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 그렇게 '안경'이 내려지고 나면
道沖, 而用之或不盈 (도충 이용지혹불영) 淵兮, 似萬物之宗. (영혜 사만물지종) 挫其銳 解其紛, (좌기예 해기분) 和其光 同其塵. (화기광 동기진) 湛兮, 似或存. (담혜 사혹존)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오줄지수지자 상제지선)
沖―빌 충, 깊을 충, 온화할 충, 或―혹 혹, 항상 혹, 盈―찰 영, 가득할 영, 淵―못 연, 깊을 연, 兮―어조사 혜, 似―같을 사, 비슷할 사, 宗―마루 종, 으뜸 종, 근본 종, 挫―꺾을 좌, 銳―날카로울 예, 解―풀 해, 紛―어지러울 분, 塵―티끌 진, 湛―깊을 담, 맑을 담, 잠길 침, 誰―누구 수, 象―꼴 상, 코끼리 상, 帝―하느님 제, 임금 제
도(道)는 텅 비어 있어 아무리 써도 차지 않는다. 깊구나! 만물의 으뜸[實相] 같네. 날카로움을 꺾고 어지러움을 풀며, 빛을 감추고 티끌과 하나가 된다. 맑도다! 언제나 있는 듯 하구나. 내 그가 누구의 자식인지 알지 못하나, 상제(上帝)보다 먼저인 것 같네.
< 뜻풀이 > 도(道)는 결코 추상적이거나 형이상학(形而上學)적인 무엇이 아니다. 그것은 너무나 평범하고도 구체적인, 바로 우리네 삶이요 현실이다. 또한 道는 지금 이 순간의 '나'와 무관한 무엇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지금 이 순간의 '나'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따로이 무언가가 있는 양 말하지 말라. 삶과 유리(遊離)된 道도 말하지 말며, 현실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 너무나 구체적인 '나'와 무관한 道도 말하지 말라. 그것은 너무 공허하다. 진실로 진실로 말하건대 道란, 진리(眞理)란 결코 그러한 것이 아니다. 道는 언제나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이 '현재' 속에 있다.
道沖, 도는 텅 비어 있고……그렇다. 道는 텅 비어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잠깐, 우리의 얘기를 계속해 나가기 전에 한 가지 명심해 둬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노자가 이미 도덕경 1장에서 道可道非常道(도를 도라고 하면 참된 도가 아니다)라고 밝혀놓은 것처럼, 道라는 것이 무언가 따로이 어떤 실체(實體)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름하여> 혹은 <일컬어> 道라고 할 뿐이라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이러 저러한 것이 바로 道다!"라고 하거나 "진리(眞理)란 바로 이러한 것이다!"라고 할 만한 무엇이 없다는 얘기다. 그러나 또한 재미있는 것은, 바로 그러하기 때문에 道라는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것이다."라고 가리켜 말할 수도 있다.
만약 그렇다면, '道沖'이라고 할 때의 道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가리키며, '텅 비어 있다'란 말은 또 무슨 뜻일까? 道라는 것이 무엇이길래 텅 비어 있다고 말하는 것일까? 우리는 여기에서 잠시 불교경전의 심장부(心臟部)라고 할 수 있는 반야심경(般若心經)의 "色卽是空 空卽是色"(色이 곧 空이요 空이 곧 色)이라는 구절로 눈길을 돌려보자. '道沖'의 참된 뜻을 밝히는데 있어 반야심경의 이 구절을 설명함이 적절할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에서의 '道沖'이니 반야심경에서의 '空'이니 하는 말을 달리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있는 그대로>라는 말이 된다. 있는 그대로……. 그렇다. 모든 것은 다만 <있는 그대로>일 뿐이다. 세상이란, 삶이란, '나'란, 그리하여 진리(眞理)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그리 복잡하고 어려운 무엇이 아니다. 그것은 너무나 단순하며 쉬운 것이다. 다만 우리의 '생각[思考]'과 '마음'이 이 단순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할 뿐이다. 그리하여, 아아 다만 우리의 눈앞을 가리는 그 한 '생각', 한 '마음'만 내려진다면―!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고 할 때의 '色'이란 불교(佛敎)가 이 세상과 인간 자신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하나의 방식인 오온(五蘊)① 가운데 하나로서, 일반적으로는 '물질계의 총칭' 또는 '신체(身體)'를 가리키는 뜻으로 쓰인다. 그러나 우리는 굳이 이러한 불교적인 설명방식에 매일 필요는 없다.
그래서 '色'의 의미를 우리가 보다 이해하기 쉽게 단순화하여, 물질계 또는 신체 뿐만 아니라 모든 정신활동 ― 인식작용, 느낌, 생각, 감정 등등 ― 까지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자. 다시 말하면, '色'이란 인식되거나 감각되어지는 일체의 것 ― 즉, '나' 밖(外)의 모든 대상세계 뿐만 아니라 '나'의 이 몸뚱어리, 그리고 인식주체로서의 '나'의 모든 정신작용을 포함하는 ― 을 가리키는 말로 이해하자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이제 '色'이란 물질계와 정신계를 총칭하는 말이 되어, 존재하는 모든 것이 곧 '色'이라는 말이 된다.
이런 의미로 본다면 사실 이 세상에는 오직 '色'밖에 없다. 오직 '色'밖에 없으니 따로이 '色'이라고 할 것도 없다. 그렇지 않은가?② 그런데, 반야심경에 의하면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 이 '色'이 곧 '空'이니, 그렇다면 이 세상에는 오직 '空'밖에 없으며, 따라서 존재하는 모든 것이 곧 '空'이라는 말이다. 오직 '空'밖에 없으니 이젠 따로이 '空'이라고 할 것도 없고……. 아니, 가만, 이렇게 막 나갈 것이 아니라, 하나 하나 설명해 보자. 우선 '空'이라는 것부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