃발인 대장기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로도 활용됨.

[1812] 一 毫 半 點 (일호반점)한자한 일 / 가는털 호 / 반 반 / 점 점의미하나의 가는 털과 한 점의 반이라는 뜻으로, 극히 작은 정도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一毫]유의어】▶ 秋毫 (추호) : 가을철 짐승의 미세한 터럭.字意() 길고 끝이 뾰족한 가는 털의 의미에서 작은 것등의 의미 파생. () 본래 소를 도살한 후 반으로 가른다는 의미에서 절반의미 생성.() 흔적을 남기는 의 의미에서 점찍다등 다양하게 의미가 파생됨.일편단심, 일필휘지, 일호반점 - 교본파일(60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13] 一 攫 千 金 (일확천금)한자한 일 / 붙잡을 확 / 일천 천 / 쇠 금의미한 번에 천금을 움켜쥔다는 뜻으로, 힘들이지 않고 단번에 많은 재물을 얻는다는 의미.字意() 손으로 붙잡다는 뜻에서 후에 빼앗아 움켜쥔다는 의미 파생. () 사람[]에 하나[]를 그어 숫자 일천을 의미함. () 땅 속에서 금속이 드러나 있는 모양에 발음 을 더함. 금속의 대표격으로 사용되고 성씨에서는 ‘()’으로 발음됨.

[1814] 一 喜 一 悲 (일희일비)한자한 일 / 기쁠 희 / 한 일 / 슬플 비의미한 번은 기쁘고 한 번은 슬프다는 뜻으로, 기쁨과 슬픔이 번갈아 일어난다는 의미나, 혹은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슬프다는 의미.字意() 변형된 북의 모양에 사람의 입을 더해 기쁨의 소리를 낸다는 의미에서 기쁘다는 의미를 생성함. () 마음이 서럽고 슬프다는 의미. ‘()’는 발음. 불교에서는 가엾게 여겨 은혜를 베푸는 동정의 의미로 사용됨.

[1815] 臨 渴 掘 井 (임갈굴정)한자임할 림 / 목마를 갈 / 팔 굴 / 우물 정의미목마름에 임해서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평소의 준비가 없으면 갑작스러운 일을 당했을 때 당황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渴而穿井 (갈이천정) : 목마르고 나서야 우물을 팜.字意() 사람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의미에서 군림하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요소. () ‘목마르다는 의미와 급하다는 뜻도 파생. ‘()’은 발음. () 우묵하게 파내다는 의미에서 후에 구멍을 뚫다는 의미도 파생함. () ‘자 모양의 우물틀에서 생성. 사방 일리(一里)마을의미도 있음.일확천금, 일희일비, 임갈굴정 - 교본파일(60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16] 臨 機 應 變 (임기응변)한자임할 림 / 틀 기 / 응할 응 / 변할 변의미때에 임해서 응하고 고친다는 뜻으로, 그때 그의 사정과 형편을 보아 그에 알맞게 그 자리에서 처리한다는 의미.동의어】▶ 臨時應辯 (임시응변)字意() 사람을 위에서 내려다 보는 의미에서 군림하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요소. ()본래 옷감을 짜는 의 의미를 지닌 글자로, 후에 일의 상황이라는 기회’, ‘의 의미와 함께 기미의 의미 파생. 현대에는 기계의 뜻으로도 사용됨. ‘()’는 발음. () 머리부터 발끝까지 시냇물의 흐름처럼 순리대로 이르다는 의미에서 순하다’, ‘따르다등의 의미 생성. () 말이 오고 가면서 주제가 바뀌는 것으로 인해 변하다는 의미. 후에 변고(變故)’재앙(災殃)’의 의미 파생.

[1817] 臨 農 奪 耕 (임농탈경)한자임할 림 / 농사 농 / 빼앗을 탈 / 밭갈 경의미농사에 임해서 경작지를 빼앗는다는 뜻으로, 농사철에 이르러 소작인을 바꾸는 것처럼 이미 다 마련된 것이 헛되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관련속담】▶ 다 된 죽에 코 풀기.字意() 곡식을 베는 모양에서 농사의 의미를 생성함. () 손으로 새를 잡으려다가 놓친다는 의미에서 빼앗다는 의미를 생성함. () 밭을 가는 쟁기와 농업 용수의 상징인 우물을 합해 농사짓는다는 의미 생성.

[1818] 臨 時 變 通 (임시변통)한자임할 림 / 때 시 / 변할 변 / 통할 통의미일시적 시기에 임해서 고쳐서 통하게 한다는 뜻으로, 예기치 않던 일을 당하여 우선 아쉬운 대로 둘러 맞춰서 잠시 처리한다는 의미.동의어】▶ 臨時處變 (임시처변)유의어】▶ 姑息之計 (고식지계) : 잠시 쉬는 계책. 彌縫策(미봉책)속담】▶ 언 발에 오줌누는 격.字意() 때를 구분하는 시간의 의미. ()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임기응변, 임농탈경, 임시변통 - 교본파일(60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19] 臨 財 無 求 得 (임재무구득)한자임할 림 / 재물 재 / 없을 무 / 구할 구 / 얻을 득의미재물에 임해서는 구차하게 구하지 말라는 뜻으로, 재물에 있어서는 에 합당한지를 먼저 보고 구차하게 얻으려고 하지 말라는 의미.유의어】▶ 臨難無求免 (임난무구면): 어려움에 임해서는 구차하게 면하지 말라.字義() 재화로 활용되는 것에서 재물의 의미 생성. ()가 발음. () 본래 털가죽으로 만든 사람의 옷 모양인데, 후에 털가죽 옷을 조여 입어 다잡다는 의미에서 구하다는 의미로 변화되었고, 털옷은 ()자를 아래에 붙여서 사용하고 구제하다는 의미는 ()’를 별도로 만듦. ()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1820] 臨 戰 無 退 (임전무퇴)한자임할 림 / 싸울 전 / 없을 무 / 물러날 퇴의미전쟁에 임해서는 물러남이 없다는 뜻으로, 세속오계(世俗五戒)의 하나인데, 전쟁에 임하여 물러나지 않아야 한다는 계율. 世俗五戒】▶ 事君以忠(사군이충) / 事親以孝(사친이효) / 交友以信(교우이신) / 臨戰無退 / 殺生有擇(살생유택)字意() ‘()’()’ 모두 무기를 의미해 무기들이 충돌하는 전쟁의 의미 생성. 후에 두려워하다는 의미 파생. ()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를 만듦. 退() 물러나거나 물리친다는 의미. ‘()’은 발음요소로도 사용됨

[1821] 臨 河 羨 魚 (임하선어)한자임할 림 / 물 하 / 부러울 선 / 물고기 어의미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출전】▶ 臨河羨魚 不如歸家結網 (임하선어 불여귀가결망): 물가에서 물고기를 바라기보다는 집에 돌아가 그물을 짜는 것이 낫다. 곧 헛된 욕망보다는 실천하는 것이 더 좋다는 의미字意() 강 이름에서 ’, ‘의 범칭이 됨. 고대 중국 북방의 강 칭호로 사용되었고, 남방은 ()’을 주로 사용함. () 욕망에 이끌려 침을 흘린다는 의미에서 부러워하다’, ‘탐내다등의 뜻을 생성함. ()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임재무구득, 임전무퇴, 임하선어 - 교본파일(60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22] 入 國 問 俗 (입국문속)한자들 입 / 나라 국 / 물을 문 / 풍속 속의미나라에 들어가면 풍속을 묻는다는 뜻으로, 그 나라에 들어가면 그 나라 풍속을 따라서 좇아야 함을 이르는 말. [ = 入境問俗(입경문속) ]유의어】▶ 入鄕循俗 (입향순속) : 그 향리에 들어가면 그 향리 풍속에 따름.字意() 두 개의 부호로 들어가는 모양을 의미한 글자. () 영역을 무기[]를 들고 지키는 상황을 표현해 영토를 지닌 국가의 개념을 만듦. () 입으로 상대에게 묻는다는 의미에서 묻다생성. ‘은 발음 역할. () 사람들의 삶과 질서에 관한 양상. ‘()’은 발음 역할.

[1823] 粒 粒 辛 苦 (입립신고)한자알 립 / 알 립 / 매울 신 / 쓸 고의미쌀알 하나 하나가 고통과 괴로움이라는 뜻으로, 쌀알 하나 하나가 모두 다 농부의 애써 고생한 결과라는 의미.字意() ‘쌀알의 의미에서 알 같이 생긴 구슬, 환약 등의 모양으로 확대됨. () 양기(陽氣)가 죄()에 빠져 괴롭다는 의미 파생. ()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는 발음.

[1824] 入 山 忌 虎 (입산기호)한자들 입 / 산 산 / 꺼릴 기 / 호랑이 호의미산에 들어가 범을 꺼린다는 뜻으로, 산에 들어가 범 잡는 일을 기피하는 것처럼, 정작 목적한 바를 당해서는 꽁무니를 뺀다는 의미.字意() 솟아 있는 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마음속으로 두려워하여 멀리하고 미워한다는 의미에서 꺼리다는 뜻을 생성함. ‘()’는 발음. ()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입국문속, 입립신고, 입산기호 - 교본파일(60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25] 立 身 揚 名 (입신양명)한자설 립 / 몸 신 / 드날릴 양 / 이름 명의미몸을 세워 이름을 드날린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드날리는 것이 효도의 마침이라는 의미. 출전】▶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孝之終也.(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효지종야)<孝經(효경)>字意() 사람이 땅위에 서 있는 모양에서 서다는 의미 생성. () 본래 여자가 임신을 해서 배가 불룩한 상태를 표현한 것인데, 후에 사람의 몸의 의미로 사용됨. () 위로 쳐들어 올린다는 의미에서 오르다’, ‘날리다’, ‘알려지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 어두운 저녁[]에 만난 상대를 확인하기 위해 부른다[]는 의미에서 이름의 의미 생성

[1826] 立 錐 之 地 (입추지지)한자설 립 / 송곳 추 / 어조사 지 / 땅 지의미송곳을 세울만한 땅이라는 뜻으로, 극히 좁은 땅을 의미하거나 많은 군중이 모여있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 置錐之地(치추지지)]유의어】▶ 立錐之餘地 (입추지여지) : 송곳을 세울만한 남은 땅.字意() 쇠붙이로 된 구멍 뚫는 도구인 송곳의미. 혹 화살촉으로도 봄. ()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를 결합해서 만듦.

[1827] 立 春 大 吉 (입춘대길)한자설 립 / 봄 춘 / 큰 대 / 길할 길의미입춘에 큰 길운이라는 뜻으로, 봄을 맞이하여 모든 길한 것들이 다 들어오라는 의미로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써서 붙여서 복운을 기원하는 입춘첩(立春帖)의 하나임.출전】▶ 立春大吉 建陽多慶 (-- 건양다경) : 입춘을 맞이해 크게 복된 운이 생기고, 따스한 기운이 일어나니 경사스러움이 많으리라.字意()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도끼를 들고 특정 지역을 지키고 있는 모양에서 좋고 편안한 길함의 의미 생성. 상대자는 ()’.입신양명, 입추지지, 입춘대길 - 교본파일(60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828] 自 家 撞 着 (자가당착)한자스스로 자 / 집 가 / 칠 당 / 붙을 착의미자신이 친 것이 그대로 자신에게 붙는다는 뜻으로, 같은 사람의 언행이 앞뒤가 맞지 않아 전후가 모순(矛盾)됨을 의미함.유의어】▶ 自繩自縛 (자승자박) : 자신이 자신을 묶고 속박함.字意()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의 의미 파생. ()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 ‘가정의 의미로 사용. () 두드려서 치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드러내다는 의미의 ()’자의 속자(俗字). 하지만 동일하게 사용되지 않고, ‘붙다’, ‘입다‘()발음경우만 사용됨.

[1829] 自 强 不 息 (자강불식)한자스스로 자 / 강할 강 / 아니 불 / 쉴 식의미스스로 강해지려 하며 쉬지 않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힘써 행하여 쉬지 않고 노력한다는 의미.유의어】▶ 不恥下問 (불치하문) :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음.字意() 본래 벌레의 종류를 의미했는데, 후에 약한 벌레에 역설적으로 강하다는 의미를 부여함. 왼쪽의 ()’은 발음 변화. () 사람의 의 의미인 ()’와 마음[]을 합해 마음을 차분하게 지니면 숨도 차분하게 쉰다는 의미에서 숨 고르다’, ‘쉬다는 의미 도출.

[1830] 自 激 之 心 (자격지심)한자스스로 자 / 격렬할 격 / 어조사 지 / 마음 심의미자신을 격하게 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제 스스로 미흡(未洽)하게 여기는 마음.유의어】▶ 自曲之心 (자곡지심) : 허물이 있는 사람이 스스로 고깝게 여기는 마음.字意() 강한 물살이 흘러 내려가면서 부딪쳐 물보라가 튀는 상황에서 격렬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자가당착, 자강불식, 자격지심 - 교본파일(61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861-1890  (0) 2013.01.09
이야기한자성어1831-1860  (0) 2013.01.09
이야기한자성어1771-1800  (0) 2012.12.21
이야기한자성어1741-1770  (0) 2012.12.21
이야기한자성어1711-1740  (0) 2012.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