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2] - [추가 751] ◈ 充 閭 之 慶 (충려지경)【한자】 찰 충 / 이문 려 / 어조사 지 / 경사 경【의미】 집안에 가득한 경사라는 뜻으로, 손님이 집안 문설주까지 가득 찰 정도로 집안이 번성했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득남(得男)을 축하하는 말로도 사용됨.【출전】▶ 弄璋之慶 (농장지경) : 득남의 축하하는 말.【字意】◎ 充(충) ‘育(육)’의 생략형에 ‘儿(인)’을 더한 것으로, 사람을 육성한다는 의미에서 완전하게 ‘채우다’는 의미를 생성함. ◎ 閭(려) 주(周)대의 25가구 마을의 ‘문’의 의미에서 ‘마을’ 자체의 뜻으로 확대됨. ◎ 慶(경) 위 부분은 사슴 록[鹿]의 변형. 곧 사슴은 얻은 기쁜 마음에 만지고 있는 모양에서 ‘경사스러움’의 의미 생성.
[3713] - [추가 752] ◈ 聚 輕 折 軸 (취경절축)【한자】 모일 취 / 가벼울 경 / 꺾을 절 / 굴대 축【의미】 가벼운 것도 모이면 차축을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작은 것이 쌓여 큰 것이 됨의 비유.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쌓이면 큰 힘을 발휘함의 비유.【동의어】▶ 叢輕折軸 (총경절축) : 羣輕折軸 (군경절축)【字意】◎ 聚(취)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에서 후에 ‘마을’의 의미까지 확대됨. ◎ 輕(경) 무게가 적고 가벼운 수레에 ‘가볍다’는 의미 생성. 후에 사람이 모자라거나 경솔하다는 뜻으로 ‘경박스럽다’는 의미 생성. 巠(경)은 발음. ◎ 折(절) 본래 ‘풀 초[艸]’와 ‘도기 근[斤]’의 결합으로 도끼로 풀을 벤다는 뜻에서 ‘꺾다’, ‘휘어서 베다’는 의미 생성. 손 수[手] 부수는 후에 변화된 자형임. ◎ 軸(축) 양 바퀴를 꿰뚫는 가로나무인 굴대를 ‘축’이라 함.
[3714] - [추가 753] ◈ 炊 骨 易 子 (취골역자)【한자】불땔 취 / 뼈 골 / 바꿀 역 / 아들 자【의미】 뼈로 밥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밥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字意】◎ 炊(취)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骨(골)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 ◎ (역) 日과 月의 결합에서 끊임없는 변화로 ‘바꾸다’는 의미로 보거나, 도마뱀의 모양으로 보기도 함. (이)발음은 ‘쉽다’는 의미.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충려지경, 취경절축, 취골역자 – 교본파일(1238[추가25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15] - [추가 754] ◈ 聚 散 逢 別 (취산봉별)【한자】 모일 취 / 흩어질 산 / 만날 봉 / 이별할 별【의미】 모였다가 흩어지고 만났다가 헤어진다는 뜻으로, 주로 이권이나 정략적 모였다 흩어졌다한다는 의미.【유의어】▶ 聚散離合 (취산이합) : 모였다가 흩어졌다가 하는 일.▶ 離合集散 (이합집산) : 모였다가 헤어졌다가 하는 일.【字意】◎ 聚(취)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에서 후에 ‘마을’의 의미까지 확대됨. ◎ 散(산) 쪼개서 나누어 놓은 고깃덩이라는 의미에서 ‘흩어지다’는 의미 생성. ◎ 逢(봉) 마주치거나 만난다는 의미. ◎ 別(별) 왼쪽은 '骨(골:뼈)'의 변형. 칼로 가른다는 의미에서 '나누다'는 뜻 생성.
[3716] - [추가 755] ◈ 取 善 輔 仁 (취선보인)【한자】 취할 취 / 착할 선 / 도울 보 / 어질 인【의미】 선을 모으고 인을 돕는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선행을 본받아 자기의 인덕을 기르는 것처럼 친구의 유익함을 이르는 말. 【유의어】▶ 責善輔仁 (책선보인) : 선을 권하고 인을 도와줌.【字意】◎ 取(취) 전쟁에서 이겨 손[又]으로 적군의 귀[耳]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善(선) 羊+言’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선’의 의미 생성. ◎ 輔(보) 수레바퀴에 끼는 덧방나무의 의미, 후에 수레를 잘 가게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돕다'는 의미 파생. ◎ 仁(인) 사람이 둘[二]이는 표현으로, 혼자가 아닌 사회 속에서의 사랑과 친밀함을 지녀야 한다는 의미에서 ‘어질다’는 의미 생성.
[3717] - [추가 756] ◈ 臭 如 蘭 (취여란)【한자】 냄새 취 / 같을 여 / 난초 란【의미】 냄새가 마치 난초와 같다는 뜻으로, 꽃다운 향내가 난초의 향기와 닮은 것처럼, 여럿이 합심하여 하는 말이 다른 것에 미치는 힘은 몹시 크다는 의미. 【원문】▶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이인동심 기리단금, 동심지언 기취여난): 두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면 그 날카로움은 쇠도 자를 수 있고, 마음을 함께한 말은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 《易經(역경)》.【字意】◎ 臭(취) 코[自]의 의미에 개[犬]를 더해 '냄새'의 의미 생성. ◎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蘭(란) 사군자[梅蘭菊竹] 중의 하나인 난초의 의미. 아래 부분은 발음.▣ 취산봉별, 취선보인, 취여란 – 교본파일(1239[추가25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18] - [추가 757] ◈ 醉 翁 之 意 (취옹지의)【한자】 취할 취 / 늙은이 옹 / 어조사 지 / 뜻 의【의미】 취한 노인의 뜻이라는 뜻으로, 다른 의도나 속셈이 있거나 안팎의 모습이 다른 상황을 이르는 말.【字意】◎ 醉(취) 술을 마셔 ‘취하다’는 의미. ‘卒(졸)’은 발음 역할 ◎ 翁(옹) 새의 목에 난 깃털의 의미인데, 장식을 한 높은 아버지나 노인의 존칭으로 사용됨. ◎ 意(의) 마음속의 생각을 겉으로 나타낸다는 의미로 주관적인 ‘의미’의 뜻을 지님. 義는 객관적인 ‘의미’.
[3719] - [추가 758] ◈ 驟 雨 不 終 日 (취우부종일)【한자】 달릴 취 / 비 우 / 아니 불 / 마칠 종 / 날 일【의미】 소나기는 하루 종일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위세(威勢)를 부리는 자는 오래가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급히 서두르는 일이 오래 계속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權不十年 (권불십년)]【유의어】▶ 花無十日紅 (화무십일홍) : 열흘 붉은 꽃이 없음.【字意】◎ 驟(취) 말이 빨리 달리는 의미에서 ‘갑자기’ 파생. ◎ 雨(우)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비'와 '기후','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 終(종) 계절의 끝인 ‘겨울’의 의미인 ‘冬(동)’에서 확대되어 ‘끝’의 의미를 위해 ‘실(사)’자를 더함. ◎ 日(일)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 흑점으로 설명. 부수로 ‘밝다’, ‘환하다’ 등 의미로 활용됨.
[3720] - [추가 759] ◈ 醉 中 眞 談 (취중진담)【한자】 취할 취 / 가운데 중 / 참 진 / 이야기 담【의미】 술에 취하면 진짜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술에 취하게 되면 자기의 속마음을 털어놓게 된다는 의미.【유의어】▶ 醉中眞情發 (취중진정발) : 취중에 속마음을 털어놓음.【字意】◎ 醉(취) 술을 마셔 ‘취하다’는 의미. ‘卒(졸)’은 발음 역할. ◎ 中(중)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眞(진) 갑골문의 자형은 솥[鼎의 변형]에서 숟가락[匕]으로 음식을 꺼내는 모양. 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참'의 의미 생성. ◎ 談(담) 말하고 이야기한다는 의미의 ‘말씀’의 의미'.▣ 취옹지의, 취우부종일, 취중진담 – 교본파일(1240[추가25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21] - [추가 760] ◈ 醉 飽 淫 臥 (취포음와)【한자】 취할 취 / 배부를 포 / 음난할 음 / 누울 와【의미】 취하도록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누워잔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잠을 자듯 문란한 생활을 이르는 말.【字意】◎ 醉(취) 술을 마셔 ‘취하다’는 의미. ‘卒(졸)’은 발음 역할 ◎ 飽(포) 실컷 먹어 싫증나 ‘물리다’는 의미. ‘包(포)’는 발음. ◎ 淫(음) 물에 ‘적시다’는 의미에서 ‘범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되어 ‘어지럽다’나 ‘음란하다’ 등을 파생함. ◎ 臥(와)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人’과 합해서 만듦.
[3722] - [추가 761] ◈ 側 目 視 之 (측목시지)【한자】 곁 측 / 눈 목 / 보일 시 / 어조사 지【의미】 눈을 흘겨서 본다는 뜻으로, 곁눈질하면서 주의를 살피거나, 가볍게 보거나 냉대한다는 의미.【유의어】▶ 白眼視 (백안시) : 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 視若不見 (시약불견) : 보고도 못 본 체 함.【字意】◎ 側(측) 자기 주변의 한쪽의 의미로 ‘곁’을 나타냄. ‘則(칙)’은 발음 요소. ◎ 目(목)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눈’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 등의 의미로 활용됨. ‘見(견)’은 ‘보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 ◎ 視(시) 가시적으로 ‘보다’는 의미에서 ‘상세하게 살펴본다’는 의미까지 확대.
[3723] - [추가 762] ◈ 治 家 敎 子 (치가교자)【한자】 다스릴 치 / 집 가 / 가르칠 교 / 아들 자【의미】 집안을 다스리고 자손을 가르친다는 뜻으로, 가정의 경영과 교육을 이르는 말.【字意】◎ 治(치)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家(가)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집’, ‘가정’의 의미로 사용. ◎ 敎(교) 아버지가 자식에게 글자를 가르치는 모양에서 '가르치다'는 의미 생성.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취포음와, 측목시지, 치가교자 – 교본파일(1241[추가25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24] - [추가 763] ◈ 雉 膏 不 食 (치고불식)【한자】 꿩 치 / 기름 고 / 아니 불 / 먹을 식【의미】 꿩 기름을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몸에 좋은 꿩 기름도 먹지 않는 것처럼 재덕이 있어도 임금에게 채용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전- 주역(周易)]【字意】◎ 雉(치) 꿩의 의미. 矢(시)는 발음 요소 ◎ 膏(고) 살[肉]이 쪘다는 의미. '기름지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食(식)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3725] - [추가 764] ◈ 雉 求 牡 匹 (치구모필)【한자】 꿩 치 / 구할 구 / 수컷 모 / 짝 필【의미】 까투리가 장끼 짝을 구한다는 뜻으로, 부부가 아닌 남녀가 서로 상대를 구함을 이르는 말. [출전- 시경(詩經)]【字意】◎ 雉(치) 꿩의 의미. 矢(시)는 발음 요소. ◎ 求(구) 본래 털가죽으로 만든 사람의 옷 모양인데, 후에 털가죽 옷을 조여 입어 ‘다잡다’는 의미에서 ‘구하다’는 의미로 변화되었고, 털옷은 衣(의)자를 아래에 붙여서 사용하고 ‘구제하다’는 의미는 ‘救(구)’를 별도로 만듦. ◎ 牡(모) 소의 수컷에서 ‘수컷’ 의미 생성. ◎ 匹(필) 옷감을 감추어 나누어 두었다는 의미인데, 서로 짝이 되는 의미로 ‘짝’의 뜻을 생성함. 후에 옷감 길이와 말을 세는 단위 ‘필’로도 사용됨.
[3726] - [추가 765] ◈ 治 國 安 民 (치국안민)【한자】 다스릴 치 / 나라 국 / 편안할 안 / 백성 민【의미】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위정자(爲政者)가 실천해야 할 도리로 이르는 말.【연관어】▶ 國泰民安 (국태민안)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字意】◎ 治(치)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國(국) 지역의 의미인 '口'에 창[戈]으로 대지[ㅡ]의 구역[ㅁ]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영토'인 '나라'의 의미 생성. ◎ 安(안) 제사장 안에서 제례를 올리는 무녀(巫女)의 모습에서 '모든 것이 다 잘 진행된다'는 의미에서 '편안하다'는 뜻 생성. ◎ 民(민) 칼로 눈을 찌르는 모양인데, 고대 전재 포로를 노예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 것에서 만듦. 낮은 계급의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치고불식, 치구모필, 치국안민 – 교본파일(1242[추가25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27] - [추가 766] ◈ 齒 亡 舌 存 (치망설존)【한자】 이 치 / 없을 망 / 혀 설 / 있을 존【의미】 이는 없어져도 혀는 남아있다는 뜻으로, 강한 자는 망하기 쉽고 유연한 자가 오래 남을 수 있을 비유하여 모진 사람이 망하기 쉽고 순한 사람이 길이 남음의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 齒弊舌存 (치폐설존)]【字意】◎ 齒(치) 치아의 모양을 본뜬 후에 止(지)를 더해 발음 역할을 함. ◎ 亡(망)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숨어있는 상황에서 ‘죽다’, ‘잃다’는 의미 생성. ◎ 舌(설) 입과 혀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거나 입과 범하다는 의미의 결합으로 보기도 함. ◎ 存(존) 在의 생략형에 子를 더해 어린이를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객관적, 현실적인 존재의 의미인 ‘있다’는 뜻 생성.
[3728] - [추가 767] ◈ 鴟 目 虎 吻 (치목호문)【한자】 올빼미 치 / 눈 목 / 범 호 / 입술 문【의미】 올빼미의 눈과 범의 입술이라는 뜻으로, 탐욕이 많은 인상(印象)을 의미하거나, 사납고 잔인함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字意】◎ 鴟(치) 솔개나 수리부엉이의 의미. 氐(저)는 발음 요소. ◎ 目(목)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눈’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 등의 의미로 활용됨. ‘見(견)’은 ‘보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 ◎ 虎(호)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吻(문) 입술의 의미. 勿(물)은 발음 역할.
[3729] - [추가 768] ◈ 齒 髮 不 長 (치발불급)【한자】 이 치 / 터럭 발 / 아니 부 / 길 장【의미】 이와 머리가 자라지 않았다는 뜻으로, 배냇니도 다 갈지 못하고 머리카락도 다박머리를 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아직 나이가 어리다는 의미.【동의어】▶ 齒髮不及 (치발불급) : 이와 머리털이 아직 미치지 못함.【字意】◎ 齒(치) 치아의 모양을 본뜬 후에 止(지)를 더해 발음 역할을 함. ◎ 髮(발) 머리터럭의 의미. 주로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함. ◎ 長(장)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치망설존, 치목호문, 치발부장 – 교본파일(1243[추가25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0] - [추가 769] ◈ 治 山 治 水 (치산치수)【한자】 다스릴 치 / 산 산 / 다스릴 치 / 물 수【의미】 산과 물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산과 내를 관리하고 다스려 홍수나 사태 등의 재해를 입지 않도록 방비한다는 의미.【字意】◎ 治(치)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山(산) 솟아 있는 ‘산’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水(수) 물줄기의 흐름을 표현한 모양.
[3731] - [추가 770] ◈ 治 鼠 壞 里 閭 (치서괴리려)【한자】 다스릴 치 / 쥐 서 / 무너질 괴 / 마을 리 / 마을 려【의미】 쥐를 잡기 위하여 마을을 부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하기 위하여 큰일을 그르침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연결어】▶ 矯角殺牛 : 소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임.【속담】빈대 한 마리 잡으려다 초가삼칸 다 태운다.【字意】◎ 治(치)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鼠(서)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본뜬 글자. ◎ 壞(괴) 흙이 갈라져 무너져내린다는 ‘무너지다’ 생성. 褱(회)는 발음요소.◎ 里(리) 농사지을[田] 땅[土]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의미를 생성했고, 후에 구획을 의미한 '거리'의 단위로 사용됨. ◎ 閭(려) 주(周)대의 25가구 마을의 ‘문’의 의미에서 ‘마을’ 자체의 뜻으로 확대됨.
[3732] - [추가 771] ◈ 則 以 觀 德 (칙이관덕)【한자】 법 칙 / 써 이 / 볼 관 / 덕 덕【의미】 법으로 덕을 본다는 뜻으로, 법도나 예의의 적합 여부에 따라 그 사람의 인품과 덕을 판정한다는 의미.【출전】▶ 則以觀德, 德以處事, 事以度功, 功以食民. (-- 덕이처사 사이탁공 공이식민): --, 덕으로써 일을 처리하며, 일로써 공적을 헤아리고, 공적으로써 백성들을 먹여 기른다.【字意】◎ 則(즉/칙) 본래 화폐[貝]를 나눈다[刀]는 의미에서 규정을 한다는 의미의 ‘법칙[발음은 (칙)]’의 의미 생성. 문장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하면[발음은 (즉)]’으로 사용됨. ◎ 以(이) 본래 ‘그만두다’는 ‘已(이)’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 생성하고 ‘人’을 더함. ◎ 觀(관) 見을 더해 늘어놓고 ‘잘 보다’는 의미를 생성함. ‘雚(관)’은 발음. ◎ 德(덕) 본래 ‘十+目+一+心’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 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德)이 행동과 관련하여 ‘彳’을 첨가함. ▣ 치산치수, 치서괴리려, 칙이관덕 – 교본파일(1244[추가25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2] - [추가 771] ◈ 則 以 觀 德 (칙이관덕)【한자】 법 칙 / 써 이 / 볼 관 / 덕 덕【의미】 법으로 덕을 본다는 뜻으로, 법도나 예의의 적합 여부에 따라 그 사람의 인품과 덕을 판정한다는 의미.【출전】▶ 則以觀德, 德以處事, 事以度功, 功以食民. (-- 덕이처사 사이탁공 공이식민): --, 덕으로써 일을 처리하며, 일로써 공적을 헤아리고, 공적으로써 백성들을 먹여 기른다.【字意】◎ 則(즉/칙) 본래 화폐[貝]를 나눈다[刀]는 의미에서 규정을 한다는 의미의 ‘법칙[발음은 (칙)]’의 의미 생성. 문장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하면[발음은 (즉)]’으로 사용됨. ◎ 以(이) 본래 ‘그만두다’는 ‘已(이)’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 생성하고 ‘人’을 더함. ◎ 觀(관) 見을 더해 늘어놓고 ‘잘 보다’는 의미를 생성함. ‘雚(관)’은 발음. ◎ 德(덕) 본래 ‘十+目+一+心’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 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德)이 행동과 관련하여 ‘彳’을 첨가함. ▣ 치산치수, 치서괴리려, 칙이관덕 – 교본파일(1244[추가25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4] - [추가 773] ◈ 七 寶 紅 顔 (칠거홍안)【한자】 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홍 / 얼굴 안【의미】 일곱 가지 보물로 치장한 붉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많은 보석으로 단장한 여인의 붉은 얼굴. 곧 미인의 아름다운 형상.【유의어】▶ 七寶丹粧 (칠보단장) : 보석으로 아름답게 치장함.【字意】◎ 七(칠) 十 보다 작은 수를 표시하기 위해 十의 세로획을 굽혀서 표현해 ‘七’을 만듦. ◎ 寶(보) 집안에 옥이나 재화가 가득 차 있는 모양으로 ‘보물’, ‘보배’의 의미 생성. ◎ 紅(홍) 붉은 빛을 내는 색의 의미에서 ‘붉다’의 의미 생성. ‘工(공)’은 발음 역할.◎ 顔(안) 얼굴 전반의 ‘표정’과 ‘면목’ 등의 의미로 사용됨. 彦(언)은 발음 요소.
[3735] - [추가 774] ◈ 七 尺 之 軀 (칠척지구)【한자】 일곱 칠 / 자 척 / 어조사 지 / 몸 구【의미】 칠 척의 몸이라는 뜻으로, 신장이 칠 척 되는 장신의 신체를 이르는 말.【유의어】▶ 八尺長身 (팔척장신) : 여덟 척이나 되는 큰 사람이라는 뜻으로, 아주 장대한 사람의 의미.【字意】◎ 七(칠) 十 보다 작은 수를 표시하기 위해 十의 세로획을 굽혀서 표현해 ‘七’을 만듦. ◎ 尺(척)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寸(촌: 치)’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자’ 의미까지 확대함. ◎ 軀(구) 신체의 몸을 의미. 區(구)는 발음. ▣ 칠거지악, 칠보홍안, 칠척지구 – 교본파일(1245[추가25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6] - [추가 775] ◈ 枕 戈 待 旦 (침과대단)【한자】 베개 침 / 창 과 / 기다릴 대 / 아침 단【의미】 창을 베고 자면서 아침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항상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추고 경계를 늦추지 않는 태도를 이르는 말.【관련어】▶ 有備無患 (유비무환) : 갖춤이 있으면 근심이 없다.【字意】◎ 枕(침) 목침(木枕) 같은 잠잘 때 베는 ‘베개’의 의미. 주로 잠자는 것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됨. 오른쪽은 발음. ◎ 戈(과) 손잡이가 달린 긴 자루 끝에 갈고리 모양의 칼날을 붙인 ‘창’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가 있고, 또는 ‘주살’의 옆에 날[一]을 달아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도 있음. 창, 무기, 전쟁 등으로 활용됨. ◎ 待(대) 기다리다’는 일에서 갖추어 기다리게 되어 ‘대접하다’는 의미까지 파생. ◎ 旦(단) 태양이 지평선 위에 올라왔음을 표시해 해가 뜬 ‘아침’의 의미 생성.
[3737] - [추가 776] ◈ 浸 明 浸 昌 (침명침창)【한자】 담글 침 / 밝을 명 / 담글 침 / 창성할 창【의미】 점점 밝아지고 점점 번성한다는 뜻으로, 차츰차츰 밝아지고 힘차게 성하여 잘되어 감을 이르는 말.【字意】◎ 浸(침) 물에 담궈 적시다는 의미에서 ‘적시다’ 등 생성함. 여기서는 물이 점차 스며들 듯이 늘어나다는 의미. ◎ 明(명)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日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 昌(창) 밝게[日] 말한다[曰]는 의미에서 태양처럼 아름다운 말의 뜻으로, '창성하다'는 의미 생성.
[3738] - [추가 777] ◈ 寢 食 不 甘 (침식불감)【한자】 잠잘 침 / 먹을 식 / 아니 불 / 달 감【의미】 잠자고 먹는 일이 달지 못하다는 뜻으로, 온갖 걱정으로 잠자는 일과 먹는 일이 달지 않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寢不安席 (침불안석) : 잠을 자도 자리가 편안하지 못함.【字意】◎ 寢(침) 본래는 병으로 자리에 눕는다는 의미인데, ‘侵’을 쓰는 글자[寑]와 통용됨. ◎ 食(식)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 甘(감) 사람의 혀에 맛있다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점으로 표시해서 ‘달다’는 의미 생성. ▣ 침과대단, 침명침창, 침식불감 – 교본파일(1246[추가25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9] - [추가 778] ◈ 浸 潤 之 譖 (침윤지참)【한자】 적실 침 / 젖을 윤 / 어조사 지 / 참소할 참【의미】 스며들어 젖는 참소라는 뜻으로, 물이 차츰차츰 배어 들어가듯이 남을 여러 번 차츰차츰 헐뜯어 곧이듣게 하는 참소(讒訴)를 이르는 말.【字意】◎ 浸(침) 물에 담궈 적시다는 의미에서 ‘적시다’ 등 생성함. 여기서는 물이 점차 스며들 듯이 늘어나다는 의미. ◎ 潤(윤) 물기를 머금어 ‘적시다’는 의미에서 후에 더해지다는 뜻이 확대되어 ‘윤택하다’, ‘은혜’ 등 파생함. ‘閏(윤)’은 발음 역할. ◎ 譖(참) 참소하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요소. ‘讒(참)’과 통용됨.
[3740] - [추가 779] ◈ 秤 新 而 爨 (칭신이찬)【한자】 저울 칭 / 새 신 / 말이을 이 / 불땔 찬【의미】 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如咀濕飯 (여저습반) : 마치 진 밥을 씹는 듯 함. 곧 사소한 일로 잔소리를 되풀이 함.【字意】◎ 秤(칭) 저울의 의미. ‘平(평)’은 발음 역할. ◎ 新(신) 나무를 도끼로 찍어 다듬은 모양에서 '새로운 재목'의 의미 생성. ◎ 爨(찬) 불을 때서 밥을 짓는다는 의미.
[3741] - [추가 780] 稱 讚 不 已 (칭찬불이)【한자】 일컬을 칭 / 기릴 찬 / 아니 불 / 그칠 이【의미】 칭찬이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칭찬하여 마지않을 정도로 높이 평가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極口稱讚 (극구칭찬) : 온갖 말을 다하여 칭찬함.【字意】◎ 稱(칭) 무게를 재는 ‘저울’의 의미인데, ‘재서 헤아리다’는 의미에서 ‘일컫다’, ‘칭찬하다’ 등으로 확대됨. ◎ 讚(찬) 言을 더해 남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확대되어 ‘칭찬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贊(찬)’은 발음. ◎ 已(이) ‘그만두다’, ‘그치다’ 등의 의미. 문장 속에서는 부사 ‘이미’의 의미로 많이 쓰임.▣ 침윤지참, 칭신이찬, 칭찬불이 – 교본파일(1247[추가26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42] - [추가 781] ◈ 濯 錦 以 魚 (탁금이어)【한자】 씻을 탁 / 비단 금 / 써 이 / 물고기 어【의미】 비단을 씻는 데 물고기로써 한다는 뜻으로, 천한 것으로써 귀한 것을 다스림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濯(침) 물로 ‘씻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 錦(금) 여러 가지 색채로 무늬를 넣어 짠 비단의 의미. ◎ 以(이) 본래 ‘그만두다’는 ‘已(이)’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 생성하고 ‘人’을 더함. ◎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3743] - [추가 782] ◈ 度 德 而 師 (탁덕이사)【한자】 잴 탁 / 덕 덕 / 말이을 이 / 스승 사【의미】 덕을 헤아려 스승으로 여긴다는 뜻으로, 그 사람의 인격을 헤아린 연후에 스승으로 삼음을 이르는 말. 【字意】◎ 度(탁) 손[又(우)]으로 헤아리고 잰다는 의미에서 ‘법도[(도)발음]’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재다는 의미에서 ‘헤아리다[(탁)발음]’는 의미 파생. ◎ 德(덕) 본래 ‘十+目+一+心’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德)이 행동과 관련하여 ‘彳’을 첨가함. ◎ 師(사) 고대 군대의 단위에서 사람들을 이끈다는 의미에서 '스승'의 의미를 파생함
[3744] - [추가 783] ◈ 濯 鱗 淸 流 (탁린청류)【한자】 씻을 탁 / 비늘 린 / 맑을 청 / 흐를 류【의미】 맑은 시냇물에 비늘을 씻는다는 뜻으로, 높은 지위와 명예를 얻음을 이르는 말.【字意】◎ 濯(침) 물로 ‘씻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 鱗(린) 물고기의 비늘의 의미에서 ‘물고기’까지 확대됨. 오른쪽 부분은 발음. ◎ 淸(청)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流(류)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 탁금이어, 탁덕이사, 탁린청류 – 교본파일(1248[추가26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45] - [추가 784] ◈ 濯 髮 雲 漢 (탁발운한)【한자】 씻을 탁 / 터럭 발 / 구름 운 / 한수 한【의미】 은하수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으로, 벼슬하여 출세함을 이르는 말.【字意】◎ 濯(침) 물로 ‘씻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 髮(발) 머리터럭의 의미. 주로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함. ◎ 雲(운) 본래 ‘云(운)’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雨(우)’와 결합해 만듦. 云(운)은 ‘말하다’로 전용. ◎ 漢(한) 중국 섬서성에서 발원한 한수(漢水)인데, 후에 나라이름과 중국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3746] - [추가 785] ◈ 呑 舟 之 魚 (탄주지어)【한자】 삼킬 탄 / 배 주 / 어조사 지 / 물고기 어【의미】 배를 삼킬만한 물고기라는 뜻으로, 아주 큰 인물이나 큰 악인(惡人)을 이르는 말. 【字意】◎ 呑(탄) 음식을 입에 머금고 있는 의미에서 '삼키다'는 의미 생성. ◎ 舟(주) '통나무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之(지)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魚(어)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3747] - [추가 786] ◈ 貪 夫 殉 財 (탐부순재)【한자】 탐낼 탐 / 사내 부 / 따라죽을 순 / 재물 재【의미】 탐욕스러운 자는 재물 때문에 목숨을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얻기 위해 어떠한 위험도 돌보지 않아 목숨을 잃을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貪者殉財 (탐자순재)【字意】◎ 貪(탐) 지금 보다도 과도하게 욕심을 낸다는 의미에서 '탐내다'는 뜻을 생성함. '貧(빈:가난하다)'과 자형 구별에 유의. ◎ 夫(부)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殉(순) 죽은 이를 따라 죽는 의미인 순장(殉葬) 의미. ◎ 財(재) 재화로 활용되는 것에서 ‘재물’의 의미 생성. 才(재)가 발음.▣ 탁발운한, 탄주지어, 탐자순재 – 교본파일(1249[추가26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48] - [추가 787] ◈ 貪 天 之 功 (탐천지공)【한자】탐낼 탐 / 하늘 철 / 어조사 지 / 공 공【의미】 하늘의 공을 탐낸다는 뜻으로, 남의 공을 자기 것처럼 도용(盜用)하는 짓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貪(탐) 지금 보다도 과도하게 욕심을 낸다는 의미에서 '탐내다'는 뜻을 생성함. '貧(빈:가난하다)'과 자형 구별에 유의. ◎ 天(천) ‘하늘’은 사람[大]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功(공) 힘써 일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공적’의 의미. ‘工(공)’은 발음.
[3749] - [추가 788] ◈ 湯 武 放 伐 (탕무방벌)【한자】끓일 탕 / 무력 무 / 놓을 방 / 칠 벌【의미】 탕왕과 무왕이 쫓아내어 죽인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 은(殷)나라의 탕왕(湯王)이 하(夏)나라의 걸왕(桀王)을 내치고,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친 폭군을 정벌한 역성혁명(易姓革命)을 일컫는 말. 【字意】◎ 湯(탕) 물을 끓인 것에서 끓이다, 목욕하다, 국 등의 의미 파생. ◎ 武(무) 무기를 들고 걷는다는 의미로 보거나, 역설적으로 무기를 멈추게 한다는 의미로 止를 사용해 ‘무력으로 무력을 멈추게 하다’는 의미를 도출함. ◎ 放(방) 구속된 상태를 풀거나 버려지다는 의미에서 후에 ‘놓다’, ‘그만두다’ 등의 의미 파생. ◎ 伐(벌) 사람의 목에 창[戈(과)]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자르다’, ‘정벌하다’는 의미 생성.
[3750] - [추가 789] ◈ 湯 池 鐵 城 (탕지철성)【한자】끓일 탕 / 못 지 / 쇠 철 / 성 성【의미】 끓는 물이 괴어 있는 해자(垓字)와 쇠로 만든 성이라는 뜻으로, 아주 견고하게 방비하고 있는 성(城)을 이르는 말.【유의어】▶ 金城湯池 (금성탕지) : 방비가 견고한 성. 金城鐵壁(--철벽)▶ 鐵甕城 (철옹성) : 무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히 쌓은 성.【字意】◎ 湯(탕) 물을 끓인 것에서 끓이다, 목욕하다, 국 등의 의미 파생. ◎ 池(지) 물을 모아둔 넓고 깊은 곳의 의미에서 성곽 주위를 두르고 있는 못인 해자(垓字)의 의미 파생. ◎ 鐵(철) 금속의 하나인 단단한 '쇠'의 의미. ◎ 城(성) 지역을 지키는 성의 의미. ‘成(성)’은 발음. 구체적으로 성은 이중으로 쌓아 안쪽의 성은 ‘城’이라 하고 바깥쪽의 성은 ‘郭(곽)’이라 하여 ‘內城外郭(내성외곽)’을 합해 ‘城郭(성곽)’이라 함.▣ 탐천지공, 탕무방벌, 탕지철성 – 교본파일(1250[추가26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51] - [추가 790] ◈ 泰 極 否 來 (태극비래)【한자】 클 태 / 다할 극 / 막힐 비 / 올 래【의미】 편안함이 다하면 비극이 온다는 뜻으로, 안태(安泰)한 좋은 운이 지극함에 이르면 이윽고 나쁜 재앙(災殃)의 액운이 온다는 의미.【유의어】▶ 興盡悲來 (흥진비래) : 흥겨움이 다하면 슬픔이 찾아옴.【字意】◎ 泰(태) 물을 사람들이 들어서 건너게 하는 모양에서 ‘편안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큰 사람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크다’는 의미 도출. ◎ 極(극) 집의 가장 높은 곳인 일종의 용마루 의미에서 ‘최고’의 의미로 인해 ‘극한’, ‘다하다’는 의미 파생. ◎ 否(부/비) 아니라고 말하다는 의미에서 ‘아니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不(불)은 발음 역할도 함. (비)는 ‘막히다’ 의미. ◎ 來(래) 본래 '보리' 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 생성. '보리'는 별도의 '麥(맥)'자를 만듦. 여기서는 어조사 역할.
[3752] - [추가 791] ◈ 太 牢 滋 味 (태뢰자미)【한자】 클 태 / 우리 뢰 / 불을 자 / 맛 미【의미】 태뢰{종묘 제례의 희생}의 진귀한 맛이라는 뜻으로, 나라의 제사에 희생으로 바치는 소, 양, 돼지의 고기를 모두 사용한 요리의 맛을 이르는 말. 【字意】◎ 太(태)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牢(뢰) 본래 우마(牛馬)를 넣어놓은 '우리'의 모양과 '牛'를 더해서 만든 글자. 후에 '감옥'의 의미까지 파생함. ◎ 滋(자) 생물이 양육되게 한다는 뜻에서 ‘불어나다’는 의미 생성. ◎ 味(미) '입[口]'안에 있는 달콤한 음식의 의미에서 '맛'의 의미 도출. 未(미)는 발음.
[3753] - [추가 792] ◈ 太 阿 倒 持 (태아도지)【한자】 클 태 / 언덕 아 / 넘어질 도 / 가질 지【의미】 태아를 거꾸로 쥐고 있다는 뜻으로, 太阿라는 보검(寶劍)을 거꾸로 쥐고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과 같이 천자가 대권(大權)을 신하에게 빼앗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太(태)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阿(아) 본래 ‘언덕’의 의미인데, 후에 굽은 성질에 의해 ‘아부하다’는 의미 파생. ◎ 倒(도) 사람이 넘어졌다는 의미에서 '거꾸로 하다'는 의미. ◎ 持(지) 손으로 물건을 가지고 버티며 지킨다는 의미. 寺(사)는 발음 요소.▣ 태극비래, 태뢰자미, 태아도지 – 교본파일(1251[추가26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54] - [추가 793] ◈ 太 倉 稊 米 (태창제미)【한자】 클 태 곳집창 돌피제 쌀 미【의미】 나라 곳집의 돌피라는 뜻으로, 큰 곡식창고 안에 있는 쭉정이 피처럼 아주 큰 물건 속에 있는 아주 작은 물건을 이르는 말.【유의어】 ▶ 滄海一粟 (창해일속) : 큰 바다 속의 한 좁쌀.【字意】 ◎ 太(태)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倉(창) 食(식)의 생략형에 아래 사방 벽을 두른 창고의 모양에서 곡식을 저장하는 ‘곳집’의 의미 생성. ◎ 稊(제) 길가나 나대지에 흔하게 자라는 ‘돌피’의 의미. ‘弟(제)’는 발음. ◎ 米(미) 그릇 안에 흩어져 있는 쌀알의 모양을 본뜬 글자.
[3755] - [추가 794] ◈ 太 平 烟 月 (태평연월)【한자】 클 태 / 평평할 평 / 연기 연 / 달 월【의미】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은 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유의어】▶ 太平聖代 (태평성대) : 성군이 다스리는 태평한 시대.▶ 康衢煙月 (강구연월) : 태평한 세월이 풍경.【字意】◎ 太(태)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平(평) 기운이 위로 퍼져 올라가면서 나뉘어[八(팔)] 평평하게 퍼져 깔린다는 의미에서 ‘평평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烟(연) 불에서 나오는 ‘연기’나 ‘그을음’의 의미. ‘煙(연)’과 통용됨. ◎ 月(월)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陰)’도 표현.
[3756] - [추가 795] ◈ 擇 日 成 禮 (택일성례)【한자】 가릴 택 / 날 일 / 이룰 성 / 예도 례【의미】 날을 가려 혼례를 올린다는 뜻으로, 좋은 날짜를 골라 혼례(婚禮)를 치름을 이르는 말.【字意】◎ 擇(택) 손으로 가려 선택한다는 의미. ◎ 日(일)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 흑점으로 설명. 부수로 ‘밝다’, ‘환하다’ 등 의미로 활용됨. ◎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禮(례) 신에게 섬기는 도리에서 ‘사람이 행해야할 중요한 도리’인 ‘예도(禮度)’의 의미 생성.▣ 태창제미, 태평연월, 택일성례 – 교본파일(1252[추가26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57] - [추가 796] ◈ 擇 子 莫 如 父 (택자막여부)【한자】 가릴 택 / 아들 자 / 없을 막 / 같을 여 / 아비 부【의미】 자식을 가려내는 데에는 아버지만 함이 없다는 뜻으로, 아버지는 누구보다도 아들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을 잘 알아 가려낼 수 있다는 의미.【연결어】 ▶ 知女莫如母 (지녀막여모) : 딸을 아는 것은 어머니만 같은 이가 없음.【字意】◎ 擇(택) 손으로 가려 선택한다는 의미.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莫(막) 해가 숲 사이로 사라졌다는 의미에서 ‘없다’는 뜻 생성. ◎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父(부) 손[又]과 돌도끼 혹은 채찍[|]의 결합으로 돌도끼나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家長)’ 의미 생성.
[3758] - [추가 797] ◈ 吐 佳 言 如 屑 (토가언여설)【한자】 토할 토 / 아름다울 가 / 말씀 언 / 같을 여 / 가루 설【의미】 유창한 말을 쏟아내는 것이 마치 가루 같다는 뜻으로, 말이 술술 나오는 것이 마치 톱으로 나무를 켤 때 톱밥이 나오는 것 같이 말을 막힘없이 잘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靑山流水 (청산유수) : 푸른 산수처럼 막힘없이 말함.▶ 懸河之辯 (현하지변) : 흐르는 강물 같은 달변.【字意】◎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佳(가) 내적 아름다움의 의미. ‘美(미)’는 외적 아름다움 표현. ◎ 言(언)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如(여)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屑(설) ‘가루’나 ‘부스러기’의 의미.
[3759] - [추가 798] ◈ 吐 剛 茹 柔 (토강여유)【한자】 토할 토 / 굳셀 강 / 먹을 여 / 부드러울 유【의미】 딱딱한 것을 뱉고 부드러운 것을 먹는다는 뜻으로, 강자(强者)는 두려워하고 약자(弱者)는 함부로 대함을 이르는 말.【字意】◎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剛(강) 힘차고 튼튼하거나 의지가 굳다는 의미를 지님. 상대어는 ‘柔(유). ◎ 茹(여) 부드러운 채소의 의미에서 ’먹다 파생함. ‘如(여)’는 발음. ◎ 柔(유) 창{矛}의 자루로 쓰는 나무{木}은 부드럽고 연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부드럽다’, ‘순하다’는 의미 도출.▣ 택자막여부, 토가언여설, 토강여유 – 교본파일(1253[추가26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60] - [추가 799] ◈ 土 階 茅 茨 (토계모자)【한자】 흙 토 / 섬돌 계 / 띠 모 / 가시나무 자【의미】 흙 계단과 띠 지붕이라는 뜻으로, 흙으로 만든 계단이나 띠로 엮어 만든 엉성한 지붕을 사용한 집처럼 아주 질박하고 소박한 모양을 이르는 말. 요(堯)임금의 소박한 거처에서 유래한 말.【유의어】▶ 三間斗屋 (삼간두옥) : 세 칸의 썩 작은 오막살이집.【字意】◎ 土(토)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흙’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階(계) 단계로 올라가는 '계단'의 의미에서 '품계(品階)' 등의 의미까지 확대됨. ◎ 茅(모) '띠'의 의미. '矛(모)'는 발음 역할. ◎ 茨(자) 가시나무의 의미에서 ‘지붕을 이다’는 뜻으로 확대됨.
[3761] - [추가 800] ◈ 兎 起 鶻 落 (토기골락)【한자】 토끼 토 / 일어날 기 / 송골매 골 / 떨어질 락【의미】 토끼가 내달리고 송골매가 떨어진다는 뜻으로, 글씨의 필세(筆勢)가 씩씩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관련어】▶ 龍蛇飛騰 (용사비등) : 용과 뱀이 날아오름. 초서의 활기참.▶ 落紙雲煙 (낙지운연) : 종이에 떨어진 구름과 연기. 초서.▶ 平沙落雁 (평사낙안) : 모래펄에 내려앉는 기러기. 섬세함.▶ 浮雲驚龍 (부운경룡) : 떠다니는 구름과 놀란 용. 자유분방.【字意】◎ 兎(토) 쭈그리고 앉아 있는 토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의 귀와 아래의 꼬리를 강조함. ◎ 起(기) 몸을 일으켜 걷는 모양에서 ‘일어나다’는 의미 생성. ◎ 鶻(골) 송골매나 산비둘기의 의미. ‘骨(골)’은 발음. ◎ 落(락)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洛(락)은 발음.
'이야기한자성어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3812-3861 (0) | 2013.02.12 |
---|---|
이야기한자성어뉴3762-3811 (0) | 2013.02.12 |
이야기한자성어뉴3662-3771 (0) | 2013.02.12 |
이야기한자성어3612-3661 (0) | 2013.02.12 |
이야기한자성어3561-3611 (0) | 201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