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가 제나라를 떠나가심에 윤사가 사람에게 말하여 가로대 “왕이 가히 (써) 탕왕과 무왕이 되지 못함을 알지 못한즉 이는 (맹자가) 밝지 못함이오, (맹자가) 그 불가함을 알고도 그러한즉 (먼길을 와서) 이르렀다면 이는 은택을 구함이니라. (또한) 천리를 와서 왕을 뵙고서는 뜻이 맞지 않는 고로 떠나되 사흘을 잔 뒤에 晝에서 나가니 어찌 이리도 오래 머무르는가? 나(윤사)는 곧 이를 탐탁하게 여기지 아니함이라.” 하니,
干 : 구할 간 濡 : 젖을 유 滯 : 머무를 체
<해설>
맹자가 왕을 만났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제나라를 떠나는데 사흘밤을 주라는 곳에서 머물렀다. 이를 본 윤사라는 이가 맹자를 비난하는 말이다. 제나라 왕이 옛날의 탕임금이나 무왕과 같이 賢君이 아님을 이미 다 아는 일인데 만약 맹자가 이를 모른다면 그것은 맹자가 밝지 못한 것이고, 알았다면 왕에게서 벼슬자리나 녹을 구하려고 한 것이라는 얘기이다.
또한 윤사는 맹자가 사흘간이나 주에서 머물은 것 역시 미련을 둔 것으로 올바른 태도가 아니라며 맹자를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맹자) 가로대 “무릇 晝를 나가되 왕이 나를 좇지 아니하심에 내가 (왕이) 그런 뒤에는 당당히 돌아갈 뜻을 두니 내 비록 그렇다고 해서 어찌 왕을 버리겠는가? 왕이 오히려 족히 (써) 善政을 행하시리니 왕이 만일 나를 등용하시면 어찌 한갓 제나라 백성만을 편안히 하리오, 천하의 백성이 다 편안하리니 왕이 행여 고치시기를 내가 날마다 바라였음이라.” 하니라.
(그리고는) “내 어찌 이러한 소장부같이 그리하겠는가? 그 인군에게 간언해서 받아주지 않는다고 怒하여 (그) 낯에다 행행(悻悻)연히 나타내고는 떠나간즉 하루내내 갈 수 있는 힘을 다해 가고서는 유숙하겠는가? “ 하니라.
○ 尹士聞之 曰 士는 誠小人也로다
윤사가 듣고 말하기를 “나(윤사)는 진실로 소인이구나.” 하니라.
<해설>
맹자가 임금에게 간언해서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성질을 부르르 내면서 하루만에 속히 떠나간다면 이는 소장부나 하는 행태라고 말하고 있다. 사흘이나 오래도록 머물렀다고 비난하는 윤사의 말에 대한 맹자의 답변이다. 할 수 있는 데까지 다 해본 뒤에 떠나는 것이 군자의 일이 아니겠는가하는 맹자의 반문이다.
양씨 가로대 “제나라 왕이 하늘에서 타고난 자질이 순박하고 성실하여, 용맹과 재물과 여색과 속세의 음악을 좋아함을 다 (써) 곧바로 고하고는 맹자에게 숨기지 아니하니라. 이에 족히 (써) 善政을 행할 수 있건마는 만약 (이에) 그 마음이 그러하지 못하여 그릇되게 큰소리침으로써 사람을 속이면 이 사람은 끝내는 (더불어) 요순의 도에 들어갈 수 없음이니 어찌 善政을 능히 행할 수 있겠는가?” 하니라.
▲ 悻悻은 怒意也라. 窮은 盡也라. : 행행은 성내는 뜻이라. 궁은 다함이라.
▲ 此章은 見聖賢行道濟時에 汲汲之本心과 愛君澤民에 惓惓之餘意라.
이 장은 성현이 도를 행하고 때(시대의 어려움을)를 구제하는데 애달아하는 본심과 임금을 사랑하고 백성에게 은혜를 베푸는 정성스러운 뜻이 남아있음을 봄이라.
(汲 : 물 길을 급 惓 : 정성스러울 권)
▲ 李氏曰 於此에 見君子憂則違之之情이오 而荷蕢者 所以爲果也라.
이씨 가로대 “이것에는 군자가 ‘근심한즉 어긴다’는 뜻과 ‘삼태기를 멘 자가 (써) 과감하게 행동한다’ 는 (성현의 옛 말이) 나타남이라.” 하니라. (蕢 : 삼태기 궤)
<해설>
주자가 공자의 말을 인용한 이씨의 말을 빌려 맹자의 ‘行道濟時’와 ‘愛君澤民’ 의 정치철학을 옹호하고 있다. ‘君子憂則違之’는 『주역』 건괘에서 ‘荷蕢者 所以爲果也’는 『논어』 憲問편에 나온다.
『주역』의 “不易乎世하며 不成乎名하야 遯世无悶하며 不見是而无悶하야 樂則行之하고 ‘憂則違之’하야(세상을 피하여도 민망함이 없으며, 옳다함을 보지 못해도 민망함이 없으니, 즐거우면 행하고 근심하면 어기니라)”이다.
(공자가 위나라에서 경이란 악기를 치자 삼태기를 지고 공자가 묵는 집을 지나가던 자가 가로대 “마음에 흔들림이 있음이라. 경을 치는 소리여! 자기를 몰라주면 그만인 것을. (시경에) (물이) 깊으면 옷을 벗어들고 얕으면 걷어 올리니라”하니, 이에 공자가 “과감하구나. 그러나 그것이 어려운 것이 아님이라” 말씀하심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