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이야기한자성어2301-2330

ria530 2013. 1. 19. 14:58

[2301] 忠 言 逆 耳 (충언역이)한자충성 충 / 말씀 언 / 거스릴 역 / 귀 이의미충고의 말은 귀에 거슬린다는 뜻으로, 바르게 타이르는 말일수록 듣기 싫어한다는 의미.출전】▶ 良藥苦於口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 좋은 약은 입에는 쓰나 병에는 이롭고, 충고의 말은 귀에는 거슬리나 행동에는 이롭다. <孔子家語>字意() ‘中心'의 의미로 본래 자신의 마음을 다한다는 '정성', '진심'의 의미였는데, 중세에 그 대상이 임금이었기에 '충성'의 의미로 변함. ()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사람[]을 거꾸로 표시하고 ()책받침을 더해 거꾸로 가다는 의미에서 상반되게 여겨진 상태를 의미하는 거스르다는 의미 생성. () 사람 귀의 모습을 단순화시킨 형태.충비서간, 충상수한, 충언역이 - 교본파일(76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02] 充 然 有 得 (충연유득)한자찰 충 / 그럴 연 / 있을 유 / 얻을 득의미가득하게 얻음이 있다는 뜻으로, 마음에 부족함이 없이 흐뭇함을 이르는 말.字意() ()의 생략형에 ()을 더한 것으로, 사람을 육성한다는 의미에서 완전하게 채우다는 의미를 생성함. () 개고기를 불에 굽는 모양에서 독특한 냄새로 인해 안 보고도 알 수 있다는 의미의 그러하다는 뜻 생성. ()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함. () 길에서 손으로 조개[금전]을 줍는다는 뜻으로, ‘얻다’, ‘이득의 의미 생성

[2303] 忠 魂 義 魄 (충혼의백)한자충성 충 / 넋 혼 / 옳을 의 / 넋 백의미충성과 의리의 넋이라는 뜻으로, 충의(忠義)를 위해 목숨을 버린 사람의 넋을 뜻하는 참된 정신의 의미.字意() ‘中心'의 의미로 본래 자신의 마음을 다한다는 '정성', '진심'의 의미였는데, 중세에 그 대상이 임금이었기에 '충성'의 의미로 변함. () 사람의 정신을 주관하는 넋의 의미. '()'은 육체 주관 넋. ()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깨끗한 양과 같은 동물의 결정체를 자신에게 비유해 바르고 깨끗한 정의’, ‘옳다등의 의미 생성. () 사람의 생장을 돕는 음()의 기운. 정신을 주관하는 것은 ()’이고 은 육체를 주관하는 것. ‘이 발음.

[2304] 忠 孝 雙 全 (충효쌍전)한자충성 충 / 효도 효 / 쌍 쌍 / 온전할 전의미충성과 효도가 둘 다 온전하다는 뜻으로, 충성과 효도를 두루 겸하여 갖추고 있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忠孝兩全 (충효양전)字意() ‘中心'의 의미로 본래 자신의 마음을 다한다는 '정성', '진심'의 의미였는데, 중세에 그 대상이 임금이었기에 '충성'의 의미로 변함. () 노인을 어린 사람이 부축하고 있는 모양에서 '효도'의 의미 생성. () 두 마리 새를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 사람이 옥을 가공하는 모양을 본떠, 모두 완성한다는 의미에서 '완전하다'는 의미 도출.충연유득, 충혼의백, 충효쌍전 - 교본파일(76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05] 炊 臼 之 夢 (취구지몽)한자불땔 취 / 절구 구 / 어조사 지 / 꿈 몽의미절구에 밥을 짓는 꿈이라는 뜻으로, 솥이 없어 절구에 밥을 짓는 것인데, ()()의 음이 상통한 것에서 풀이한 것으로, 아내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임.字意()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곡물 등을 찧는 절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글자 안쪽의 선들은 절구 안의 곡물 낟알 모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봄. 혹은 양손의 모양을 합쳐서 만들 글자로 양손으로 들다’, ‘들어올리다등의 의미로도 설명함. ()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2306] 炊 金 饌 玉 (취금찬옥)한자불땔 취 / 쇠 금 / 반찬 찬 / 옥 옥의미황금으로 밥을 짓고 주옥으로 반찬을 한다는 뜻으로, 값비싼 음식이나 사치스러운 음식을 이르는 말, 또는 남의 환대에 감사하는 의미로도 활용됨.字意()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땅 속에서 금속이 드러나 있는 모양에 발음 을 더함. 금속의 대표격으로 사용되고 성씨에서는 ‘()’으로 발음됨. () 밥에 갖추어 먹는 여러 가지 음식의 뜻인 반찬에서 음식으로 확대됨. () 구멍이 뚫린 옥 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2307] 取 其 所 長 (취기소장)한자취할 취 / 그 기 / 바 소 / 길 장의미그 장점을 취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장점을 취하여 자기의 것으로 한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가진 바의 장점을 골라서 쓴다는 의미로도 사용됨.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본래 대나무 등으로 만든 곡식을 까부는 데 쓰는 인데, 후에 라는 대명사로 전이됨. ‘을 더해 만듦[()]. ()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하는 바의 뜻으로 쓰이거나 장소의 의미로 사용됨. ()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취구지몽, 취금찬옥, 취기소장 - 교본파일(76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08] 聚 斂 之 臣한자모일 취 / 거둘 렴 / 어조사 지 / 신하 신의미거두어드리는 신하라는 뜻으로, 지위를 이용하고 윗사람의 권력을 빌어, 백성을 가혹하게 다루고, 세금이나 뇌물을 긁어드리는 신하를 이르는 말.유의어貪官汚吏 (탐관오리) : 탐욕스럽고 더러운 관리.苛斂誅求 (가렴주구) : 가혹하게 거두고 죽을 때까지 요구함.字意()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에서 후에 마을의 의미까지 확대됨. () 부과하여 거두어들인다는 의미. () 눈을 확대해서 표현한 모양으로, 임금의 행동에 주의하는 신하의 의미 상징.

[2309] 吹 毛 覓 疵 (취모멱자)한자불 취 / 털 모 / 찾을 멱 / 흠 자의미털을 불어 흠을 찾는다는 뜻으로, 억지로 남의 잘못을 꼬치꼬치 찾아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覓疵]동의어】▶ 吹毛求疵 (취모구자)字意() 크게 숨을 내쉰다는 의미에서 불다는 의미를 생성함. () 짐승의 가죽에 붙어 있는 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모든 동물 털이나 열매의 털까지 통칭함. () 곁눈질하거나 구하여 찾다는 의미. () 결점이나 흠집의 의미. ‘()’는 발음 역할.

[2310] 聚蚊成雷 (취문성뢰)한자모일 취 / 모기 문 / 이룰 성 / 우레 뢰의미모기가 모이면 우레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작은 모기도 많이 모이면 소리가 우레처럼 들리는 것 같이, 간악한 무리들이 모여 하찮은 일을 과장하여 떠들어대면 작은 일도 대단한 일이 되는 간신배들의 참소(讒訴)가 횡행(橫行)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에서 후에 마을의 의미까지 확대됨. () 작은 벌레인 모기의 의미. ()은 발음. () ()은 발음 요소,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본래는 아래 이 세 개로 음양이 서로 끌어 회전하는 의미에서 천둥의 의미를 생성함.취렴지신, 취모멱자, 취문성뢰 - 교본파일(77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11] 取 捨 選 擇 (취사선택)한자취할 취 / 버릴 사 / 가릴 선 / 가릴 택의미취하고 버리고, 뽑고 가린다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서 쓸 것은 쓰고 버릴 것은 버린다는 의미.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내버리거나 내버려두다는 의미. '()'는 발음 요소. () 물건을 갖추어서[()] 보낸다[]는 의미에서 가리다’, ‘뽑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으로도 사용됨. () 손으로 가려 선택한다는 의미.

[2312] 炊 沙 成 飯 (취사성반)한자불땔 취 / 모래 사 / 이룰 성 / 밥 반의미모래를 때어 밥을 짓는다는 뜻으로, 헛된 수고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徒勞無益 (도로무익) : 헛되이 수고만 하고 이익이 없음.字意()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보통 물[]이 줄어들면[] 모래가 드러난다는 의미에서 '모래'의 의미를 생성함.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먹는 밥의 의미로 만듦. ‘()’은 발음.

[2313] 醉 生 夢 死 (취생몽사)한자취할 취 / 날 생 / 꿈 몽 / 죽을 사의미취해서 꿈속에서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아무 의미 없이 한 평행을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이르는 말유의어長醉不醒 (장취불성) : 오래도록 취해서 깨어나지 못함.연관어無爲徒食 (무위도식) : 하는 일 없이 한갓 먹기만 함.字意() 술을 마셔 취한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밤에 누워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고 놀라 눈이 번쩍 떠진 모양에서 ''의 의미 생성. ()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취사선택, 취사성반, 취생몽사 - 교본파일(77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14] 取 食 之 計 (취식지계)한자취할 취 / 버릴 사 / 가릴 선 / 가릴 택의미밥을 취할 정도의 계책이라는 뜻으로, 겨우 밥이나 얻어먹고 살아가려는 꾀를 이르는 말.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 숫자의 완성인 을 놓고 말한다[]’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2315] 醉 如 泥 (취여니)한자취할 취 / 같을 여 / 진흙 니의미취하여 ()’와 같다는 뜻으로, 남해에서 나는 뼈없는 벌레 처럼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취하여 고주망태가 됨을 이르는 말.연관어】▶ 醉眼朦朧 (취안몽롱) : 술에 취하여 눈이 흐려 앞이 똑바로 보이지 않는 상태.字意() 술을 마셔 취한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질척질척한 흙인 진흙의 의미. ‘()’는 발음.

[2316] 炊 玉 焚 桂 (취옥분계)한자불땔 취 / 구슬 옥 / 불사를 분 / 계수나무 계의미옥을 불때고 계수나무를 불사른다는 뜻으로, 물가(物價)가 매우 비쌈을 비유하거나, 물건이 매우 귀중함의 비유로 사용하는 말.유의어食玉炊桂 (식옥취계) :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땜.米珠薪桂 (미주신계) : 쌀은 구슬 같고 땔감은 계수나무 같이 비쌈.字意()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구멍이 뚫린 옥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 숲에 불을 놓아 사냥한다는 의미에서 불사르다는 의미 파생. () 계수나무의 의미. ‘()’는 발음 역할.취식지계, 취여니, 취옥분계 - 교본파일(77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17] 取 而 不 貪 (취이불탐)한자취할 취 / 말이을 이 / 아니 불 / 탐할 탐의미취하지만 탐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필요한 것을 취해서 얻고 탐욕을 내지 않는 욕심을 갖지 않는다는 의미.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지금 보다도 과도하게 욕심을 낸다는 의미에서 '탐내다'는 뜻을 생성함. '(:가난하다)'과 자형 구별에 유의.

[2318] 取 適 非 取 魚 (취적비취어)한자취할 취 / 갈 적 / 아닐 비 / 취할 취 / 물고기 어의미마땅함을 취하지 물고기를 취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낚시에는 즐거움을 취하는 것이지 물고기 자체에 의미를 두지 않는 것처럼 어떤 행동에 목적을 그곳에 두지 않고 다른 데에 있음을 의미.字義()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필요한 곳으로 나아가다는 의미에서 가다마땅하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날아오르거나 내려오는 모양인데, 하늘을 수평으로 나는 것과 반대의 의미로 아니다는 의미로 변화. 후에 날다는 나는 모양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를 만듦. ()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2319] 聚 精 會 神 (취정회신)한자모일 취 / 정신 정 / 모일 회 / 귀신 신의미정신을 모은다는 뜻으로, 정신을 한 곳으로 집중한다는 의미, 혹은 군신(君臣)의 마음이 일치함을 의미함.유의어】▶ 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일도하사불성): 정신을 하나로 집중하면 어떤 일이 이루어지지 않겠는가?字意()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에서 후에 마을의 의미까지 확대됨. () 쌀을 찧어서 좁게 한다는 의미에서 정밀하다’, ‘자세하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 뚜껑 있는 그릇에 음식이 담겨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모이다는 의미 생성. () 가 하늘에서 보여주는 현상의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하늘의 신과 같이 불가사의한 것의 의미에서 후에 정신이나 ’, ‘마음등의 뜻을 파생함. 은 발음. 취이불탐, 취적비취어, 취정회신 - 교본파일(77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20] 醉 中 無 天 子 (취중무천자)한자취할 취 / 가운데 중 / 없을 무 / 하늘 천 / 아들 자의미취해있는 동안에는 천자도 없다는 뜻으로, 취중에는 천하에 두려울 것이 없다는 의미.字義() 술을 마셔 취한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사람이 소꼬리를 들고 춤추는 모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로 인해 없다는 의미 생성. 후에 춤추는 것은 동작을 대해 ()’를 만듦.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2321] 取 轄 投 井 (취할투정)한자취할 취 / 비녀장 할 / 던질 투 / 우물 정의미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준말】▶ 投轄 (투할)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수레의 바퀴가 벗어나지 못하게 굴대머리 구멍에 끼는 큰 못인 비녀장의 의미. ‘()’는 발음 요소. () 손으로 물건을 던지다는 의미. ‘()치다의 반의어. () ‘자 모양의 우물틀에서 생성. 사방 일리(一里)마을의미도 있음.

[2322] 取 禍 之 本 (취화지본)한자취할 취 / 재앙 화 / 어조사 지 / 근본 본의미재앙을 취하는 근본이라는 뜻으로, 재앙을 가져오는 근본이 되는 것을 의미함.관련어】▶ 積惡餘殃 (적악여앙) : 악을 쌓아 재앙을 남김.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는 초인간적인 하늘의 상징 표현이고, 오른쪽 모양은 ()’의 변형으로 잔해만 남았다는 의미에서 재앙의 뜻 생성. () 나무의 아래쪽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근본'의 의미 파생. 취중무천자, 취할투정, 취화지본- 교본파일(77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23] 側 目 重 足 (측목중족)한자기울 측 / 눈 목 / 무거울 중 / 발 족의미곁눈질하며 발을 모은다는 뜻으로, 눈을 바로 보지 못하며 두려워서 몸을 움츠린다는 의미.[= 重足側目 ]유의어】▶ 輾轉反側 (전전반측) : 매우 두려워 벌벌 떠는 모양.구별어】▶ 側目視之 (측목시지) : 곁눈질하여 봄.字意() 자기 주변의 한쪽의 의미로 을 나타냄. ‘()’은 발음 요소. ()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등의 의미로 활용됨. ‘()’보는 행위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 () 사람이 짐을 메고 가는 모양에서 무겁다는 의미 생성. 후에 거듭의 의미 파생. ‘()’ 부수는 자형분류임. () 발 모양의 ()’ 위에 정강이뼈를 표시한 를 함께 본뜬 글자로, ‘을 의미함. 후에 만족하다는 의미로 확대됨.

[2324] 側 席 而 坐 (측석이좌)한자기울 측 / 자리 석 / 말이을 이 / 앉을 좌의미자리를 비켜서 옆으로 앉는다는 뜻으로, 마음속에 근심이 있어 앉은 자리가 편하지 않음을 일컫는 말.준말】▶ 側席 (측석)字意() 자기 주변의 한쪽의 의미로 을 나타냄. ‘()’은 발음 요소. () [()]을 이용해 바닥에 까는 자리의 의미를 생성하고, 후에 지위의 의미까지 확대됨. ()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 사람이 서로 마주 앉은 모양에서 앉다는 의미 생성

[2325] 惻 隱 之 心 (측은지심)한자슬퍼할 측 / 숨을 은 / 어조사 지 / 마음 심의미불쌍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惻隱之心은 인()의 단서(端緖)가 된다는 맹자(孟子)의 사단(四端) 중 하나.관련어】▶ 四端 : 惻隱之心, 羞惡之心, 辭讓之心, 是非之心 (--,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字意() 가엽게여겨 슬퍼하다는 의미에서 측은하다는 뜻을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언덕 뒤에 숨어 가리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부분은 발음.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미로 활용됨.측목중족, 측석이좌, 측은지심 - 교본파일(77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26] 層 生 疊 出 (층생첩출)한자층 층 / 날 생 / 겹쳐질 첩 / 날 출의미층층이 생기고 첩첩이 나온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잇달아 자꾸 일어남을 이르는 말.字意() 뚜껑 위에 지붕을 더해 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대지에서 싹이 땅 위로 올라오는 모양을 본떠 나다’, ‘생겨나다등의 의미 생성. 후에 살아가다는 의미 파생. () 본래 ()+()의 결합에서 으로 변화됨. 사흘 동안 심사숙고해서 결정한 것에서 겹치다는 뜻 생성. () 초목이 점점 자라 위로 뻗어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오다는 의미에서 성장하다’, ‘출생하다등의 의미 파생.

[2327] 層 巖 絶 壁 (층암절벽)한자층 층 / 바위 암 / 끊을 절 / 벽 벽의미겹겹의 바위가 쌓인 깎아지른 낭떠러지라는 뜻으로, 몹시 험한 바위가 겹겹으로 쌓인 낭떠러지의 의미.관련어】▶ 奇巖絶壁 (기암절벽) : 기이한 바위와 깎아지른 낭떠러지.字意() 뚜껑 위에 지붕을 더해 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큰 돌의 의미. ()은 발음 작용. () 실타래를 끊는다는 의미에서 끊다는 뜻 생성. 후에 뛰어나다는 의미 파생. () 울타리나 바람벽의 의미

[2328] 層 層 侍 下 (층층시하)한자층 층 / 층 층 / 모실 시 / 아래 하의미층층이 모시고 산다는 뜻으로, 부모와 조부모를 다 모시고 있는 처지나 받들어야 할 윗사람이 층층으로 있는 형편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연관어】▶ 嚴妻侍下 (엄처시하) : 엄한 아내를 모시고 삶. 공처가.字意() 뚜껑 위에 지붕을 더해 의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요소. () 받들어 모신다는 의미. ‘()’는 발음 역할. ()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층생첩출, 층암절벽, 층층시하 - 교본파일(77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29] 治 國 平 天 下(치국평천하)한자다스릴 치 / 나라 국 / 평평할 평 / 하늘 천 / 아래 하의미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화롭게 한다는 뜻으로,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 내용.字意()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영역을 무기[]를 들고 지키는 상황을 표현해 영토를 지닌 국가의 개념을 만듦. () 기운이 위로 퍼져 올라가면서 나뉘어[()] 평평하게 퍼져 깔린다는 의미에서 평평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땅 속의 뿌리를 표시해서 아직 싹이 나오지 않은 상태로 아니다는 의미 도출.

[2330] 治 亂 興 亡 (치란흥망)한자다스릴 치 / 어지러울 란 / 흥할 흥 / 망할 망의미다스려짐과 어려움과 흥함과 망함이라는 뜻으로, 흥망(興亡)과 성쇠(盛衰)의 의미.유의어】▶ 榮枯盛衰 (영고성쇠) : 영화롭고 쇠하며, 융성하고 쇠락함.字意()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실타래가 물레에 얽혀있는 것을 칼로 자르는 모양에서 어지럽다는 의미 생성. ‘은 칼날의 변형으로 봄. () 힘을 합하여 함께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흥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숨어있는 상황에서 죽다’, ‘잃다등의 의미 생성.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2371-2400  (0) 2013.02.05
이야기한자성어2331-2370  (0) 2013.02.05
이야기한자성어2271-2300  (0) 2013.01.19
이야기한자성어2231-2270  (0) 2013.01.19
이야기한자성어2201-2230  (0) 201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