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長 干 行 / 李白의 敍事詩 [漢詩] 長 干 行 / 李白의 敍事詩 李白의 敍事詩 [ 長 干 行 ] 妾髮初覆額 / 제 머리카락이 이마를 덮기 시작할 무렵 折花門前劇 / 꽃을 꺾어 문 앞에서 놀고 있을 때 郎騎竹馬來 / 낭군 당신이 죽마를 타고 내게로 와서 遶牀弄靑梅 / 우물난간 돌면서 푸른 매실 갖고 장난 했지.. 한자교실 2012.02.09
[스크랩] 焚書坑儒(분서갱유) 焚書坑儒(분서갱유) 焚불사를분, 書글서, 坑구덩이갱, 儒선비유 出典:史記(사기) 文意:책을 불사르고 유생들을 구덩이에 묻다. 解義:서적과 학자들을 탄압하는 행위. 진시황은 6국을 평정하고 천하를 통일한 업적에 만족해하며 함양궁(咸陽宮)에 신하들을 모아 놓고 주연을 베풀었.. 카테고리 없음 2012.02.09
[스크랩] 수신십훈(修身十訓) / 퇴계 이황 수신십훈(修身十訓) / 퇴계 이황 수신십훈(修身十訓) / 퇴계 이황 1.입지 (立志) 立志 當以 聖賢 自期 不可 存毫髮 退託之念 입지 당이 성현 자기 불가 존호발 퇴탁지념 뜻을 세움에는 마땅히 성현을 목표로하고 털끝만큼이라도 못났다는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2.경신 (敬身) 敬身 .. 한자교실 2012.02.09
[스크랩] 술이부작 (述而不作 ) 술이부작 (述而不作) [字解] 述 : 지을 술 . 而 : 말 이을 이 . 不 : 아닐 부 . 作 : 지을 작. [意義] 저술한 것이지 창작한 것이 아니라는 말로, 저술에 대한 겸양을 나타낸 뜻이다. [出典] 논어(論語)-술이편(述而篇). [解義] 述而篇(술이편)은 37章으로 짜여져 있다. 논어 二十篇 중 비교.. 한자교실 2012.02.09
[스크랩] 九容 九思 啓蒙篇 (九容 九思) 收斂身心이 莫切於九容하니 所謂九容者는 足容重하며 手容恭하며 目容端하며 口容止하며 聲容靜하며 頭容直하며 氣容肅하며 立容德하며 色容莊이니라.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데는 아홉 가지 모양보다 절실한 것이 없으니, 이른바 아홉 가지 모양이라는 것은.. 한자교실 2012.02.09
[스크랩] 공자의 후회 공자의 후회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채나라로 가던 도중 양식이 떨어져 채소만 먹으며 일주일을 버텼다. 걷기에도 지친 그들은 어느 마을에서 잠시 쉬어 가기로 했다. 그 사이 공자가 깜박 잠이 들었는데 제자인 안회는 몰래 빠져 나가 쌀을 구해 와 밥을 지었다. 밥이 다 될 무렵 .. 한자교실 2012.02.09
[스크랩] 해방 전 후 사진 격동의 시기였던 해방전후 그 때 그 순간들 1946년 6월 5일 무용가 최승희가 북경으로 부터 귀국하는 장면 1940년 서울역 1945년 11월 28일 서울역에서 상경하는 시골손님들에게 DDT를 뿌려주고 있는 광경. 1946년 모스코바회의를 지지하는 데모군중. 1946년 미.소 공동위원회를 지지하는 .. 추억속의이야기거리 2012.02.08
[스크랩] 사유(四維) : 정치인과 공직자가 알고 실천해야 할 글 모움 사유(四維)라는 것은 사유(四維)라는 것이 있다. 유(維)란 벼리인데 이 경우 뼈대란 뜻으로 사용된다. 관자(管子)는 '목민(牧民)'편에서 나라에는 네 벼리(四維)가 있는데, 한 벼리가 끊어지면 기울고, 두 벼리가 끊어지면 위태하고, 세 벼리가 끊어지면 전복(顚覆)되고, 네 벼리가 끊.. 한자교실 2012.02.08
[스크랩] 제수의 진설방법 제수의 진설 방법 ☞ 가정의례 준칙 한 분 ☞ 가정의례 준칙 두 분 ☞ 가례 ☞ 진설법 예 ☞사례편람 ☞격몽요결 ☞사례편람 ☞격몽요결 제수의 진설방법 ☞ 첫줄에는 과실과 조과를 홀수로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색 과실은 동쪽, 흰색 과실은 서쪽에 진설하는 가문도 .. 한자교실 2012.02.08
[스크랩] 제례. 제사 총람 제례. 제사 총람 제사의 근원은 먼 옛날에 천재지변, 질병, 맹수의 공격을 막기 위한 수단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근세에 와서는 유교 사상으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애모의 표시로 변하게 되어 가정마다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예서(禮書)에 따른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제례는 사.. 한자교실 201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