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한자성어뉴

이야기한자성어3451-3461

ria530 2013. 2. 12. 16:36

[3451] - [추가 490] 欲 吐 未 吐 (욕토미토)한자하고자할 욕 / 토할 토 / 아닐 미 / 토할 토의미토하고자 하나 아직 토하지 못했다는 뜻으로, 말을 할 듯 할 듯하면서 아직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字意() 을 더해 바라서 하고자한다는 의미를 생성. 은 발음 역할. ()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나무의 위에 가지를 더해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후에 가지가 무성해 저 쪽을 볼 수 없다는 의미에서 부정의 아니다는 의미 확대.

[3452] - [추가 491] 欲 罷 不 能 (욕파불능)한자하고자할 욕 / 파할 파 / 아니 불 / 능할 능의미마치고자 하나 할 수 없다는 뜻으로, 파하려도 하여도 파할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字意() 을 더해 바라서 하고자한다는 의미를 생성. 은 발음 역할. () 덮어서 짐승을 잡다는 의미에서 물리치다’, ‘그만두다등의 의미 생성. () 갑골문에서 곰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아 곰의 재주로 인해 능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곰은 다리를 더해 ()’을 만듦.

[3453] - [추가 492] 龍 歌 鳳 笙 (용가봉생)한자용 룡 / 노래 가 / 봉새 봉 / 생황 생의미용의 노래와 봉황의 생황이라는 뜻으로, 맑은 노래와 아름다운 풍류를 가리키는 말.字意() 을 더해 바라서 하고자한다는 의미를 생성. 은 발음 역할.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 짐승을 잡아 고기를 썰어놓은 모양으로, 부수자로 사용되어 신체’, ‘근육’, ‘고기등의 의미로 활용.욕토미토, 욕파불능, 용가봉생 - 교본파일(1151[추가16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454] - [추가 493] 龍 蟠 鳳 逸 (용반봉일)한자용 룡 / 서릴 반 / 봉새 봉 / 숨을 일의미용이 물속에 몸을 감추고 봉황이 숨는다는 뜻으로, 비범한 재주를 가지고 있는 용과 봉과 같은 것이 아직 그 뜻을 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臥龍鳳雛 (와룡봉추) : 누워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字意()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몸을 휘감고 엎드리다는 서리다는 의미. ‘()’은 발음요소. ()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과 호응됨. () 토끼에 움직임을 나타내는 ()’을 더해 달아나다’, ‘일어버리다와 반대로 뛰어나다등의 의미를 생성함.

[3455] - [추가 494] 龍 飛 鳳 舞 (용비봉무)한자용 룡 / 날 비 / 봉생 봉 / 춤출 무의미용이 날고 봉황이 춤춘다는 뜻으로, 산천이 수려하고 맑아 생동하는 신령한 영묘함을 일컫는 말.字意() 상상의 동물인 용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새가 양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 상상의 새인 봉황의 의미, ‘()’과 호응됨. () 본래 ()’가 사람이 소꼬리 같은 것을 양손에 들고 춤추는 모양인데,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없다는 의미로 변하자 두 발의 움직임을 표현한 ()’을 더해 춤추다는 별도의 글자를 만듦.

[3456] - [추가 495] 用 筆 沈 雄 (용필침웅)한자쓸 용 / 붓 필 / 가라앉을 침 / 수컷 웅의미붓을 씀이 침착하고 웅장하다는 뜻으로, 그림이나 글씨의 운필(運筆)이 무게가 있고 박력이 있음.字意() 점을 친다는 의미의 ()’과 맞다는 의미의 ()’을 합한 글자로, 점을 쳐서 맞으면 반드시 시행했다는 의미에서 쓰다’,‘사용하다는 의미로 활용됨.()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을 더함. () 물 속에 가라앉는다는 의미에서 빠지다등의 의미 생성. 성씨의 경우는 () 발음. () 새를 상징한 동물의 수컷의 의미. 암컷은 (). 왼쪽 부분은 발음 요소로 활용됨.용반봉일, 용비봉무, 용필침웅 - 교본파일(1152[추가16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457] - [추가 493] 雨 露 之 澤 (우로지택)한자비 우 / 이슬 로 / 어조사 지 / 윤택할 택의미이슬과 비의 덕택이라는 뜻으로, 하늘이 내려주는 비와 이슬의 혜택이나, 임금이나 부모의 넓고 큰 은혜를 이르는 말.[= 雨露之恩 (우로지은)]유의어】▶ 河海之澤(하해지택) : 하해(河海)와 같이 넓고 큰 은혜.字意()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기후','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 공기 중 수중기가 엉겨 생긴 물방울인 이슬의 의미인데, 후에 적시다’, ‘드러나다등 파생. ‘()’는 발음. () 물이 촉촉한 지대의 의미에서 후에 윤이 난다는 의미 확대로 윤택하다는 뜻 파생

[3458] - [추가 494] 優 勝 劣 敗 (우승열패)한자뛰어날 우 / 이길 승 / 못날 렬 / 패할 패의미나은 자는 이기고 못한 자는 패한다는 뜻으로. ()한 자는 번성(繁盛)하고 약한 자는 쇠멸(衰滅)한다는 의미.유의어】▶ 適者生存 (적자생존) : 환경에 맞는 것만이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것은 차차 쇠퇴, 멸망함. 자연도태(自然淘汰).字意() 넉넉하고 품위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뛰어나다는 뜻을 생성하고, ()에 가면의 성격이 있어 배우의 의미도 활용됨. ()는 발음 역할도 함. () []으로 이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기기 위해 견디다와 이겨서 낫다로 인해 빼어난 경치까지 확대. () 힘이 적어 약하다는 의미에서 못나다는 뜻을 생성. () 화패 개념의 ()’를 두드려 깬다는 의미에서 깨뜨리다’, ‘패하다등의 의미 생성.

[3459] - [추가 495] 牛 往 馬 往 (우왕마왕)한자소 우 / 갈 왕 / 말 마 / 갈 왕의미소가 가고, 말이 간다는 뜻으로, 소나 말이 다니는 것처럼 온갖 곳을 다 다님을 이르는 말.字意() 뿔이 있는 소의 얼굴 모양을 본뜬 글자. 여기서는 달팽이[蝸牛]의 의미로 사용됨. () 발의 의미인 ()에서 가다는 의미 생성. 오른쪽 ()는 본래 ()’에서 변한 것임[발음 역할]. ()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우로지택, 우승열패, 우왕마왕 - 교본파일(1153[추가16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460] - [추가 499] 牛 飮 馬 食 (우음마식)한자소 우 / 마실 음 / 말 마 / 먹을 식의미소같이 마시고 말같이 먹는다는 뜻으로, 소나 말처럼 많이 먹고 마심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뿔이 있는 소의 얼굴 모양을 본뜬 글자. 여기서는 달팽이[蝸牛]의 의미로 사용됨. () ‘먹는다는 의미의 ()에 입 벌린다는 ()을 결합해 음료를 마신다는 의미의 생성함. ()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3461] - [추가 500] 尤 而 效 之 (우이효지)한자더욱 우 / 말이을 이 / 본받을 효 / 어조사 지의미허물하면서도 그것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잘못을 나무라면서 자신이 그것을 본받는 잘못을 저지르는 상황이나 그것을 경계하는 말로 사용됨.字意() 더욱 유별나게 다르다는 의미에서 허물의 의미 파생함. ()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수염의 모양인데, 문장의 어조사인 접속의 의미로 사용됨.() 채찍질하여 배우고 본받게하다는 의미 생성.

 

'이야기한자성어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3561-3611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뉴3462-3560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3401-3450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3351-3400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뉴3301-3350  (0)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