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1] ◈ 知 名 之 士 (지명지사)【한자】 알 지 / 이름 명 / 어조사 지 / 선비 사【의미】 이름을 아는 선비라는 뜻으로, 이름이 세상이 널리 알려져 드러난 사람. [= 知名人士(지명인사)]【유의어】▶ 著名人士 (저명인사) : 이름이 드러난 인사▶ 有名人士 (유명인사) : 이름난 인사.【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名(명) 어두운 저녁[夕]에 만난 상대를 확인하기 위해 부른다[口]는 의미에서 ‘이름’의 의미 생성. ◎ 士(사) 넓적한 날로 된 도끼의 모양에서 도끼를 다루는 남자의 상징으로 사용됨. 후에 신분의 계급으로 변화됨.
[2072] ◈ 知 斧 斫 足 (지부작족)【한자】 알 지 / 도끼 부 / 벨 작 / 발 족【의미】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힌다는 뜻의 우리말 속담을 한역한 것으로, 믿는 사람에게서 배신을 당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斧(부) 벌목이나 의장(儀仗) 등 다양한 용도의 도끼의 의미. 父(부)는 발음. ◎ 斫(작) 도끼로 찍어서 ‘베다’는 의미. ◎ 足(족) 발 모양의 ‘止(지)’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ᄆ’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후에 ‘만족하다’는 의미로 확대됨.
[2073] ◈ 指 不 勝 屈 (지불승굴)【한자】 손가락 지 / 아니 불 / 이길 승 / 굽힐 굴【의미】 손가락으로 이루 다 굽힐 수 없다는 뜻으로, 수효가 너무 많아서 이루 다 손꼽아 셀 수 없음을 이르는 말.【字意】◎ 指(지) 손가락의 의미에서 ‘가리키다’, ‘지시하다’ 등의 뜻 파생. ◎ 勝(승) 힘[力]으로 ‘이기다’는 의미 생성. ‘力’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발음부호. 후에 이기기 위해 ‘견디다’는 의미와 이겨서 ‘낫다’는 의미로 인해 ‘빼어난 경치’까지 확대됨. 상대어인 ‘지다’는 의미는 ‘敗(패)’와 ‘負(부)’. ◎ 屈(굴) 구부러지거나 휘어진 것으로 인해 ‘굽다’는 의미를 생성함.▣ 지명지사, 지부작족, 지불승굴 - 교본파일(69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74] ◈ 至 上 命 令 (지상명령)【한자】 지극할 지 / 윗 상 / 명령 명 / 명령 령【의미】 지극히 높은 명령이라는 뜻으로, 행위의 결과에 구애됨이 없이 행위 그것 자체가 선(善)이기 때문에 무조건 그 수행이 요구되는 도덕적 명령. 칸트 철학.【동의어】▶ 定言的命令 (정언적명령)【字意】◎ 至(지) 새가 날아 내려오는 모양에 땅에 닿았다[아래 ᅳ]는 의미를 합쳐 새가 땅에 내려왔다는 ‘이르다’, ‘미치다’ 등의 뜻 도출. 여기서는 ‘지극하다’는 뜻. ◎ 上(상)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위’라는 의미 나타냄. ◎ 命(명) 신전에서 신의 계시를 받는 모양으로 설명하거나 왕이 명령[令]을 입[口]으로 한다는 것에서 ‘목숨’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으로 ‘목숨’이나 ‘명령’의 의미로 분석함. ◎ 令(령) 사람들을 굴복시킨다는 의미에서 ‘명령’의 의미 파생. 후에 ‘우두머리’, ‘좋다’ 등의 의미 파생
[2075] ◈ 至 誠 感 天 (지성감천)【한자】 지극할 지 / 정성 성 / 느낄 감 / 하늘 천【의미】 지극한 정성은 하늘을 감동시킨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든 정성을 다하면 아주 어려운 일도 순조롭게 풀리어 좋은 결과를 맺을 수 있다는 말. 【字意】◎ 誠(성) 말로 진실되게 표현한다는 의미에서 ‘정성스럽다’는 의미를 생성함. 成(성)은 발음. ◎ 感(감)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느끼다, 감동하다’는 의미. ‘咸(함)’은 변화된 발음.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땅[地]’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也’를 결합해서 만듦.
[2076] ◈ 知 小 謀 大 (지소모대)【한자】 알 지 / 작을 소 / 꾀할 모 / 큰 대【의미】 지력(知力)은 적으면서 도모함은 크다는 뜻으로, 자신의 능력에 넘치는 일을 계획함을 이르는 말.【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小(소) 작다는 의미를 만들기 위해 중심 좌우에 작은 점으로 표시함. ◎ 謀(모) 헤아려 논의해서 도모한다는 의미, 某(모)는 발음. ◎ 大(대)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지상명령, 지성감천, 지소모대 - 교본파일(69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77] ◈ 池 魚 籠 鳥 (지어농조)【한자】 못 지 / 물고기 어 / 대그릇 롱 / 새 조【의미】 연못의 물고기와 새장의 새라는 뜻으로, 부자유(不自由)한 신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池(지) 물을 모아둔 넓고 깊은 곳의 의미에서 성곽 주위를 두르고 있는 못인 해자(垓字)의 의미까지 파생. ◎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籠(롱) 본래 흙을 옮기는 사용하는 대나무로 만든 삼태기의 의미에서 후에 ‘새장’이나 ‘대그릇’의 의미로 확대됨. ‘龍(용)’은 발음 역할. ◎ 鳥(조) 새의 눈과 날개, 다리 등을 강조한 모양. 다소 꽁지가 긴 큰 ‘새’의 의미로, 다소 작은 새인 ‘隹(추)’와 구별됨.
[2078] ◈ 止 於 至 善 (지어지선)【한자】 그칠 지 / 어조사 어 / 이를 지 / 선할 선【의미】 지극한 선에 그친다는 뜻으로, 인간이 최고의 선에 도달하여 유지하는 일을 이상으로 삼고 있다는 <대학(大學)>의 삼강령(三綱領)의 하나.【字意】◎ 止(지) 사람의 한쪽 발이나 발자국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멈추다’, ‘걷다’는 의미나 시간의 변화와 관련된 의미로도 사용됨. ◎ 於(어) 문장 속 어조사 역할.{서술어+於+보어}의 구조. ◎ 至(지) 새가 날아 내려오는 모양에 땅에 닿았다[아래 ᅳ]는 의미를 합쳐 새가 땅에 내려왔다는 ‘이르다’, ‘미치다’ 등의 뜻 도출. ◎ 善(선) 羊+言’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선’의 의미 생성.
[2079] ◈ 池 魚 之 殃 (지어지앙)【한자】 못 지 / 물고기 어 / 어조사 어 /재앙 앙【의미】 연못 물고기의 재앙이라는 뜻으로, 초(楚)나라 성문이 불탈 때, 못의 물로 불을 꼈기 때문에 고기가 죄다 죽였다는 고사에서 ‘화재’를 의미하거나 생각지 않던 재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동의어】▶ 殃及池魚 (앙급지어) : 재앙이 아무 관계없는 곳에 미침.【字意】◎ 池(지) 물을 모아둔 넓고 깊은 곳의 의미에서 성곽 주위를 두르고 있는 못인 해자(垓字)의 의미까지 파생. ◎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殃(앙) 신령이 내리는 ‘재앙’의 의미. ‘央(앙)’은 발음 역할.▣ 지어농조, 지어지선, 지어지앙 - 교본파일(69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80] ◈ 枝 葉 末 端 (지엽말단)【한자】 가지 지 / 잎 엽 / 끝 말 / 끝 단【의미】 가지와 잎의 맨 끝이라는 뜻으로, 본질적이거나 중요하지 않은 부차적인 부분이라는 의미.【상대어】▶ 根幹 (근간) : 뿌리와 줄기【字意】◎ 枝(지) 나무의 가지를 의미. ‘支(지)’는 발음. ◎ 葉(엽) 잎사귀가 많이 가지에 매달려 있는 의미에서 ‘잎’의 의미를 생성함. ‘艸(초)’로 표시하고, 아래 부분은 발음 요소. ◎ 末(말) 나무의 위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인 ‘本(본)’의 반대 개념으로 ‘끝’의 의미 생성. ◎ 端(단) 비뚤어지지 않고 바로잡는다는 의미에서 ‘실마리’, ‘끝’ 등의 뜻을 파생함
[2081] ◈ 枝 葉 相 持 (지엽상지)【한자】 가지 지 / 잎 엽 / 서로 상 / 가질 지【의미】 가지와 잎이 서로 받친다는 뜻으로, 자손들이 서로 도와 지지함을 이르는 말.【字意】◎ 枝(지) 나무의 가지를 의미. ‘支(지)’는 발음. ◎ 葉(엽) 잎사귀가 많이 가지에 매달려 있는 의미에서 ‘잎’의 의미를 생성함. ‘艸(초)’로 표시하고, 아래 부분은 발음 요소. ◎ 相(상)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얼굴’과 ‘정승’ 등 의미 파생 ◎ 持(지) 손으로 물건을 가지고 버티며 지킨다는 의미. 寺(사)는 발음 요소.
[2082] ◈ 知 雄 守 雌 (지웅수자)【한자】 알 지 / 수컷 웅 / 지킬 수 / 암컷 자【의미】 강함을 알면서 유연함을 지킨다는 뜻으로, 굳센 사나이다운 적극적인 태도를 이해하면서 연약한 여자 같은 소극적인 태도를 지키는 것인데, 유약(柔弱)한 도를 지켜 이기기를 원하지 않는 노자(老子)의 사상을 이르는 말.【원문】▶ 知其雄守其雌 (지기웅수기자) ☞ 雄은 剛(강), 雌는 柔(유)의 의미로 이해.【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雄(웅) 새를 상징한 동물의 ‘수컷’의 의미. 암컷은 雌(자). 왼쪽 부분은 발음 요소로 활용됨. ◎ 守(수) 집[관청의 의미]에서 법도[寸]를 적용한다 뜻에서 파생하여 ‘지키다’는 의미 생성. ◎ 雌(자) 암컷 새의 의미에서 ‘암컷’ 의미를 만듦. 此(차)는 발음 요소.▣ 지엽말단, 지엽상지, 지웅수자 - 교본파일(69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83] ◈ 知 遠 不 知 近 (지원부지근)【한자】 알 지 / 멀 원 / 아니 불 / 알 지 / 가까울 근【의미】 먼 것은 알고 가까운 것은 모른다는 뜻으로, 남의 일은 잘 알면서 자기 일은 알지 못함을 이르는 말.【字義】◎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遠(원)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는 의미에서 ‘멀다’는 뜻 생성. 오른쪽은 발음부호. ◎ 近(근)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에서 ‘곁’이나 ‘친척’ 등의 의미 파생.
[2084] ◈ 智 圓 行 方 (지원행방)【한자】 지혜 지 / 둥글 원 / 행할 행 / 모 방【의미】 슬기로움은 원만하고 행동은 방정하다는 뜻으로, 슬기로움은 두루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기를 원하고, 행실은 방정하여 예에 어긋남이 없기를 원한다는 의미.【원문】▶ 智欲圓而行欲方 (지욕원이행욕방): <淮南子(회남자)>.【字意】◎ 智(지) 알고 있는 것[知]을 겉으로 표현한다는 의미에서 ‘슬기’, ‘지혜’의 의미 생성. ‘日’은 ‘해’가 아니라 ‘말하다’는 ‘白(백)’이 변천된 모양임. ◎ 圓(원) 큰 테두리의 둘레의 뜻에서 ‘둥글다’, ‘원’의 의미 생성. ◎ 行(행) 사방의 네 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方(방) 농기구 모양이나 벌판의 영역표시 등에서 방향이나 모서리 등의 의미를 생성함.
[2085] ◈ 知 恩 報 恩 (지은보은)【한자】 알 지 / 은혜 은 / 갚을 보 / 은혜 은【의미】 은혜를 알고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자신에게 베푼 은혜를 깊이 알고 그 은혜에 대해서 보답을 함을 이르는 말.【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恩(은) 사람의 마음이 선량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에서 ‘은혜’의 의미 생성. ◎ 報(보)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의 ‘報’는 ‘알리다’는 의미.▣ 지원부지근, 지원행방, 지은보은 - 교본파일(69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86] ◈ 知 音 (지음)【한자】 알 지 소리음【의미】 소리를 안다는 뜻으로, 자신의 마음까지 알아주는 진정한 벗의 의미.[= 知己之友(지기지우)]【고사】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 높은 백아(伯牙)에게는 그 소리를 누구보다 잘 알아주는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있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높은 산과 큰 강의 분위기를 그려내려고 시도하면 옆에서 귀를 기울이고 있던 종자기의 잎에서는 탄성이 연발했다. 두 사람은 그토록 마음이 통하는 연주자였고 청취자였으나 불행히도 종자기는 병으로 일찍 죽게된다. 그러자 백아는 자신을 알아주는 친구가 죽었는데 그 누구를 위해 연주를 할 것인가? 하며 절망한 나머지 거문고의 줄을 끊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한다. - <列子> 湯問篇.【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音(음) 본래 ‘言(언)’의 자형과 동일했는데, 후에 ‘口’ 안에 가로선[一]을 더해 소리를 내는 부호로 표시됨.
[2087] ◈ 知 一 不 知 二 (지일부지이)【한자】 알 지 / 한 일 / 아니 부 / 알 지 / 두 이【의미】 하나만 알고 둘을 모른다는 뜻으로, 한쪽은 알면서 다른 한쪽은 모르는 것처럼 식견이 좁음을 이르는 말.【字義】◎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一(일) 가로 그은 획 하나로 '하나'라는 수를 나타낸 글자임. ◎ 二(이) 가로 그은 획 두 개로 ‘둘’이라는 수를 나타낸 글자.
[2088] ◈ 知 者 不 言 (지자불언)【한자】 알 지 / 놈 자 / 아니 불 / 말씀 언【의미】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으로 사물의 이치를 아는 사람은 마음속에 깊이 깨달을 뿐 허위적인 표현으로 함부로 말하지 않는다는 의미.【원문】▶ 知者不言 言者不知 (지자불언 언자부지): <老子>【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지음, 지일부지이, 지자불언 - 교본파일(696) 포함되어 있습니다.
[2089] ◈ 知 者 不 惑 (지자불혹)【한자】 알 지 / 놈 자 / 아니 불 / 미혹될 혹【의미】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이치에 밝으므로 어떤 사물에도 미혹(迷惑)되지 않는다는 의미.【출전】▶ 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 인자불우 용자불구): --, 어진사람은 근심하지 않고,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論語(논어)>【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惑(혹) 무엇에 홀려 정신을 못 차리는 ‘미혹하다’는 의미. 或(혹)은 발음.
[2090] ◈ 知 者 樂 水 (지자요수)【한자】 알 지 / 놈 자 / 좋아할 요 / 물 수【의미】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사리에 밝아서 물과 같이 주유(周遊)하여 막힘이 없기 때문에 물을 좋아한다는 의미.【출전】▶ 仁者樂山 知者樂水 (인자요산 -):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 <論語>【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樂(요/락)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락]’나 ‘좋아한다[요]’는 의미 파생. ◎ 水(수) 물이 흘러가는 모양. ‘氷(빙)얼음’, ‘永(영)길다’ 등 구별에 유의.
[2091] ◈ 志 在 千 里 (지재천리)【한자】 뜻 지 / 있을 재 / 일천 천 / 거리 리【의미】 뜻이 천리 밖에 있다는 뜻으로, 원대한 포부와 뜻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유의어】▶ 深謀遠慮 (심모원려) : 깊은 계략과 먼 생각이라는 뜻으로, 깊고 슬기로운 계략과 먼 장래에 대한 원대한 포부.【字意】◎ 志(지) 본래 [之+心]으로 마음이 가는 쪽이라는 의미에서 마음이 지향하는 ‘뜻’의 의미 생서. ◎ 在(재) 才(재)의 변형에 土(토)를 더한 글자로, 才는 본래 식물의 뿌리 모양이기 때문에 ‘흙에 뿌리가 있다’는 의미에서 ‘존재(存在)’의 의미인 ‘있다’는 뜻을 도출함. 才(재)는 발음역할도 함. ◎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숫자 ‘일천’을 의미함. ◎ 里(리) 농사지을[田] 땅[土]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 의미와 후에 구획을 의미한 ‘거리’의 단위로 사용됨.
2092] ◈ 知 足 不 辱 (지족불욕)【한자】 알 지 / 만족할 족 / 아니 불 / 욕될 욕【의미】 만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 알고 자기 분수를 지키는 사람은 욕되지 않는다는 의미.【출전】▶ 知足不辱 知止不殆 (지족불욕 지지불태) : 만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은다. <老子(노자)>【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足(족) 발 모양의 ‘止(지)’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ᄆ’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후에 ‘만족하다’는 의미로 확대됨. ◎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辱(욕) 辰(진)은 ‘별’이고, 寸(촌)은 ‘법(法)’의 의미. 별로 때를 알아서 농사짓던 것에서 때를 잃었을 때 ‘법’으로 ‘욕보인다’는 의미 생성.
[2093] ◈ 知 足 者 富 (지족자부)【한자】 알 지 / 만족할 족 / 놈 자 / 부유할 부【의미】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부유하는 뜻으로, 가난하더라도 자기 분수를 알아 만족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항상 부유한 사람이라는 의미.【출전】▶ 自勝者强 知足者富 (자승자강 지족자부) : 자신을 이기는 사람은 강하고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부유하다. <老子(노자)>【字意】◎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足(족) 발 모양의 ‘止(지)’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ᄆ’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후에 ‘만족하다’는 의미로 확대됨. ◎ 者(자)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富(부) 집안에 재물이 많고 넉넉하다는 의미.
[2094] ◈ 止 足 之 戒 (지족지계)【한자】 그칠 지 / 만족할 족 / 어조사 지 / 경계할 계【의미】 그치고 만족하는 경계라는 뜻으로, 자신의 분수를 알아 만족할 때 만족하여 더 이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 일의 의미.【字意】◎ 止(지) 사람의 한쪽 발이나 발자국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멈추다’, ‘걷다’는 의미나 시간의 변화와 관련된 의미로도 사용됨. ◎ 足(족) 발 모양의 ‘止(지)’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ᄆ’를 함께 본뜬 글자로, ‘발’을 의미함. 후에 ‘만족하다’는 의미로 확대됨. ◎ 戒(계) 두 손으로 창을 높이 들고 있는 모양에서 ‘경계하다’는 의미 생성.▣ 지족불욕, 지족자부, 지족지계 - 교본파일(69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95] ◈ 遲 遲 不 進 (지지부진)【한자】 늦을 지 / 늦을 지 / 아니 불 / 나아갈 진【의미】 느리고 느려서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일의 되어감이 몹시 느림을 이르는 말.【字意】◎ 遲(지) 천천히 더디게 간다는 의미에서 '늦다', '더디다'는 의미 생성. ◎ 進(진)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다’는 의미. 후에 ‘벼슬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隹(추)’는 발음 요소.
[2096] ◈ 知 進 不 知 退 (지진부지퇴)【한자】 알 지 / 나아갈 진 / 아니 불 / 알 지 / 물러날 퇴【의미】 나아감을 알면서 물러남을 모른다는 뜻으로, 앞으로 나아갈 줄만 알고 뒤로 물러날 줄을 모름을 이르는 말.【字義】◎ 知(지) 아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것이 화살처럼 빠르다는 의미에서 ‘알다’는 뜻 생성. ◎ 進(진)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다’는 의미. 후에 ‘벼슬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隹(추)’는 발음 요소. ◎ 退(퇴) 물러나거나 물리친다는 의미. ‘艮(간)’은 발음요소로도 사용됨.
[2097] ◈ 咫 尺 之 書 (지척지서)【한자】 길이 지 / 자 척 / 어조사 지 / 책 서【의미】 아주 작은 글이라는 뜻으로, 짤막한 편지나 간단한 편지를 이르는 말.【준말】▶ 尺書 (척서)【字意】◎ 咫(지) 길이의 단위인 ‘尺(척)’의 의미에서 ‘짧은 거리’를 의미함. 只(지)는 발음. ◎ 尺(척)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寸(촌: 치)’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자’ 의미까지 확대함. ◎ 書(서) 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에서 '쓰다'와 '책' 의미 생성.▣ 지지부진, 지진부지퇴, 지척지서 - 교본파일(69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98] ◈ 咫 尺 之 間 (지척지간)【한자】 길이 지 / 자 척 / 어조사 지 / 사이 간【의미】 아주 작은 사이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거리나 아주 가까운 사이를 이르는 말.【관련어】▶ 咫尺之地 (지척지지) : 아주 가까운 곳.【字意】◎ 咫(지) 길이의 단위인 ‘尺(척)’의 의미에서 ‘짧은 거리’를 의미함. 只(지)는 발음. ◎ 尺(척)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寸(촌: 치)’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자’ 의미까지 확대함. ◎ 間(간) 본래 ‘閒’이 본자. 문틈 사이로 달빛이 들어온다는 뜻에서 ‘사이’, ‘틈’의 의미 생성.
[2099] ◈ 咫 尺 千 里 (지척천리)【한자】 길이 지 / 자 척 / 일천 천 / 마을 리【의미】 아주 가까운데 천리라는 뜻으로, 서로 가까이 있으면서도 소식이 없어 멀리 떨어져 사는 것과 같다는 의미.【字意】◎ 咫(지) 길이의 단위인 ‘尺(척)’의 의미에서 ‘짧은 거리’를 의미함. 只(지)는 발음. ◎ 尺(척)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寸(촌: 치)’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자’ 의미까지 확대함. ◎ 千(천) 사람[人]에 하나[一]를 그어 많다는 ‘일천’의 의미 생성. ◎ 里(리) 농사지을 땅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 의미와 후에 구획을 의미하는 ‘거리’의 뜻으로 사용됨
[2100] ◈ 指 天 射 魚 (지천사어)【한자】 가리킬 지 / 하늘 천 / 쏠 사 / 물고기 어【의미】 하늘을 향하여 물고기를 쏜다는 뜻으로, 사물을 구하는 방법의 그릇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緣木求魚 (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함.【字意】◎ 指(지) 손가락의 의미에서 ‘가리키다’, ‘지시하다’ 등의 뜻을 파생함.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射(사) 본래 오른쪽 모양이 ‘矢(시)’에서 ‘寸(촌)’으로 바뀐 것으로, 몸에서 화살이 나간다는 의미에서 활을 쏘는 법도의 의미까지 확대됨. ◎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지척지간, 지척천리, 지천사어 - 교본파일(70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2131-2170 (0) | 2013.01.19 |
---|---|
이야기한자성어2101-2130 (0) | 2013.01.19 |
이야기한자성어2041-2070 (0) | 2013.01.19 |
이야기한자성어2011-2040 (0) | 2013.01.19 |
이야기한자성어1981-2010 (0) | 201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