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1] 澤及萬世 (택급만세)[2401] ◈ 澤 及 萬 世 (택급만세)【한자】못 택 / 미칠 급 / 일만/만 / 세상/세【의미】 은택이 만세에 미친다는 뜻으로, 혜택이 영원히 미친다는 의미.【유의어】▶ 澤被蒼生 (택피창생) : 은택이 모든 백성에게 미침.【字意】◎ 澤(택) 물이 촉촉한 ‘늪’지대의 의미에서 후에 ‘윤이 난다’는 의미 확대로 ‘윤택하다’는 뜻 파생. ◎ 及(급) 사람[人]과 손[又]의 결합으로, 손으로 앞사람에게 닿는다는 의미에서 ‘미치다’는 뜻 생성. ◎ 萬(만) 본래 전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본 의미는 사라지고, 후에 수의 ‘일만’을 의미함. ◎ ‘十十十’의 결합으로 ‘삼십년’을 의미하는 ‘세대’의 뜻 생성. 후에 ‘世上(세상)’의 의미 파생.
[2402] ◈ 擇 言 擇 行 (택언택행)【한자】가릴 택 / 말씀 언 / 가릴 택 / 행할 행【의미】 말을 가리고 행동을 가린다는 뜻으로, 선과 악을 가려서 해야 할 말이나 행동을 이르는 말.【출전】▶ 口無擇言 身無擇行 (구무택언 신무택행): 가려낼 것도 없는 말만 하고, 흠잡을 데 없는 행동만 한다. <孝經>【字意】◎ 擇(택) 손으로 가려 선택한다는 의미.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行(행) 사방의 네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2403] ◈ 兎 角 龜 毛 (토각귀모)【한자】 토끼 토 / 뿔 각 / 거북 귀 / 털 모【의미】 토끼의 뿔과 거북의 털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兎(토) 쭈그리고 앉아 있는 토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의 귀와 아래의 꼬리를 강조함. ◎ 角(각) 뿔 모양을 본떠 ‘모난 것’, ‘끝’ 등의 뜻과 함께 ‘겨루다’의 의미 파생. ◎ 龜(귀,구,균) 거북의 머리, 등, 꼬리, 다리 등을 상세하게 표현함. 갑골문으로 인해 '터지다(균)'는 의미 파생. ◎ 毛(모) 짐승의 가죽에 붙어 있는 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모든 동물 털이나 열매의 털까지 통칭함.▣ 택급만세, 택언택행, 토각귀모 - 교본파일(80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04] ◈ 吐 氣 揚 眉 (토기양미)【한자】 토할 토 / 기운 기 / 오를 양 / 눈썹 미【의미】 기염(氣焰)을 토하며 눈썹을 치켜 올린다는 뜻으로, 득의(得意)한 모양을 이르는 말.【유의어】▶ 得意揚揚 (득의양양) : 뜻을 얻고 자랑스러워함.▶ 意氣揚揚 (의기양양) : 의기가 높이 드날림. 자랑스러운 모양.▶ 得意滿面 (득의만면) : 뜻한 바를 얻어 기쁨이 얼굴에 가득함.【字意】◎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氣(기) 자연에 존재하는 기의 흐름을 세 개의 가로 선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함. ‘米(미)’는 발음 작용. ◎ 揚(양) 위로 쳐들어 올린다는 의미에서 ‘오르다’, ‘날리다’, ‘알려지다’ 등의 의미를 생성함. ◎ 眉(미) 물이 가득 차서 넘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오른쪽은 더 많다는 의미를 지님.
[2405] ◈ 土 崩 瓦 解 (토붕와해)【한자】 흙 토 / 무너질 붕 / 기와 와 / 풀 해【의미】 흙이 무너지고 기와가 깨어진다는 뜻으로, 어떤 사물이 근본적으로 무너져 걷잡을 수 없는 상태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瓦解土崩]【유의어】▶ 魚爛土崩 (어란토붕) : 물고기가 문드러져 썩고 흙이 무너짐.【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崩(붕) 산, 언덕 따위가 ‘무너지다’는 의미에서 파괴되다, 흩어지다 등과 함께 ‘천자(天子)나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을 의미함. ‘朋(붕)’은 발음.◎ 瓦(와) 기와가 서로 얽혀있는 모양이나 질그릇의 의미에서 ‘기와’, ‘실패’, ‘방패’ 의미 생성. ◎ 解(해) 칼[刀]로 소[牛]의 뿔[角]을 발려내는 의미에서 '해체한다'의 의미 생성. 후에 '해결한다'는 의미 파생.
[2406] ◈ 兎 死 狗 烹 (토사구팽)【한자】 토끼 토 / 죽을 사 / 개 구 / 삶을 팽【의미】 토끼가 죽으니 개가 삶겨진다는 뜻으로, 사냥감이 없어져 사냥개마저 소용이 없어지듯, 적국이 망하면 공을 세운 모신도 죽여 없애는 것처럼 필요할 때 쓰고 필요 없을 때 버리는 야박한 세정(世情)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출전】▶ 狡兎死走狗烹 蜚鳥盡良弓藏 (교토사주구팽 비조진양궁장) - <史記(사기)>【字意】◎ 兎(토) 쭈그리고 앉아 있는 토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의 귀와 아래의 꼬리를 강조함.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狗(구) ‘犬(견)’이 주로 부수자로 사용되자 별도 ‘개’의 의미로 만듦. ◎ 烹(팽) ‘삶다’에서 ‘삶아 죽이다’까지 확대됨.▣ 토기양미, 토붕와해, 토사구팽 - 교본파일(80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07] ◈ 吐 絲 自 縛 (토사자박)【한자】 토할 토 / 실 사 / 스스로 자 / 묶을 박【의미】 실을 토하여 스스로를 묶는다는 뜻으로, 누에가 실을 토하여 고치를 지어서는 스스로 그 속에 갇히는 일처럼, 주위와 단절하여 참선의 삼매경에 듦을 비유하는 말.【字意】◎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絲(사) 실타래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한 쪽만을 부수로 사용하자 동일하게 하나를 더해 ‘실’의 의미로 사용함.◎ 自(자) 사람의 코 모양을 본뜬 것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스스로’의 의미 파생. ◎ 縛(박) 줄로 동여매다는 뜻에서 ‘묶다’는 의미와 ‘포승(捕繩)’의 의미 생성
[2408] ◈ 兎 死 狐 悲 (토사호비)【한자】 토끼 토 / 죽을 사 / 여우 호 / 슬플 비【의미】 토끼가 죽으니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서로 동정(同情)함을 이르는 말.【字意】◎ 兎(토) 쭈그리고 앉아 있는 토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의 귀와 아래의 꼬리를 강조함. ◎ 死(사) 뼈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양에 사람(人)을 더해 ‘시체’, ‘죽다’는 의미 생성. ◎ 狐(호) 혼자 생활하는 '여우'의 속성으로 만든 글자. ◎ 悲(비) 마음이 서럽고 ‘슬프다’는 의미. ‘非(비)’는 발음. 불교에서는 가엾게 여겨 은혜를 베푸는 ‘동정’의 의미로 사용됨.
[2409] ◈ 土 壤 細 流 (토양세류)【한자】 흙 토 / 고운흙 양 / 가늘 세 / 흐를 류【의미】 작은 흙덩이와 가느다란 시내라는 뜻으로, 미세한 것도 이것을 쌓으면 큰 것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출전】▶ 泰山不讓土壤 故能成其大. 河海不擇細流 故能就其深(태산불양토양 고능성기대. 하해불택세류 고능취기심)-<戰國策(전국책)>【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壤(양) 흙을 나르는 襄(양)에서 흙 자체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土(토)를 더해 부드럽고 비옥한 고운 ‘흙’의 뜻을 생성함. 襄(양)은 발음 역할도 함. ◎ 細(세) 작고 미미한 것. 소인(小人) 의미./ '紬(주)명주'는 별도의 글자. ◎ 流(류)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 토사자박, 토사호비, 토양세류 - 교본파일(80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10] ◈ 兎 營 三 窟 (토영삼굴)【한자】 토끼 토 / 경영할 영 / 석 삼 / 굴 굴【의미】 토끼가 세 굴을 경영한다는 뜻으로,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고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말.【字意】◎ 兎(토) 쭈그리고 앉아 있는 토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의 귀와 아래의 꼬리를 강조함.◎ 營(영) 宮(궁)의 의미를 따르고, 발음은 熒(형)의 생략형에 있음. ◎ 三(삼)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셋’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窟(굴) 굴이나 움 등의 의미. 屈(굴)은 발음.
[2411] ◈ 土 牛 木 馬【한자】 흙 토 / 소 우 / 나무 목 / 말 마【의미】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牛(우) 뿔을 강조한 소의 머리 부분을 본뜬 글자. ◎ 木(목)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片(편)’은 나무를 자른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 馬(마) 말’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을 하고 있음
[2412] ◈ 土 積 成 山 (토적성산)【한자】 흙 토 / 쌓을 적 / 이룰 성 / 산 산【의미】 흙덩이가 쌓이면 산을 이룰 수 있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쌓이고 쌓이면 크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동의어】▶ 積土成山 (적토성산)【유의어】▶ 塵合泰山 (진합태산) : 티끌 모아 태산.【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積(적) 곡식을 모은다는 의미에서 ‘쌓다’, ‘모이다’ 등의 파생함. ‘責(책)’은 발음 요소.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山(산)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토영삼굴, 토우목마, 토적성산 - 교본파일(80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13] ◈ 吐 盡 肝 膽 (토진간담)【한자】 토할 토 / 다할 진 / 간 간 / 쓸개 담【의미】 간과 담을 토해서 다한다는 뜻으로, 실정을 거짓 없이 털어놓고 말함을 이르는 말. 【字意】◎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盡(진) 손으로 그릇을 닦는 모습에서 ‘일을 마쳤다’는 의미 생성. ◎ 肝(간) 오장(五臟)의 하나인 간장의 의미. ‘干(간)’은 발음 ◎ 膽(담) 쓸개의 의미. 오른쪽 부분은 발음
[2414] ◈ 吐 哺 握 髮 (토포악발)【한자】 토할 토 / 먹을 포 / 쥘 악 / 터럭 발【의미】 먹은 것을 토하고 머리터럭을 움켜잡는다는 뜻으로, 주(周)나라의 주공(周公)이 손님이 오면 밥 먹을 땐 밥을 토하고 나오고, 머리감다가는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나와 맞이했다는 고사에서 현사를 얻기 위해 애씀을 이르는 말.【동의어】▶ 吐哺捉髮 (토포착발)【字意】◎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哺(포) 배불리 먹는다는 의미에서 ‘먹다’, ‘먹이다’ 의미 생성.◎ 握(악) 손가락을 굽혀 물건을 쥐거나 주먹을 ‘쥔다’는 의미. ◎ 髮(발) 머리터럭의 의미. 주로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함.
[2415] ◈ 土 豪 劣 紳 (토호열신)【한자】흙 토 / 호걸 호 / 못날 렬 / 띠 신【의미】 지방의 호족과 용렬한 신사(紳士)라는 뜻으로, 횡포를 함부로 부리는 지방의 무외한(無賴漢)을 이르는데, 보통 관료나 군벌과 결탁하여 농민을 착취하던 중국 국민혁명 당시의 대지주나 자본가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豪(호) 큰집에서 돼지를 사용해 제례나 행사를 하는 의미에서 뛰어나다는 의미로 ‘호걸스럽다’나 그런 사람 의미 생성. ◎ 劣(렬) 힘이 적어 약하다는 의미에서 ‘못나다’는 뜻을 생성. ◎ 紳(신) 의복을 묶는 역할을 하는 ‘띠’의 의미. 申은 발음.▣ 토진간담, 토포악발, 토호열신 - 교본파일(805)이 포힘되어 있습니다
[2416] ◈ 通 家 之 誼 (통가지의)【한자】통할 통 / 집 가 / 어조사 지 / 옳을 의【의미】 통내외하는 집안의 정분이라는 뜻으로, 친한 친구끼리 서로 일가처럼 내외도 않고 지내는 정다운 우의(友誼)를 이르는 말. 【字意】◎ 通(통)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家(가)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집’, ‘가정’의 의미로 사용. ◎ 誼(의) 마땅하다는 ‘宜(의)’에 ‘言(언)’을 더해 ‘옳음’을 의미함.
[2417] ◈ 洞 開 獄 門 (통개옥문)【한자】뚫을 통 / 열 개 / 옥 옥 / 문 문【의미】 옥문을 환히 연다는 뜻으로, 죄의 경중을 가리지 않고 은사(恩赦)로써 죄인을 다 내어 놓음을 이르는 말.【字意】◎ 洞(동/통) 물이 흐르는 깊은 산골짜기의 의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동네, 마을이나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됨. (통)발음은 ‘통하다’, ‘꿰뚫다’는 의미. ◎ 開(개) 양손으로 닫힌 문을 연다는 의미에서 ‘열다’는 의미 생성. 반의어는 ‘閉(폐)닫다’. ◎ 獄(옥) 개가 으르렁거리면서 지켜 꼼짝 못하게 하는 곳의 의미에서 ‘감옥’의 의미 생성. ◎ 門(문)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힌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문’의 의미를 지님
[2418] ◈ 洞 開 重 門 (통개중문)【한자】뚫을 통 / 열 개 / 무거울 중 / 문 문【의미】 겹문을 활짝 연다는 뜻으로, 겹겹이 닫힌 문을 활짝 여는 것처럼 출입이 금지된 곳을 개방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洞(동/통) 물이 흐르는 깊은 산골짜기의 의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동네, 마을이나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됨. (통)발음은 ‘통하다’, ‘꿰뚫다’는 의미. ◎ 開(개) 양손으로 닫힌 문을 연다는 의미에서 ‘열다’는 의미 생성. 반의어는 ‘閉(폐)닫다’. ◎ 重(중) 사람이 짐을 메고 가는 모양에서 ‘무겁다’는 의미 생성. 후에 ‘거듭’의 의미 파생. ‘里(리)’ 부수는 자형분류임. ◎ 門(문)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힌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문’의 의미를 지님.▣ 통가지의, 통개옥문, 통개중문 - 교본파일(80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19] ◈ 通 窮 振 困 (통궁진곤)【한자】통할 통 / 다할 궁 / 떨칠 진 / 곤할 곤【의미】 곤궁함을 융통하고 구제한다는 뜻으로, 곤궁한 자를 돕는다는 의미. 【字意】◎ 通(통)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窮(궁) 본래 들어가기도 어려운 ‘좁은 굴’을 의미에서 ‘다하다’, ‘궁구하다’는 뜻을 파생하고 후에 ‘궁색하다’까지 파생. ◎ 振(진) 본래 손을 흔드는 것에서 위세 등을 '떨친다'는 의미로 확대됨. [여기서는 ‘구제하다(救濟)’는 의미] ◎ 困(곤) 사방의 울타리 안에 고목을 두고 있는 묵고 낡은 집의 의미에서 어려운 처지의 의미로 ‘곤하다’, ‘어렵다’ 등 생성.
[2420] ◈ 通 事 情 (통사정)【한자】통할 통 / 일 사 / 뜻 정【의미】 사정을 통한다는 뜻으로, 자기의 사정을 남에게 알리거나 남의 사정을 잘 알아줌을 이르는 말. 【유의어】▶ 通人情 (통인정) : 通情(통정)【字意】◎ 通(통)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事(사)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史(사)’에서 사건 자체인 ‘일’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 ◎ 情(정) 감정과 정서의 의미. ‘靑(청)’은 변화된 발음.
[2421] ◈ 通 姓 名 (통성명)【한자】통할 통 / 성 성 / 이름 명【의미】 성명을 통한다는 뜻으로, 서로 인사하고 성명을 통한다는 의미. 주로 첫 대면의 인사를 교환한다는 의미로 사용됨.【字意】◎ 通(통) 두루 다 미치고 통한다는 의미에서 서로 관계한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 姓(성) ‘女’를 사용해 같은 겨레의 혈족이라는 것을 표현함. 生(생)은 발음 요소. ◎ 名(명) 어두운 저녁[夕]에 만난 상대를 확인하기 위해 부른다[口]는 의미에서 ‘이름’의 의미 생성.▣ 통궁진곤, 통사정, 통성명 - 교본파일(80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22] ◈ 痛 心 疾 首 (통심질수)【한자】아플 통 / 마음 심 / 병 질 / 머리 수【의미】 마음을 앓고 고치를 앓는다는 뜻으로, 몹시 걱정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坐不安席 (좌불안석) :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못함.【字意】◎ 痛(통) ‘疒(녁)’ 부수로 질병과 관련된 의미 생성. 疾病(질병)으로 ‘아프다’는 뜻 생성. 甬은 발음 요소. ◎ 心(심)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 의미로 활용됨. ◎ 疾(질) 병[病]을 의미하는 의미. 失(실)은 발음 요소. 여기서는 ‘빠르다’는 의미. ◎ 首(수) 사람의 코[自] 위에 이마와 머리를 표시해 ‘머리’의 의미를 나타냄. 후에 ‘우두머리’, ‘시초’의 의미까지 확대.
[2423] ◈ 痛 痒 相 關 (통양상관)【한자】 아플 통 / 앓을 양 / 서로 상 / 빗장 관【의미】 아픔과 가려움도 서로 관계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는 것처럼 매우 친밀한 사이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字意】◎ 痛(통) ‘疒(녁)’ 부수로 질병과 관련된 의미 생성. 疾病(질병)으로 ‘아프다’는 뜻 생성. 甬은 발음 요소. ◎ 痒(양) 걱정하고 속을 끓이다는 의미. 후에 상처나 가려움의 의미 파생. ‘羊(양)’은 발음. ◎ 相(상) 나무에 올라가서 눈으로 먼 곳을 본다는 의미에서 ‘보다’는 의미 생성. 후에 함께 본다는 것에서 ‘서로’와 보고 돕는다는 것에서 ‘돕다’, 그 일을 하는 사람에서 ‘얼굴’과 ‘정승’ 등 의미 파생. ◎ 關(관) 문을 잠그는 빗장의 의미에서, 후에 지역을 경계하는 ‘관문’의 의미와 ‘상관하다’는 뜻으로 확대됨.
[2424] ◈ 痛 定 思 痛 (통정사통)【한자】 아플 통 / 정할 정 / 생각 사 / 아플 통【의미】 아픔이 진정되면 아픔을 회상한다는 뜻으로, 종전의 고통이나 실패를 반성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字意】◎ 痛(통) ‘疒(녁)’ 부수로 질병과 관련된 의미 생성. 疾病(질병)으로 ‘아프다’는 뜻 생성. 甬은 발음 요소. ◎ 定(정) 집안의 물건들을 잘 정돈한다는 의미에서 ‘정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正’은 발음. ◎ 思(사) ‘田’은 사람 뇌의 모양. 마음과 뇌에서 결정하는 생각이라는 의미 생성.▣ 통심질수, 통양상관, 통정사통 - 교본파일(80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25] ◈ 投 桃 報 李 (투도보리)【한자】 던질 투 / 복숭아 도 / 갚을 보 / 오얏 리【의미】 복숭아를 보낸 보답으로 오얏을 보낸다는 뜻으로, 내가 은덕을 베풀면 남도 이를 본보기로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복숭아나무의 의미. 兆(조)는 발음 요소. ◎ 報(보)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의 ‘報’는 ‘알리다’는 의미. ◎ 자두나무의 의미를 나타냄. 子(자)는 발음 역할로 보거나 나무의 정령 등으로 설명함
[2425] ◈ 投 桃 報 李 (투도보리)【한자】 던질 투 / 복숭아 도 / 갚을 보 / 오얏 리【의미】 복숭아를 보낸 보답으로 오얏을 보낸다는 뜻으로, 내가 은덕을 베풀면 남도 이를 본보기로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복숭아나무의 의미. 兆(조)는 발음 요소. ◎ 報(보)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의 ‘報’는 ‘알리다’는 의미. ◎ 자두나무의 의미를 나타냄. 子(자)는 발음 역할로 보거나 나무의 정령 등으로 설명함
[2426] ◈ 投 兵 息 戈 (투병식과)【한자】 던질 투 / 병사 병 / 쉴 식 / 창 과【의미】 병기를 던지고 창을 멈춘다는 뜻으로, 싸움을 그친다는 의미. 【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兵(병) 도끼를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무기를 든 병사의 의미를 생성함. ◎ 息(식) 사람의 ‘코’의 의미인 ‘自(자)’와 마음[心]을 합해 마음을 차분하게 지니면 숨도 차분하게 쉰다는 의미에서 ‘숨 고르다’, ‘쉬다’는 의미 도출. ◎ 손잡이가 달린 긴 자루 끝에 갈고리 모양의 칼날을 붙인 ‘창’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가 있고, 또는 ‘주살’의 옆에 날[一]을 달아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도 있음. 창, 무기, 전쟁 등으로 활용됨.
[2427] ◈ 投 鼠 恐 器 (투서공기)【한자】 던질 투 / 쥐 서 / 두려울 공 / 그릇 기【의미】 던져서 쥐를 잡으려 하나 그릇이 깨질까 두려워한다는 뜻으로, 임금 측근에서 알랑거리는 간신을 제거하고 싶으나 임금을 상하게 할까 걱정됨을 이르는 말.【동의어】▶ 投鼠忌器 (투서기기)【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지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鼠(서)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 ◎ 恐(공) 두려워하고 겁낸다는 의미에서 ‘두려워하다’, ‘염려하다’ 파생. ◎ 器(기) 개가 주변 그릇을 지키는 모습이나 개고기를 담은 그릇의 의미.▣ 투도보리, 투병식과, 투서공기 - 교본파일(80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428] ◈ 鬪 而 鑄 兵 (투이주병)【한자】 싸울투 / 말이을 이 / 쇠부어만들 주 / 군사 병【의미】 싸움(전쟁)이 일어나고서야 병기를 주조(鑄造)한다는 뜻으로, 때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亡羊補牢 (망양보뢰) :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字意】◎ 鬪(투) 사람이 서로 머리를 잡고 싸우는 모양에서 확대되어 무기 등을 들고 싸우는 ‘전쟁’의 의미로 확대됨. ◎ 鑄(주) 쇠를 부어 만들다는 의미에서 ‘주조하다’는 의미 생성. ‘壽(수)’는 발음 요소. ◎ 兵(병) 도끼를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양에서 무기를 든 병사의 의미를 생성함.
[2429] ◈ 投 筆 成 字 (투필성자)【한자】 던질 투 / 붓 필 / 이룰 성 / 글자 자【의미】 붓을 던져 글씨를 이룬다는 뜻으로, 글씨에 능한 사람은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고 붓을 아무렇게나 휘둘러도 글씨가 잘 됨을 이르는 말. 【字意】◎ 投(투) 손으로 물건을 ‘던진다’는 의미. ‘打(타)치다’의 반의어. ◎ 筆(필)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竹(죽)’을 더함.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字(자) 본래 자궁에서 아이가 나오는 모양인데, 후에 번식한다는 의미로 인해 두 개 이상의 글자가 모여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글자’ 의미 파생.
2430] ▶ 特 立 獨 行 (특립독행)【한자】 특별할 특 / 설 립 / 홀로 독 / 행할 행【의미】 홀로 서서 홀로 행한다는 뜻으로, 세속에 따르지 않고 오로지 믿는 바에 따라 행동한다는 의미나 남에게 굴종하지 않고 소신을 수행함을 이르는 말.【字意】◎ 特(특) 희생으로 사용하는 수컷 소의 뜻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것에서 '특별하다'는 의미 생성. ◎ 立(립) 사람이 땅위에 서 있는 모양에서 ‘서다’는 의미 생성. ◎ 獨(독) 가상의 전설적 동물을 표현한 것인데, 후에 가차되어 '홀로'의 의미로 사용됨. ◎ 行(행) 사방의 네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2430] ▶ 特 立 獨 行 (특립독행)【한자】 특별할 특 / 설 립 / 홀로 독 / 행할 행【의미】 홀로 서서 홀로 행한다는 뜻으로, 세속에 따르지 않고 오로지 믿는 바에 따라 행동한다는 의미나 남에게 굴종하지 않고 소신을 수행함을 이르는 말.【字意】◎ 特(특) 희생으로 사용하는 수컷 소의 뜻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것에서 '특별하다'는 의미 생성. ◎ 立(립) 사람이 땅위에 서 있는 모양에서 ‘서다’는 의미 생성. ◎ 獨(독) 가상의 전설적 동물을 표현한 것인데, 후에 가차되어 '홀로'의 의미로 사용됨. ◎ 行(행) 사방의 네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투이주병, 투필성자, 특립독행 - 교본파일(81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2471-2500 (0) | 2013.02.05 |
---|---|
이야기한자성어2431-2470 (0) | 2013.02.05 |
이야기한자성어2371-2400 (0) | 2013.02.05 |
이야기한자성어2331-2370 (0) | 2013.02.05 |
이야기한자성어2301-2330 (0) | 201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