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한자성어뉴

이야기한자성어3712-3761

ria530 2013. 2. 12. 16:46

[3712] - [추가 751] 充 閭 之 慶 (충려지경)한자찰 충 / 이문 려 / 어조사 지 / 경사 경의미집안에 가득한 경사라는 뜻으로, 손님이 집안 문설주까지 가득 찰 정도로 집안이 번성했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득남(得男)을 축하하는 말로도 사용됨.출전】▶ 弄璋之慶 (농장지경) : 득남의 축하하는 말.字意() ‘()’의 생략형에 ()’을 더한 것으로, 사람을 육성한다는 의미에서 완전하게 채우다는 의미를 생성함. () ()대의 25가구 마을의 의 의미에서 마을자체의 뜻으로 확대됨. () 위 부분은 사슴 록[鹿]의 변형. 곧 사슴은 얻은 기쁜 마음에 만지고 있는 모양에서 경사스러움의 의미 생성.

[3713] - [추가 752] 聚 輕 折 軸 (취경절축)한자모일 취 / 가벼울 경 / 꺾을 절 / 굴대 축의미가벼운 것도 모이면 차축을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작은 것이 쌓여 큰 것이 됨의 비유.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쌓이면 큰 힘을 발휘함의 비유.동의어】▶ 叢輕折軸 (총경절축) : 羣輕折軸 (군경절축)字意()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에서 후에 마을의 의미까지 확대됨. () 무게가 적고 가벼운 수레에 가볍다는 의미 생성. 후에 사람이 모자라거나 경솔하다는 뜻으로 경박스럽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 본래 풀 초[]’도기 근[]’의 결합으로 도끼로 풀을 벤다는 뜻에서 꺾다’, ‘휘어서 베다는 의미 생성. 손 수[] 부수는 후에 변화된 자형임. () 양 바퀴를 꿰뚫는 가로나무인 굴대를 이라 함.

[3714] - [추가 753] 炊 骨 易 子 (취골역자)한자불땔 취 / 뼈 골 / 바꿀 역 / 아들 자의미뼈로 밥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밥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字意() 밥을 짓기 위해 불을 때다는 의미. () 살을 발려내고 뼈만 남겨 놓았다는 의미. 뼈뿐만 아니라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부수자로 활용됨. () 의 결합에서 끊임없는 변화로 바꾸다는 의미로 보거나, 도마뱀의 모양으로 보기도 함. ()발음은 쉽다는 의미.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충려지경, 취경절축, 취골역자 교본파일(1238[추가25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15] - [추가 754] 聚 散 逢 別 (취산봉별)한자모일 취 / 흩어질 산 / 만날 봉 / 이별할 별의미모였다가 흩어지고 만났다가 헤어진다는 뜻으로, 주로 이권이나 정략적 모였다 흩어졌다한다는 의미.유의어聚散離合 (취산이합) : 모였다가 흩어졌다가 하는 일.離合集散 (이합집산) : 모였다가 헤어졌다가 하는 일.字意()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에서 후에 마을의 의미까지 확대됨. () 쪼개서 나누어 놓은 고깃덩이라는 의미에서 흩어지다는 의미 생성. () 마주치거나 만난다는 의미. () 왼쪽은 '(:)'의 변형. 칼로 가른다는 의미에서 '나누다'는 뜻 생성.

[3716] - [추가 755] 取 善 輔 仁 (취선보인)한자취할 취 / 착할 선 / 도울 보 / 어질 인의미선을 모으고 인을 돕는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선행을 본받아 자기의 인덕을 기르는 것처럼 친구의 유익함을 이르는 말. 유의어】▶ 責善輔仁 (책선보인) : 선을 권하고 인을 도와줌.字意() 전쟁에서 이겨 손[]으로 적군의 귀[]를 자른 고대의 일에서 유래되어 취하다는 의미 생성. () +의 결합으로 순수하고 길한 징조의 양과 같은 바른 말을 한다는 의미에서 착하다’, ‘의 의미 생성. () 수레바퀴에 끼는 덧방나무의 의미, 후에 수레를 잘 가게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돕다'는 의미 파생. () 사람이 둘[]이는 표현으로, 혼자가 아닌 사회 속에서의 사랑과 친밀함을 지녀야 한다는 의미에서 어질다는 의미 생성.

[3717] - [추가 756] 臭 如 蘭 (취여란)한자냄새 취 / 같을 여 / 난초 란의미냄새가 마치 난초와 같다는 뜻으로, 꽃다운 향내가 난초의 향기와 닮은 것처럼, 여럿이 합심하여 하는 말이 다른 것에 미치는 힘은 몹시 크다는 의미. 원문】▶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이인동심 기리단금, 동심지언 기취여난): 두 사람이 마음을 같이하면 그 날카로움은 쇠도 자를 수 있고, 마음을 함께한 말은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 易經(역경).字意() []의 의미에 개[]를 더해 '냄새'의 의미 생성.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사군자[梅蘭菊竹] 중의 하나인 난초의 의미. 아래 부분은 발음.취산봉별, 취선보인, 취여란 교본파일(1239[추가25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18] - [추가 757] 醉 翁 之 意 (취옹지의)한자취할 취 / 늙은이 옹 / 어조사 지 / 뜻 의의미취한 노인의 뜻이라는 뜻으로, 다른 의도나 속셈이 있거나 안팎의 모습이 다른 상황을 이르는 말.字意() 술을 마셔 취하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새의 목에 난 깃털의 의미인데, 장식을 한 높은 아버지나 노인의 존칭으로 사용됨. () 마음속의 생각을 겉으로 나타낸다는 의미로 주관적인 의미의 뜻을 지님. 는 객관적인 의미’.

[3719] - [추가 758] 驟 雨 不 終 日 (취우부종일)한자달릴 취 / 비 우 / 아니 불 / 마칠 종 / 날 일의미소나기는 하루 종일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위세(威勢)를 부리는 자는 오래가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급히 서두르는 일이 오래 계속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權不十年 (권불십년)]유의어】▶ 花無十日紅 (화무십일홍) : 열흘 붉은 꽃이 없음.字意() 말이 빨리 달리는 의미에서 갑자기파생. ()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떠 '''기후','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 계절의 끝인 겨울의 의미인 ()’에서 확대되어 의 의미를 위해 ()’자를 더함. ()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 흑점으로 설명. 부수로 밝다’, ‘환하다등 의미로 활용됨.

[3720] - [추가 759] 醉 中 眞 談 (취중진담)한자취할 취 / 가운데 중 / 참 진 / 이야기 담의미술에 취하면 진짜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술에 취하게 되면 자기의 속마음을 털어놓게 된다는 의미.유의어】▶ 醉中眞情發 (취중진정발) : 취중에 속마음을 털어놓음.字意() 술을 마셔 취하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 갑골문의 자형은 솥[의 변형]에서 숟가락[]으로 음식을 꺼내는 모양. 잘 완성되었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 생성. () 말하고 이야기한다는 의미의 말씀의 의미'.취옹지의, 취우부종일, 취중진담 교본파일(1240[추가25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21] - [추가 760] 醉 飽 淫 臥 (취포음와)한자취할 취 / 배부를 포 / 음난할 음 / 누울 와의미취하도록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누워잔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잠을 자듯 문란한 생활을 이르는 말.字意() 술을 마셔 취하다는 의미. ‘()’은 발음 역할 () 실컷 먹어 싫증나 물리다는 의미. ‘()’는 발음. () 물에 적시다는 의미에서 범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되어 어지럽다음란하다등을 파생함. () 사람이 엎드려 쉰다는 의미. 신하가 임금 앞에서 엎드리는 것에서 과 합해서 만듦.

[3722] - [추가 761] 側 目 視 之 (측목시지)한자곁 측 / 눈 목 / 보일 시 / 어조사 지의미눈을 흘겨서 본다는 뜻으로, 곁눈질하면서 주의를 살피거나, 가볍게 보거나 냉대한다는 의미.유의어白眼視 (백안시) : 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視若不見 (시약불견) : 보고도 못 본 체 함.字意() 자기 주변의 한쪽의 의미로 을 나타냄. ‘()’은 발음 요소. ()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등의 의미로 활용됨. ‘()’보는 행위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 () 가시적으로 보다는 의미에서 상세하게 살펴본다는 의미까지 확대.

[3723] - [추가 762] 治 家 敎 子 (치가교자)한자다스릴 치 / 집 가 / 가르칠 교 / 아들 자의미집안을 다스리고 자손을 가르친다는 뜻으로, 가정의 경영과 교육을 이르는 말.字意()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집안에서 돼지를 기른다는 의미에서 ’, ‘가정의 의미로 사용. () 아버지가 자식에게 글자를 가르치는 모양에서 '가르치다'는 의미 생성.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취포음와, 측목시지, 치가교자 교본파일(1241[추가25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24] - [추가 763] 雉 膏 不 食 (치고불식)한자꿩 치 / 기름 고 / 아니 불 / 먹을 식의미꿩 기름을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몸에 좋은 꿩 기름도 먹지 않는 것처럼 재덕이 있어도 임금에게 채용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전- 주역(周易)]字意() 꿩의 의미. ()는 발음 요소 () []이 쪘다는 의미. '기름지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3725] - [추가 764] 雉 求 牡 匹 (치구모필)한자꿩 치 / 구할 구 / 수컷 모 / 짝 필의미까투리가 장끼 짝을 구한다는 뜻으로, 부부가 아닌 남녀가 서로 상대를 구함을 이르는 말. [출전- 시경(詩經)]字意() 꿩의 의미. ()는 발음 요소. () 본래 털가죽으로 만든 사람의 옷 모양인데, 후에 털가죽 옷을 조여 입어 다잡다는 의미에서 구하다는 의미로 변화되었고, 털옷은 ()자를 아래에 붙여서 사용하고 구제하다는 의미는 ()’를 별도로 만듦. () 소의 수컷에서 수컷의미 생성. () 옷감을 감추어 나누어 두었다는 의미인데, 서로 짝이 되는 의미로 의 뜻을 생성함. 후에 옷감 길이와 말을 세는 단위 로도 사용됨.

[3726] - [추가 765] 治 國 安 民 (치국안민)한자다스릴 치 / 나라 국 / 편안할 안 / 백성 민의미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으로, 위정자(爲政者)가 실천해야 할 도리로 이르는 말.연관어】▶ 國泰民安 (국태민안)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字意()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지역의 의미인 ''에 창[]으로 대지[]의 구역[]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영토''나라'의 의미 생성. () 제사장 안에서 제례를 올리는 무녀(巫女)의 모습에서 '모든 것이 다 잘 진행된다'는 의미에서 '편안하다'는 뜻 생성. () 칼로 눈을 찌르는 모양인데, 고대 전재 포로를 노예로 만들기 위해 사용한 것에서 만듦. 낮은 계급의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치고불식, 치구모필, 치국안민 교본파일(1242[추가25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27] - [추가 766] 齒 亡 舌 存 (치망설존)한자이 치 / 없을 망 / 혀 설 / 있을 존의미이는 없어져도 혀는 남아있다는 뜻으로, 강한 자는 망하기 쉽고 유연한 자가 오래 남을 수 있을 비유하여 모진 사람이 망하기 쉽고 순한 사람이 길이 남음의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 齒弊舌存 (치폐설존)]字意() 치아의 모양을 본뜬 후에 ()를 더해 발음 역할을 함. ()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고 숨어있는 상황에서 죽다’, ‘잃다는 의미 생성. () 입과 혀 모양을 본뜬 것으로 보거나 입과 범하다는 의미의 결합으로 보기도 함. () 의 생략형에 를 더해 어린이를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객관적, 현실적인 존재의 의미인 있다는 뜻 생성.

[3728] - [추가 767] 鴟 目 虎 吻 (치목호문)한자올빼미 치 / 눈 목 / 범 호 / 입술 문의미올빼미의 눈과 범의 입술이라는 뜻으로, 탐욕이 많은 인상(印象)을 의미하거나, 사납고 잔인함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字意() 솔개나 수리부엉이의 의미. ()는 발음 요소. ()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등의 의미로 활용됨. ‘()’보는 행위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 () 호랑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자형이 많이 변화되어 머리와 가죽, 다리로 표현함. 곧 동물의 대표격으로 인해 별도의 글자가 만들어짐. () 입술의 의미. ()은 발음 역할.

[3729] - [추가 768] 齒 髮 不 長 (치발불급)한자이 치 / 터럭 발 / 아니 부 / 길 장의미이와 머리가 자라지 않았다는 뜻으로, 배냇니도 다 갈지 못하고 머리카락도 다박머리를 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아직 나이가 어리다는 의미.동의어】▶ 齒髮不及 (치발불급) : 이와 머리털이 아직 미치지 못함.字意() 치아의 모양을 본뜬 후에 ()를 더해 발음 역할을 함. () 머리터럭의 의미. 주로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함. ()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치망설존, 치목호문, 치발부장 교본파일(1243[추가25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0] - [추가 769] 治 山 治 水 (치산치수)한자다스릴 치 / 산 산 / 다스릴 치 / 물 수의미산과 물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산과 내를 관리하고 다스려 홍수나 사태 등의 재해를 입지 않도록 방비한다는 의미.字意()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솟아 있는 과 봉우리들의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 () 물줄기의 흐름을 표현한 모양.

[3731] - [추가 770] 治 鼠 壞 里 閭 (치서괴리려)한자다스릴 치 / 쥐 서 / 무너질 괴 / 마을 리 / 마을 려의미쥐를 잡기 위하여 마을을 부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하기 위하여 큰일을 그르침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연결어】▶ 矯角殺牛 : 소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임.속담빈대 한 마리 잡으려다 초가삼칸 다 태운다.字意() 흐르는 물을 관리하듯이 보살펴 관리하거나 바로잡는 듯의 의미에서 다스리다는 뜻 생성. ()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본뜬 글자. () 흙이 갈라져 무너져내린다는 무너지다생성. ()는 발음요소.() 농사지을[] []이 있다는 의미에서 '마을'의미를 생성했고, 후에 구획을 의미한 '거리'의 단위로 사용됨. () ()대의 25가구 마을의 의 의미에서 마을자체의 뜻으로 확대됨.

[3732] - [추가 771] 則 以 觀 德 (칙이관덕)한자법 칙 / 써 이 / 볼 관 / 덕 덕의미법으로 덕을 본다는 뜻으로, 법도나 예의의 적합 여부에 따라 그 사람의 인품과 덕을 판정한다는 의미.출전】▶ 則以觀德, 德以處事, 事以度功, 功以食民. (-- 덕이처사 사이탁공 공이식민): --, 덕으로써 일을 처리하며, 일로써 공적을 헤아리고, 공적으로써 백성들을 먹여 기른다.字意(/) 본래 화폐[]를 나눈다[]는 의미에서 규정을 한다는 의미의 법칙[발음은 ()]’의 의미 생성. 문장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하면[발음은 ()]’으로 사용됨. () 본래 그만두다()’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 생성하고 을 더함. () 을 더해 늘어놓고 잘 보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 본래 +++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 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이 행동과 관련하여 을 첨가함. 치산치수, 치서괴리려, 칙이관덕 교본파일(1244[추가25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2] - [추가 771] 則 以 觀 德 (칙이관덕)한자법 칙 / 써 이 / 볼 관 / 덕 덕의미법으로 덕을 본다는 뜻으로, 법도나 예의의 적합 여부에 따라 그 사람의 인품과 덕을 판정한다는 의미.출전】▶ 則以觀德, 德以處事, 事以度功, 功以食民. (-- 덕이처사 사이탁공 공이식민): --, 덕으로써 일을 처리하며, 일로써 공적을 헤아리고, 공적으로써 백성들을 먹여 기른다.字意(/) 본래 화폐[]를 나눈다[]는 의미에서 규정을 한다는 의미의 법칙[발음은 ()]’의 의미 생성. 문장 속에서 접속의 의미로 ‘~하면[발음은 ()]’으로 사용됨. () 본래 그만두다()’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 생성하고 을 더함. () 을 더해 늘어놓고 잘 보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 본래 +++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 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이 행동과 관련하여 을 첨가함. 치산치수, 치서괴리려, 칙이관덕 교본파일(1244[추가25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4] - [추가 773] 七 寶 紅 顔 (칠거홍안)한자일곱 칠 / 보배 보 / 붉을 홍 / 얼굴 안의미일곱 가지 보물로 치장한 붉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많은 보석으로 단장한 여인의 붉은 얼굴. 곧 미인의 아름다운 형상.유의어】▶ 七寶丹粧 (칠보단장) : 보석으로 아름답게 치장함.字意() 보다 작은 수를 표시하기 위해 의 세로획을 굽혀서 표현해 을 만듦. () 집안에 옥이나 재화가 가득 차 있는 모양으로 보물’, ‘보배의 의미 생성. () 붉은 빛을 내는 색의 의미에서 붉다의 의미 생성. ‘()’은 발음 역할.() 얼굴 전반의 표정면목등의 의미로 사용됨. ()은 발음 요소.

[3735] - [추가 774] 七 尺 之 軀 (칠척지구)한자일곱 칠 / 자 척 / 어조사 지 / 몸 구의미칠 척의 몸이라는 뜻으로, 신장이 칠 척 되는 장신의 신체를 이르는 말.유의어】▶ 八尺長身 (팔척장신) : 여덟 척이나 되는 큰 사람이라는 뜻으로, 아주 장대한 사람의 의미.字意() 보다 작은 수를 표시하기 위해 의 세로획을 굽혀서 표현해 을 만듦. () 사람의 등 뒤까지를 표시해서 길이의 단위인 ‘10(: )’를 나타내고, 후에 재는 도구인 의미까지 확대함. () 신체의 몸을 의미. ()는 발음. 칠거지악, 칠보홍안, 칠척지구 교본파일(1245[추가25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6] - [추가 775] 枕 戈 待 旦 (침과대단)한자베개 침 / 창 과 / 기다릴 대 / 아침 단의미창을 베고 자면서 아침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항상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추고 경계를 늦추지 않는 태도를 이르는 말.관련어】▶ 有備無患 (유비무환) : 갖춤이 있으면 근심이 없다.字意() 목침(木枕) 같은 잠잘 때 베는 베개의 의미. 주로 잠자는 것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됨. 오른쪽은 발음. () 손잡이가 달린 긴 자루 끝에 갈고리 모양의 칼날을 붙인 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가 있고, 또는 주살의 옆에 날[]을 달아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경우도 있음. , 무기, 전쟁 등으로 활용됨. () 기다리다는 일에서 갖추어 기다리게 되어 대접하다는 의미까지 파생. () 태양이 지평선 위에 올라왔음을 표시해 해가 뜬 아침의 의미 생성.

[3737] - [추가 776] 浸 明 浸 昌 (침명침창)한자담글 침 / 밝을 명 / 담글 침 / 창성할 창의미점점 밝아지고 점점 번성한다는 뜻으로, 차츰차츰 밝아지고 힘차게 성하여 잘되어 감을 이르는 말.字意() 물에 담궈 적시다는 의미에서 적시다등 생성함. 여기서는 물이 점차 스며들 듯이 늘어나다는 의미. () 해와 달의 밝은 의미를 합해 밝다는 의미 생성. 혹은 의 모양을 작은 창문으로 보기도 함. 곧 창가에 비친 달빛의 의미로 봄. () 밝게[] 말한다[]는 의미에서 태양처럼 아름다운 말의 뜻으로, '창성하다'는 의미 생성.

[3738] - [추가 777] 寢 食 不 甘 (침식불감)한자잠잘 침 / 먹을 식 / 아니 불 / 달 감의미잠자고 먹는 일이 달지 못하다는 뜻으로, 온갖 걱정으로 잠자는 일과 먹는 일이 달지 않음을 이르는 말.유의어】▶ 寢不安席 (침불안석) : 잠을 자도 자리가 편안하지 못함.字意() 본래는 병으로 자리에 눕는다는 의미인데, ‘을 쓰는 글자[]와 통용됨.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 사람의 혀에 맛있다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점으로 표시해서 달다는 의미 생성. 침과대단, 침명침창, 침식불감 교본파일(1246[추가25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39] - [추가 778] 浸 潤 之 譖 (침윤지참)한자적실 침 / 젖을 윤 / 어조사 지 / 참소할 참의미스며들어 젖는 참소라는 뜻으로, 물이 차츰차츰 배어 들어가듯이 남을 여러 번 차츰차츰 헐뜯어 곧이듣게 하는 참소(讒訴)를 이르는 말.字意() 물에 담궈 적시다는 의미에서 적시다등 생성함. 여기서는 물이 점차 스며들 듯이 늘어나다는 의미. () 물기를 머금어 적시다는 의미에서 후에 더해지다는 뜻이 확대되어 윤택하다’, ‘은혜등 파생함. ‘()’은 발음 역할. () 참소하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요소. ‘()’과 통용됨.

[3740] - [추가 779] 秤 新 而 爨 (칭신이찬)한자저울 칭 / 새 신 / 말이을 이 / 불땔 찬의미땔나무를 저울로 달아 땐다는 뜻으로, 소소한 일에 너무 잔소리가 심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如咀濕飯 (여저습반) : 마치 진 밥을 씹는 듯 함. 곧 사소한 일로 잔소리를 되풀이 함.字意() 저울의 의미. ‘()’은 발음 역할. () 나무를 도끼로 찍어 다듬은 모양에서 '새로운 재목'의 의미 생성. () 불을 때서 밥을 짓는다는 의미.

[3741] - [추가 780] 稱 讚 不 已 (칭찬불이)한자일컬을 칭 / 기릴 찬 / 아니 불 / 그칠 이의미칭찬이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칭찬하여 마지않을 정도로 높이 평가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極口稱讚 (극구칭찬) : 온갖 말을 다하여 칭찬함.字意() 무게를 재는 저울의 의미인데, ‘재서 헤아리다는 의미에서 일컫다’, ‘칭찬하다등으로 확대됨. () 을 더해 남을 돕는다는 의미에서 확대되어 칭찬하다는 의미까지 파생함. ‘()’은 발음. () ‘그만두다’, ‘그치다등의 의미. 문장 속에서는 부사 이미의 의미로 많이 쓰임.침윤지참, 칭신이찬, 칭찬불이 교본파일(1247[추가26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42] - [추가 781] 濯 錦 以 魚 (탁금이어)한자씻을 탁 / 비단 금 / 써 이 / 물고기 어의미비단을 씻는 데 물고기로써 한다는 뜻으로, 천한 것으로써 귀한 것을 다스림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물로 씻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 여러 가지 색채로 무늬를 넣어 짠 비단의 의미. () 본래 그만두다()’를 뒤집은 모양과 의미도 반대로 하다’, ‘쓰다는 의미 생성. 후에 이유’, ‘까닭의 의미 생성하고 을 더함. ()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3743] - [추가 782] 度 德 而 師 (탁덕이사)한자잴 탁 / 덕 덕 / 말이을 이 / 스승 사의미덕을 헤아려 스승으로 여긴다는 뜻으로, 그 사람의 인격을 헤아린 연후에 스승으로 삼음을 이르는 말. 字意() [()]으로 헤아리고 잰다는 의미에서 법도[()발음]’의 의미를 생성함. 후에 재다는 의미에서 헤아리다[()발음]’는 의미 파생. () 본래 +++의 결합으로 많은 사람들이 눈으로 살펴보아도 항상 한가지 마음으로 행한다는 의미에서 덕성(德性)’의 의미 생성. 후에 덕()이 행동과 관련하여 을 첨가함. () 고대 군대의 단위에서 사람들을 이끈다는 의미에서 '스승'의 의미를 파생함

[3744] - [추가 783] 濯 鱗 淸 流 (탁린청류)한자씻을 탁 / 비늘 린 / 맑을 청 / 흐를 류의미맑은 시냇물에 비늘을 씻는다는 뜻으로, 높은 지위와 명예를 얻음을 이르는 말.字意() 물로 씻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 물고기의 비늘의 의미에서 물고기까지 확대됨. 오른쪽 부분은 발음. () 물이 맑고 선명하다는 의미에서 깨끗하다는 의미 파생. () 물에 빠진 어린 아이가 떠내려가는 모양으로 보거나 물살의 흐름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함.탁금이어, 탁덕이사, 탁린청류 교본파일(1248[추가26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45] - [추가 784] 濯 髮 雲 漢 (탁발운한)한자씻을 탁 / 터럭 발 / 구름 운 / 한수 한의미은하수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으로, 벼슬하여 출세함을 이르는 말.字意() 물로 씻다는 의미. 오른쪽은 발음. () 머리터럭의 의미. 주로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함. () 본래 ()’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와 결합해 만듦. ()말하다로 전용. () 중국 섬서성에서 발원한 한수(漢水)인데, 후에 나라이름과 중국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3746] - [추가 785] 呑 舟 之 魚 (탄주지어)한자삼킬 탄 / 배 주 / 어조사 지 / 물고기 어의미배를 삼킬만한 물고기라는 뜻으로, 아주 큰 인물이나 큰 악인(惡人)을 이르는 말. 字意() 음식을 입에 머금고 있는 의미에서 '삼키다'는 의미 생성. () '통나무배'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물고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3747] - [추가 786] 貪 夫 殉 財 (탐부순재)한자탐낼 탐 / 사내 부 / 따라죽을 순 / 재물 재의미탐욕스러운 자는 재물 때문에 목숨을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얻기 위해 어떠한 위험도 돌보지 않아 목숨을 잃을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동의어】▶ 貪者殉財 (탐자순재)字意() 지금 보다도 과도하게 욕심을 낸다는 의미에서 '탐내다'는 뜻을 생성함. '(:가난하다)'과 자형 구별에 유의. () 사람이 머리 위에 관례(冠禮)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는 의미에서 성인 남자의 의미를 생성함. () 죽은 이를 따라 죽는 의미인 순장(殉葬) 의미. () 재화로 활용되는 것에서 재물의 의미 생성. ()가 발음.탁발운한, 탄주지어, 탐자순재 교본파일(1249[추가26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48] - [추가 787] 貪 天 之 功 (탐천지공)한자탐낼 탐 / 하늘 철 / 어조사 지 / 공 공의미하늘의 공을 탐낸다는 뜻으로, 남의 공을 자기 것처럼 도용(盜用)하는 짓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지금 보다도 과도하게 욕심을 낸다는 의미에서 '탐내다'는 뜻을 생성함. '(:가난하다)'과 자형 구별에 유의.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 () 힘써 일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공적의 의미. ‘()’은 발음.

[3749] - [추가 788] 湯 武 放 伐 (탕무방벌)한자끓일 탕 / 무력 무 / 놓을 방 / 칠 벌의미탕왕과 무왕이 쫓아내어 죽인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 은()나라의 탕왕(湯王)이 하()나라의 걸왕(桀王)을 내치고, ()나라의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친 폭군을 정벌한 역성혁명(易姓革命)을 일컫는 말. 字意() 물을 끓인 것에서 끓이다, 목욕하다, 국 등의 의미 파생. () 무기를 들고 걷는다는 의미로 보거나, 역설적으로 무기를 멈추게 한다는 의미로 를 사용해 무력으로 무력을 멈추게 하다는 의미를 도출함. () 구속된 상태를 풀거나 버려지다는 의미에서 후에 놓다’, ‘그만두다등의 의미 파생. () 사람의 목에 창[()]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자르다’, ‘정벌하다는 의미 생성.

[3750] - [추가 789] 湯 池 鐵 城 (탕지철성)한자끓일 탕 / 못 지 / 쇠 철 / 성 성의미끓는 물이 괴어 있는 해자(垓字)와 쇠로 만든 성이라는 뜻으로, 아주 견고하게 방비하고 있는 성()을 이르는 말.유의어金城湯池 (금성탕지) : 방비가 견고한 성. 金城鐵壁(--철벽)鐵甕城 (철옹성) : 무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히 쌓은 성.字意() 물을 끓인 것에서 끓이다, 목욕하다, 국 등의 의미 파생. () 물을 모아둔 넓고 깊은 곳의 의미에서 성곽 주위를 두르고 있는 못인 해자(垓字)의 의미 파생. () 금속의 하나인 단단한 ''의 의미. () 지역을 지키는 성의 의미. ‘()’은 발음. 구체적으로 성은 이중으로 쌓아 안쪽의 성은 이라 하고 바깥쪽의 성은 ()’이라 하여 內城外郭(내성외곽)’을 합해 城郭(성곽)’이라 함.탐천지공, 탕무방벌, 탕지철성 교본파일(1250[추가26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51] - [추가 790] 泰 極 否 來 (태극비래)한자클 태 / 다할 극 / 막힐 비 / 올 래의미편안함이 다하면 비극이 온다는 뜻으로, 안태(安泰)한 좋은 운이 지극함에 이르면 이윽고 나쁜 재앙(災殃)의 액운이 온다는 의미.유의어】▶ 興盡悲來 (흥진비래) : 흥겨움이 다하면 슬픔이 찾아옴.字意() 물을 사람들이 들어서 건너게 하는 모양에서 편안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큰 사람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크다는 의미 도출. () 집의 가장 높은 곳인 일종의 용마루 의미에서 최고의 의미로 인해 극한’, ‘다하다는 의미 파생. (/) 아니라고 말하다는 의미에서 아니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은 발음 역할도 함. ()막히다의미. () 본래 '보리' 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 생성. '보리'는 별도의 '()'자를 만듦. 여기서는 어조사 역할.

[3752] - [추가 791] 太 牢 滋 味 (태뢰자미)한자클 태 / 우리 뢰 / 불을 자 / 맛 미의미태뢰{종묘 제례의 희생}의 진귀한 맛이라는 뜻으로, 나라의 제사에 희생으로 바치는 소, , 돼지의 고기를 모두 사용한 요리의 맛을 이르는 말. 字意()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본래 우마(牛馬)를 넣어놓은 '우리'의 모양과 ''를 더해서 만든 글자. 후에 '감옥'의 의미까지 파생함. () 생물이 양육되게 한다는 뜻에서 불어나다는 의미 생성. () '[]'안에 있는 달콤한 음식의 의미에서 ''의 의미 도출. ()는 발음.

[3753] - [추가 792] 太 阿 倒 持 (태아도지)한자클 태 / 언덕 아 / 넘어질 도 / 가질 지의미태아를 거꾸로 쥐고 있다는 뜻으로, 太阿라는 보검(寶劍)을 거꾸로 쥐고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과 같이 천자가 대권(大權)을 신하에게 빼앗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본래 언덕의 의미인데, 후에 굽은 성질에 의해 아부하다는 의미 파생. () 사람이 넘어졌다는 의미에서 '거꾸로 하다'는 의미. () 손으로 물건을 가지고 버티며 지킨다는 의미. ()는 발음 요소.태극비래, 태뢰자미, 태아도지 교본파일(1251[추가26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54] - [추가 793] 太 倉 稊 米 (태창제미)한자클 태 곳집창 돌피제 쌀 미의미나라 곳집의 돌피라는 뜻으로, 큰 곡식창고 안에 있는 쭉정이 피처럼 아주 큰 물건 속에 있는 아주 작은 물건을 이르는 말.유의어】 ▶ 滄海一粟 (창해일속) : 큰 바다 속의 한 좁쌀.字意()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의 생략형에 아래 사방 벽을 두른 창고의 모양에서 곡식을 저장하는 곳집의 의미 생성. () 길가나 나대지에 흔하게 자라는 돌피의 의미. ‘()’는 발음. () 그릇 안에 흩어져 있는 쌀알의 모양을 본뜬 글자.

[3755] - [추가 794] 太 平 烟 月 (태평연월)한자클 태 / 평평할 평 / 연기 연 / 달 월의미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세월을 이르는 말. [烟月煙月. 곧 태평한 시절의 의미]유의어太平聖代 (태평성대) : 성군이 다스리는 태평한 시대.康衢煙月 (강구연월) : 태평한 세월이 풍경.字意() 크다는 의미에 점을 찍어 더 분명하고 확실하게 크다는 의미를 표시함. () 기운이 위로 퍼져 올라가면서 나뉘어[()] 평평하게 퍼져 깔린다는 의미에서 평평하다는 의미를 생성함. () 불에서 나오는 연기그을음의 의미. ‘()’과 통용됨. ()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도 표현.

[3756] - [추가 795] 擇 日 成 禮 (택일성례)한자가릴 택 / 날 일 / 이룰 성 / 예도 례의미날을 가려 혼례를 올린다는 뜻으로, 좋은 날짜를 골라 혼례(婚禮)를 치름을 이르는 말.字意() 손으로 가려 선택한다는 의미. ()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 흑점으로 설명. 부수로 밝다’, ‘환하다등 의미로 활용됨. () ‘(-)’은 발음부분, ‘()’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로 보기도 함. () 신에게 섬기는 도리에서 사람이 행해야할 중요한 도리예도(禮度)’의 의미 생성.태창제미, 태평연월, 택일성례 교본파일(1252[추가26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57] - [추가 796] 擇 子 莫 如 父 (택자막여부)한자가릴 택 / 아들 자 / 없을 막 / 같을 여 / 아비 부의미자식을 가려내는 데에는 아버지만 함이 없다는 뜻으로, 아버지는 누구보다도 아들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을 잘 알아 가려낼 수 있다는 의미.연결어】 ▶ 知女莫如母 (지녀막여모) : 딸을 아는 것은 어머니만 같은 이가 없음.字意() 손으로 가려 선택한다는 의미.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해가 숲 사이로 사라졌다는 의미에서 없다는 뜻 생성.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과 돌도끼 혹은 채찍[|]의 결합으로 돌도끼나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家長)’ 의미 생성.

[3758] - [추가 797] 吐 佳 言 如 屑 (토가언여설)한자토할 토 / 아름다울 가 / 말씀 언 / 같을 여 / 가루 설의미유창한 말을 쏟아내는 것이 마치 가루 같다는 뜻으로, 말이 술술 나오는 것이 마치 톱으로 나무를 켤 때 톱밥이 나오는 것 같이 말을 막힘없이 잘함을 이르는 말.유의어靑山流水 (청산유수) : 푸른 산수처럼 막힘없이 말함.懸河之辯 (현하지변) : 흐르는 강물 같은 달변.字意()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내적 아름다움의 의미. ‘()’는 외적 아름다움 표현. () 입에서 혀가 움직이는 모양으로, 말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 ‘()’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중세 관념의 구조에서 나온 글자로 여자의 입에서 나온 말은 남자를 무조건 따른다는 의미에서 같다라는 의미 생성. () ‘가루부스러기의 의미.

[3759] - [추가 798] 吐 剛 茹 柔 (토강여유)한자토할 토 / 굳셀 강 / 먹을 여 / 부드러울 유의미딱딱한 것을 뱉고 부드러운 것을 먹는다는 뜻으로, 강자(强者)는 두려워하고 약자(弱者)는 함부로 대함을 이르는 말.字意()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 힘차고 튼튼하거나 의지가 굳다는 의미를 지님. 상대어는 (). () 부드러운 채소의 의미에서 먹다 파생함. ‘()’는 발음. () {}의 자루로 쓰는 나무{}은 부드럽고 연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부드럽다’, ‘순하다는 의미 도출.택자막여부, 토가언여설, 토강여유 교본파일(1253[추가26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760] - [추가 799] 土 階 茅 茨 (토계모자)한자흙 토 / 섬돌 계 / 띠 모 / 가시나무 자의미흙 계단과 띠 지붕이라는 뜻으로, 흙으로 만든 계단이나 띠로 엮어 만든 엉성한 지붕을 사용한 집처럼 아주 질박하고 소박한 모양을 이르는 말. ()임금의 소박한 거처에서 유래한 말.유의어】▶ 三間斗屋 (삼간두옥) : 세 칸의 썩 작은 오막살이집.字意() 땅 속에서 식물이 나오는 의미에서 생육(生育)을 의미하는 의 의미로 보거나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함. () 단계로 올라가는 '계단'의 의미에서 '품계(品階)' 등의 의미까지 확대됨. () ''의 의미. '()'는 발음 역할. () 가시나무의 의미에서 지붕을 이다는 뜻으로 확대됨.

[3761] - [추가 800] 兎 起 鶻 落 (토기골락)한자토끼 토 / 일어날 기 / 송골매 골 / 떨어질 락의미토끼가 내달리고 송골매가 떨어진다는 뜻으로, 글씨의 필세(筆勢)가 씩씩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관련어龍蛇飛騰 (용사비등) : 용과 뱀이 날아오름. 초서의 활기참.落紙雲煙 (낙지운연) : 종이에 떨어진 구름과 연기. 초서.平沙落雁 (평사낙안) : 모래펄에 내려앉는 기러기. 섬세함.浮雲驚龍 (부운경룡) : 떠다니는 구름과 놀란 용. 자유분방.字意() 쭈그리고 앉아 있는 토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의 귀와 아래의 꼬리를 강조함. () 몸을 일으켜 걷는 모양에서 일어나다는 의미 생성. () 송골매나 산비둘기의 의미. ‘()’은 발음. ()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은 발음.

'이야기한자성어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3812-3861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뉴3762-3811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뉴3662-3771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3612-3661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3561-3611  (0)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