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한자성어뉴

이야기한자성어3031-3070

ria530 2013. 2. 12. 16:18

[3031] - [추가 70] 舊 官 名 官 (구관명관)한자예 구 / 관리 관 / 이름 명 / 관리 관의미옛 관리가 명 관리라는 뜻으로, 먼저 있었던 관리가 더 훌륭하다는 의미에서, 아무래도 오랜 경험을 쌓은 사람이 낫다는 의미로 활용됨.字意() 본래 야행성 새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오래 사는 것으로 인해 ''의 의미 생성. () 대롱의 의미에서 변화되어 주관하다’, ‘벼슬의 의미 파생. () 어두운 저녁[]에 만난 상대를 확인하기 위해 부른다[]는 의미에서 이름의 의미 생성

[3032] - [추가 71] 狗 馬 之 心 (구마지심)한자개 구 / 말 마 / 어조사 지 / 마음 심의미개나 말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주인에게 충성을 다하는 개나 말처럼, 자신의 진심을 낮춰서 일컫는 말.동의어】▶ 犬馬之心 (견마지심)유의어】▶ 犬馬之勞 (견마지로) : 개나 말의 수고로움. 자기겸손 표현.字意() ‘()’이 주로 부수자로 사용되자 별도 의 의미로 만듦. ()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미로 활용됨.

[3033] - [추가 72] 狗 飯 橡 實 (구반상실)한자개 구 / 밥 반 / 상수리나무 상 / 열매 실의미개밥에 도토리 열매라는 뜻으로, 개가 도토리를 먹지 않아 개 밥그릇에 도토리만 남게 되는 것처럼, 외톨이 신세가 될 때 쓰이는 말.字意() ‘()’이 주로 부수자로 사용되자 별도 의 의미로 만듦. () 먹는 밥의 의미로 만듦. ()은 발음. () 상수리나무와 상수리의 의미. ‘()’은 발음. () 본래 집안에 재물을 넣는 궤짝의 모양에 화폐의 상징의 를 더한 것으로, 중요한 재물의 의미로 인해 실질’, ‘열매등 생성.구관명관, 구마지심, 구반상실 - 교본파일(1011[2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34] - [추가 73] 求 田 問 舍 (구전문사)한자구할구 / 밭 전 / 물을 문 / 집 사의미밭을 구하고 집을 묻는다는 뜻으로, 자기 집 논밭만 걱정하면서 이기적인데만 마음을 쓰고 원대(遠大)한 뜻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본래 털가죽으로 만든 사람의 옷 모양인데, 후에 털가죽 옷을 조여 입어 다잡다는 의미에서 구하다는 의미로 변화되었고, 털옷은 ()자를 아래에 붙여서 사용하고 구제하다는 의미는 ()’를 별도로 만듦. () 정지작업을 해 놓은 밭고랑으로 이어진 밭의 모양. 농업이나 토지의 의미로 활용됨. () 입으로 상대에게 묻는다는 의미에서 묻다생성. ‘()’은 발음. () 머물러 거처하는 곳인 의 의미인데, 후에 손의 동작인 버리다는 의미인 ()’와 가차로 사용됨.

[3035] - [추가 74] 口 中 荊 棘 (구중형극)한자입 구 / 가운데 중 / 가시나무 형 / 가시나무 극의미입 안의 가시라는 뜻으로, 남을 중상(中傷)하는 언론(言論)의 음험(陰險)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관련어】▶ 口中雌黃 (구중자황) : 한 번 말한 언론은 고칠 수 없음.字意() 사람의 벌린 입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구', '어귀'의 의미 파생.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사람을 매질할 때 쓰는 가시나무의 의미. ‘()’은 발음. () 가시가 돋친 초목인 가시나무의미 생성

[3036] - [추가 75] 群 盲 撫 象 (군맹무상)한자무리 군 / 소경 맹 / 어루만질 무 / 코끼리 상의미여러 장님들이 코끼리를 어루만진다는 뜻으로, 여러 장님들이 제각기 코끼리의 한 부분을 만지고 어떻다고 말하는 것처럼, 좁은 소견으로 사물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판단을 잘못함을 이르는 말.유의어】▶ 盲人摸象 (맹인모상) : 장님 코끼리 더듬기. 字意() 모여 사는 양떼의 의미에서 무리의 의미로 만듦. () 눈이 없다는 의미에서 '장님', '몽매하다' 등의 의미 생성. () 손으로 어루만지다는 의미 생성. ‘()’은 발음. () 코끼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발자국으로 인해 '본뜨다'는 의미를 파생하고, 형상의 의미까지 확대됨.구전문사, 구중형극, 군맹무상 - 교본파일(1012[추가2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37] - [추가 76] 君 師 父 一 體 (군사부일체)한자임금 군 / 스승 사 / 아비 부 / 한 일 / 몸 체의미임금과 스승과 아버지는 한 몸이라는 뜻으로, 君師父의 은혜는 모두 같다는 의미.字意() 호령하는 의미를 지닌 막대를 들고 있는 지도자인 ()’의 모양에 명령의 상징인 ()’를 더함. () 고대 군대의 단위에서 사람들을 이끈다는 의미에서 '스승'의 의미를 파생함. () []과 돌도끼 혹은 채찍[|]의 결합으로 돌도끼나 채찍을 들고 가족을 거느리는 가장(家長)’의 의미를 생성함 () 신체 골격을 중심으로 몸의 형상을 의미

[3038] - [추가 77] 君 子 三 樂 (군자삼락)한자임금 군 / 아들 자 / 석 삼 / 즐거울 락의미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본 의미는 세 가지 즐거움 보다 권력욕이나 명예욕의 경계에 있음.三樂】▶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得天下英才而敎育之,三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앙불괴 어천 부부작어인, 이락야, 득천하영재이교육지 삼락야.) : 부모님이 다 생존하시고 형제가 아무 탈이 없는 것이 첫째 즐거움이요, 위와 아래로 하늘과 다른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 두 번째 즐거움이요,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이 세 번째 즐거움이다. <孟子(맹자)>字意() 호령하는 의미를 지닌 막대를 들고 있는 지도자인 ()’의 모양에 명령의 상징인 ()’를 더함.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이나 좋아한다()’는 의미 파생.

[3039] - [추가 78] 屈 指 計 日 (굴지계일)한자굽힐 굴 / 손가락 지 / 셀 계 / 날 일의미손가락을 굽혀 날짜를 헤아린다는 뜻으로, 손꼽아 날짜를 가다란다는 의미.연관어鶴首苦待 (학수고대) : 학의 머리로 고통스럽게 기다림.一日三秋 (일일삼추) : 하루가 삼 년 같은 간절한 기다림.字意() 구부러지거나 휘어진 것으로 인해 굽다는 의미를 생성함. () 손가락의 의미에서 가리키다’, ‘지시하다등의 뜻 파생. () 숫자의 완성인 을 놓고 말한다[]’는 의미에서 계산하다’, ‘꾀하다는 의미 도출. () 태양의 모양을 본뜬 모양으로 가운데 획은 태양 흑점으로 설명. 부수로 밝다’, ‘환하다등 의미로 활용됨.군사부일체, 군자삼락, 굴지계일 - 교본파일(1013[추가2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40] - [추가 79] 窮 寇 勿 追 (궁구물추)한자궁할 궁 / 도둑 구 / 말 물 / 쫓을 추의미궁지에 처한 도적은 쫓지 말라는 뜻으로, 극단에 이르면 모진 반격에 부닥쳐 도리어 패할 수 있음을 비유하여 경계하는 말. 동의어】▶ 窮寇勿迫 (궁구물박) : 窮寇莫追 (궁구막추)字意() 본래 들어가기도 어려운 좁은 굴을 의미에서 다하다’, ‘궁구하다는 뜻을 파생하고 후에 궁색하다까지 파생. () 남의 집에 들어가 사람을 치는 모양에서 남에게 해를 주다는 의미에서 도둑이나 해치다등 생성.() 본래 칼에 피가 묻은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단죄(斷罪)했다는 의미로 전용되어 금지의 의미인 '하지 말라'는 뜻으로 사용됨.[()와 동일한 의미] () 달린다는 의미의 ''받침. 부수에 오른쪽 모양은 고대 군사들의 집결지 모양. 군사들의 행동을 표현해서 '쫓다'는 의미 생성.

[3041] - [추가 80] 窮 鼠 齧 猫 (궁서설묘)한자궁할 궁 / 쥐 서 / 물 설 / 고양이묘의미궁박한 쥐가 고양이를 문다는 뜻으로, 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물 듯 약자도 궁지에 처하면 강자에게 반항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 窮鼠齧狸 (궁서설리)]연관어】▶ 窮寇勿追 (궁구물추) : 궁지에 처한 도적은 쫓지 말라.字意() 본래 들어가기도 어려운 좁은 굴을 의미에서 다하다’, ‘궁구하다는 뜻을 파생하고 후에 궁색하다까지 파생. () 뾰족한 주둥이와 큰 앞니, 아래 배와 굽어있는 등, 긴 꼬리 모양까지 쥐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 () 이로 잘게 쪼개거나 갉아먹다는 의미. () 고양이의 의미 '()'는 발음.

[3042] - [추가 81] 窮 人 謀 事 (궁인모사)한자궁할 궁 / 사람 인 / 도모할 모 / 일 사의미궁박한 사람이 일을 도모한다는 뜻으로, 운수가 나쁜 사람이 일을 도모하다 모두 실패하듯이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속담】▶ 窮人之事飜亦破鼻 (궁인지사번역파비) : 재수 없는 사람은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字意() 본래 들어가기도 어려운 좁은 굴을 의미에서 다하다’, ‘궁구하다는 뜻을 파생하고 후에 궁색하다까지 파생. () 본래 사람[]의 의미가 변하자 좌우대칭을 하나씩만 표현해서 새롭게 만듦. () 헤아려 논의해서 도모한다는 의미, ()는 발음. () 역사적 사건의 의미인 '()'에서 사건 자체인 ''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위아래에 획을 더해 만듦.궁구물추, 궁서설묘, 궁인모사 - 교본파일(1014[추가27])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43] - [추가 82] 貴 脚 踏 賤 地 (귀각답천지)한자귀할 귀 / 다리 각 / 밟을 답 / 천할 천 / 땅 지의미귀한 발로 천한 땅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字意() 조개가 귀한 재화의 역할로 인해 귀하다는 의미 생성. () 정강이쪽 다리의 의미. ()은 발음. () 발로 밟거나 밟고 가다는 의미. ‘()’은 발음 요소. () 값이나 신분이 싸고 낮은 것에서 천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자신의 겸칭(謙稱)으로도 사용됨. () 땅의 의미는 하늘과 대칭적인 의미에서 여성의 상징인 를 결합해서 만듦.

[3044] - [추가 83] 歸 去 來 兮 (귀거래혜)한자돌아갈 귀 / 갈 거 / 올 래 / 어조사 혜의미돌아갈거나!’라는 뜻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田園:고향)으로 돌아갈 결의를 나타내는 의미.출전()의 도잠(陶潛)이 구차스러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 전원생활의 유유자적(悠悠自適)하는 멋을 그린 ?歸去來辭(귀거래사)?의 첫 구절.字意() 아녀자가 빗자루를 들고 시집가다는 의미에서 친정으로 돌아가다는 멈추어 그친다는 돌아가다는 뜻 생성. () 위의 는 본래 사람 의미인 모양. 사람이 일정 방향으로 가는 것을 의미. 후에 지나간 때버리다’, ‘죽이다등 파생. () 본래 '보리' 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 생성. '보리'는 별도의 '()'자를 만듦. 여기서는 어조사 역할. () 감탄 등의 어조사 역할.

[3045] - [추가 84] 貴 鵠 賤 鷄 (귀곡천계)한자귀할 귀 / 고니 곡 / 천할 천 / 닭 계의미백조를 귀하게 여기고 닭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세상 사람들의 인정은 보기 드문 것을 귀하게 여기고 흔한 것을 천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貴耳而賤目 (귀이이천목) : 귀로 들은 것은 귀하게 여기고, 눈으로 본 것은 천하게 여김. [= 貴遠賤近 (귀원천근)]字意() 조개가 귀한 재화의 역할로 인해 귀하다는 의미 생성. () 고니의 의미. 후에 머리 부분만 검은 것에서 활의 과녁의 한 가운데를 의미를 파생함.[正鵠(정곡)]. () 값이나 신분이 싸고 낮은 것에서 천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자신의 겸칭(謙稱)으로도 사용됨. () 가금(家禽)의 대표 격인 의 의미. 왼쪽은 발음부호. ()도 동일한 글자임.귀각답천지, 귀거래혜, 귀곡천계 - 교본파일(1015[추가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46] - [추가 85] 歸 馬 放 牛 (귀마방우)한자돌아갈 귀 / 말 마 / 놓을 방 / 소 우의미말을 돌려보내고 소를 놓아준다는 뜻으로, ()나라 무왕(武王)이 은()을 치고 돌아와 전쟁에서 사용한 말과 소를 놓아준 고사에서 다시 전쟁을 하지 않고 평화로운 세상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放牛歸馬]출전】▶ 歸馬于華山之南, 放牛于桃林之野. <書經(서경)>字意() 아녀자가 빗자루를 들고 시집가다는 의미에서 친정으로 돌아가다는 의미의 멈추어 그친다는 돌아가다는 뜻을 생성함. ()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말의 갈기 부분을 강조한 모양. () 구속된 상태를 풀거나 버려지다는 의미에서 후에 '그만두다'는 의미 파생. () 뿔이 있는 소의 얼굴 모양을 본뜬 글자.

[3047] - [추가 86] 珪 璋 特 達 (규장특달)한자홀 규 / 홀 장 / 다만 특 / 도달할 달의미규홀과 장홀만 이른다는 뜻으로, 혼약(婚約)의 예물로 다른 폐물(幣物)은 보내지 않고 다만 규장(珪璋)만을 보내는 것으로, ()이 출중(出衆)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의 상형인 가 의미이면서 발음 역할도 함. 또한 ()’의 고자(古字)이기도 함. () 홀의 끝의 반을 잘라 산뜻하게 만든 반홀의 의미. ‘()’은 발음. () 희생으로 사용하는 수컷 소의 뜻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것에서 '특별하다'는 의미 생성. () 다다라 이르렀다는 의미에서 통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통달하다는 의미 파생. 오른쪽 부분[()]은 발음.

[3048] - [추가 87] 規 行 矩 步 (규행구보)한자법 규 / 다닐 행 / 곱자 구 / 걸음 보의미걸음걸이가 법도와 규칙에 맞는다는 뜻으로, 품행(品行)이 방정(方正)함을 비유하여 이르거나, 옛 법식을 묵수(墨守)하는 일을 이르기도 함.字意() 장부의 식견이 법에 맞는다는 의미에서 ''의 의미인데, 모든 것이 원만하다는 의미로 인해 둥근 것, 원을 그리는 도구인 '그림쇠'의 의미 파생. () 사방의 네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각진 것으로 인해 모가 난 방형(方形)을 그리는 도구인 곱자[曲尺]의 의미 생성. 법도의 척도로 사용됨. () 위아래 모두 의 의미. 멈췄다가 간다는 의미로 걷다는 뜻을 생성함.귀마방우, 규장특달, 규행구보 - 교본파일[1016(추가2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49] - [추가 88] 錦 衣 玉 食 (금의옥식)한자비단 금 / 옷 의 / 구슬 옥 / 먹을 식의미비단 옷에 맛난 음식이라는 뜻으로, 의식(衣食)을 사치(奢侈)하는 호사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유의어】▶ 輕衣肥馬 (경의비마) : 가벼운 비단 옷과 살찐 말.字意() 여러 가지 색채로 무늬를 넣어 짠 비단의 의미. () 상의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웃옷'의 의미였는데, 후에 옷의 대표성으로 사용됨. 하의 치마는 '()'. () 구멍이 뚫린 옥판 세 개를 끈으로 엮어 놓은 모양으로 후에 ()’과 구별하기 위해 점을 더함. () 음식물을 담은 뚜껑이 있는 밥그릇의 모양으로 음식물에서 김이 솟는 모양까지 표현함.

[3050] - [추가 89] 記 問 之 學 (기문지학)한자기록할 기 / 물을 문 / 어조사 지 / 배울 학의미질문에 기억하는 학문이라는 뜻으로, 부질없이 옛글을 외워 남의 질문 에 응하는 정도의 학문으로, 쓸데없이 옛글을 외우기만 할뿐 아무런 깨달음도 활용도 없는 무용(無用)의 학문이라는 의미.字意() 기록하고 기억한다는 의미. ()는 발음. () 입으로 상대에게 묻는다는 의미에서 묻다생성. ‘()’은 발음. ()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배우다는 뜻 생성.

[3051] - [추가 90] 期 頤 之 壽 (기이지수)한자기간 기 / 턱 이 / 어조사 지 / 목숨 수의미백세가 되는 사람의 나이라는 뜻으로, 백 살이 된 나이를 이르는 말. 유의어上壽(상수): 최상의 나이. 100. 혹은 120.字意() 정해진 일정 기간의 의미에서 을 사용해 기약하다’, ‘기간등의 의미 생성. 후에 의 의미인 ()와 통용되고, 백년의 의미까지 확대됨. () ‘의 의미인데, 후에 봉양하다까지 확대됨. () 오래 산 늙은 노인의 모양에서 사람이 살아 있는 연한인 목숨의 의미나 장수의 의미를 표현함.금의옥식, 기문지학, 기이지수 - 교본파일(1017[30])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52] - [추가 91] 落 木 寒 天 (낙목한천)한자떨어질 락 / 나무 목 / 찰 한 / 하늘 천의미낙엽진 나무와 차가운 날씨라는 뜻으로, 잎이 다 떨어진 겨울의 춥고 쓸쓸한 풍경이나 그러한 계절의 의미.연관어】▶ 落木空山 (낙목공산) : 잎이 다 떨어져 쓸쓸하게 보이는 산.字意()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은 발음 부호. () 나무의 줄기의 가지와 뿌리까지 표현. ‘()’은 나무를 자른 반쪽으로 조각의 뜻이 됨. () 집안에 풀들을 놓은 상태에 아래에 얼음이 있는 모양에서 차다는 의미 생성. () '하늘'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 글자.

[3053] - [추가 92] 樂 以 忘 憂 (낙이망우)한자즐거울 락 / 써 이 / 잊을 망 / 근심 우의미즐거움에 근심을 잊는다는 뜻으로, () 행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의미.유의어】▶ 安貧樂道 (안빈낙도) : 가난함을 편히 여기며 도를 즐김.字意(//)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이나 좋아한다()’는 의미 파생. () 생각을 잃었다는 의미에서 잊다는 뜻을 생성함. ()은 발음 역할도 함. () '()'의 변형인 '얼굴'에 마음이 근심스러움을 덮고 있어 느리게 걷고 있다는 의미에서 '근심'의 의미 생성.

[3054] - [추가 93] 樂 而 不 淫 (낙이불음)한자즐거울 락 / 말이을 이 / 아니 불 / 음탕할 음 의미즐거우나 음탕하지 않다는 뜻으로, 즐기되 도를 넘지 않는다는 유가사상의 중용의 가치를 표현하는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기본적인 선을 지킨다는 의미로 활용됨. [ = 樂而不荒 (낙이불황) ]출전】▶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 (관저 낙이불음 애이불상) : <시경(詩經)>[관저장]은 즐거우나 음탕하지 않고, 슬퍼하나 상하지 않는다. <詩經>字意(//) 본래 나무판에 현을 묶은 악기를 손톱으로 연주한다는 것을 본뜬 글자[음악 악]에서 흥겨움으로 인해 즐겁다()’이나 좋아한다()’는 의미 파생. () 물에 적시다는 의미에서 범하다는 의미까지 확대되어 어지럽다음란하다등을 파생함.낙목한천, 낙이망우, 낙이불음 - 교본파일(1018[추가31])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55] - [추가 94] 落 穽 下 石 (낙정하석)한자떨어질 락 / 함정 정 / 아래 하 / 돌 석의미함정에 떨어진 곳에 돌을 던진다는 뜻으로, 재난(災難)을 당한 사람을 구제하기는커녕 도리어 해를 입힘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속담】▶ 불난데 키질하기.字意()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은 발음 부호. () 구멍을 파서 빠지게 만든 함정의 의미 생성. ()은 발음. () 기준선 아래에 표시를 해서 아래라는 의미를 도출함. () 절벽에서 돌덩이를 떼어낸 모양. 석재(石材)’의 의미

[3056] - [추가 95] 落 紙 雲 煙 (낙지운연)한자떨어질 락 / 종이 지 / 구름 운 / 연기 연의미종이에 떨어뜨리면 구름이나 연기 같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는 데 초서(草書)의 필세(筆勢)가 아름답고 교묘하며 웅혼(雄渾)한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유의어】▶ 龍蛇飛騰 (용사비등) : , 뱀이 날아오르듯 필세가 활기참.字意()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은 발음 부호. () 처음에 실의 의미에서 종이개념을 생성. ‘()’는 발음부호 역할. () 본래 ()’이 구름의 의미였다가 후에 ()와 결합해 만듦. ()말하다로 전용됨. () 불땔 때 나는 연기의 의미에서 후에 안개’, ‘기운파생.

[3057] - [추가 96] 落 筆 點 蠅 (낙필점승)한자떨어질 락 / 붓 필 / 점 점 / 파리 승의미붓을 떨어뜨리자 파리로 바꾼다는 뜻으로, 화가의 훌륭한 솜씨를 이르는 말.고사삼국시대(三國時代) ()나라의 화가 조불흥(曹不興)이 손권(孫權)의 명을 받아 병풍(屛風)을 그리는데, 잘못하여 떨어뜨린 붓의 흔적을 교묘하게 파리로 바꾸어 그림을 완성했다는 고사. <吳錄>字意()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은 발음 부호. () 손으로 붓을 잡은 모양인데, 후에 재료인 ()’을 더함. () 흔적을 남기는 ''의 의미에서 '점찍다' 등 다양하게 의미가 파생됨. () ‘파리의 의미.낙정하석, 낙지운연, 낙필점승 - 교본파일(1019[추가32])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58] - [추가 97] 落 花 難 上 枝 (낙화난상지) 한자떨어질 락 / 꽃 화 / 어려울 난 / 윗 상 / 가지 지의미떨어진 꽃은 다시 가지로 돌아갈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 헤어진 부부는 다시 복귀할 수 없다는 의미나, 크게 깨달은 사람은 다시 미혹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로도 사용됨.출전】▶ 破鏡不重照, 落花難上枝 (파경부중조, 낙화난상지): 깨어진 거울은 다시 비출 수가 없고, 떨어진 꽃은 다시 가지로 돌아갈 수 없다. <傳燈錄(전등록)>字意() 풀이 말라 떨어진다는 의미. '()'은 발음 부호. () 꽃이 발화하는 의미에서 변하다는 의미의 ()’를 넣었는데, ‘는 발음으로도 사용됨. () 여자가 북치면서 전쟁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 시작의 의미인데, 후에 대신에 ()’를 사용함. () 기준선 위에 표시를 해서 라는 의미 나타냄. () 나무의 가지를 의미. ‘()’는 발음.

[3059] - [추가 98] 難 中 之 難 (난중지난)한자떨어질 락 / 종이 지 / 구름 운 / 연기 연의미어려움 가운데의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상황을 이르는 말. 지난(至難)의 의미.유의어】▶ 難中之難事 (난중지난사) : 어려운 일 중 가장 어려운 일.字意() 여자가 북을 치면서 전쟁을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인데, 후에 대신에 ()’자를 사용하게 됨. () 깃발의 가운데 태양이 걸려있는 모양에서 가운데의 의미 생성.

[3060] - [추가 99] 難 行 苦 行 (난행고행)한자떨어질 락 / 다닐 행 / 쓸 고 / 다닐 행의미어렵고 고통스러운 수행(修行)이라는 뜻으로, 불도(佛道)를 닦기 위해 심신을 괴롭혀 연마하는 일인데, 아주심한 고생의 의미로도 사용됨.연관어】▶ 勇猛精進 (용맹정진) : 용맹스러운 불도(佛道)의 수행(修行).字意() 여자가 북을 치면서 전쟁을 알리는 모양으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인데, 후에 대신에 ()’자를 사용하게 됨. () 사방의 네거리를 본뜬 글자로 어느 방향으로든 가다는 의미가 됨. 혹은 발의 모양으로도 설명함. ()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는 발음.낙화난상지, 난중지난, 난행고행 - 교본파일(1020[추가97-99])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61] - [추가 100] 男 女 有 別 (남녀유별)한자사내 남 / 여자 녀 / 있을 유 / 다를 별의미남녀가 분별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남녀는 서로 예의를 갖추어 사귈 것이고 함부로 친압(親狎)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 또는 남녀는 따라야 할 예식에 구별이 있다는 의미, 또는 남녀간에 사귐이 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됨.字意() 밭에서 힘을 쓰는 사람의 의미에서 고대 시절 땅을 개간하고 농사를 짓는 힘쓰는 일을 하는 남자의 의미로 표현. () 얌전하게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으로 동양의 윤리 의식으로 인해 '여자'의 의미. () 손에 고깃덩이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가지고 있다는 소유 의미 생성. 혹 자형의 분류에 따라 달 월[] 부수에 포함시키기도 함. () 왼쪽은 '(:)'의 변형. 칼로 가른다는 의미에서 '나누다'는 뜻 생성.

[3062] - [추가 101] 男 負 女 戴 (남부여대)한자사내 남 / 질 부 / 여자 녀 / 일 대의미남자는 지고 여자는 이고 간다는 뜻으로, 초라한 세간을 가지고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산다는 의미.연관어東食西宿 (동식서숙) :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내는 일.東家食西家宿 (동가식서가숙)字意() 밭에서 힘을 쓰는 사람의 의미에서 고대 시절 땅을 개간하고 농사를 짓는 힘쓰는 일을 하는 남자의 의미로 표현. ()본래 사람이 화폐를 가졌다는 의미에서 '믿다'는 의미인데, 후에 '빚을 지다'는 의미에서 '지다'는 의미를 파생하고 '짊어지다', '당하다' 등의 의미까지 파생함. () 얌전하게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으로 동양의 윤리 의식으로 인해 '여자'의 의미. () 두 손으로 물건을 머리에 이다는 의미. 후에 받들다는 의미 파생.

[3063] - [추가 102] 南 酒 北 餠 (남주북병)한자남녘 남 / 술 주 / 북녘 북 / 떡 병의미남쪽의 술과 북쪽의 떡이라는 뜻으로, 옛날 서울의 남촌(南村)은 술맛이 좋았고, 북촌(北村)은 떡맛이 좋았다는 것에서 생긴 말.字意() 뿔 같은 장식을 단 북 종류의 악기의 모양인데, 중국 남방지방의 부족들이 사용해서 남쪽 방위부족의 의미를 지님. () 항아리[] 속의 액체[]의 의미 도출한 것으로 보거나, 발효시켜 만든 음식[]의 한 종류로 의 의미로 봄. ()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추위에 체온을 나눈다는 의미에서 추운 겨울을 북퐁을 상징해 '북녘'의 의미 생성. () 밀보리 등으로 만든 의 의미. ‘()’은 발음.남녀유별, 남부여대, 남주북병 - 교본파일(1021[추가34])이 포힘되어 있습니다.

[3064] - [추가 103] 臘 前 三 白 (납전삼백)한자납향 랍 / 앞 전 / 석 삼 / 흰 백의미납일(臘日) 전 세 번 희다는 뜻으로, 납일 전에 세 번 이상 눈이 내리면 그해 농사가 풍년이 들 징조라는 풍속(風俗).字意() 납일{冬至 후 제3 未日}에 큰 사냥감을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인 납향(臘享)의 의미에서 후에 섣달의 의미로 확대됨. () 본래 사람 발[]이 배[] 앞에 있는 모양에서 앞서다는 의미 생성. ‘()’부수는 자형에 따른 분류. () 가로 그은 획 세 개로 이라는 상징의 표현을 함. () 엄지손톱의 흰 것에서 희다는 의미를 생성함. ‘()’과 구별을 위해 을 첨가함.

[3065] - [추가 104] 浪 說 藉 藉 (낭설자자)한자물결 랑 / 말씀 설 / 깔개 자 / 깔개 자의미터무니없는 말이 퍼지다는 뜻으로, 헛된 소문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참고】▶ 藉藉 :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모양.字意() 물결이 이는 것에서 파도나 물결의 의미인데, 후에 '떠돌아다닌다''함부로' 등의 의미 파생. () 자세히 풀어서 하는 이야기의 성격. / ()기쁘다 / ()달래다. () 받침 역할의 깔개의 의미에서 후에 어수선하다낭자하다빙자하다는 의미 파생.

[3066] - [추가 105] 狼 子 野 心 (낭자야심)한자이리 랑 / 아들 자 / 들 야 / 마음 심의미이리의 새끼가 들에 마음이 있다는 뜻으로, 이리의 새끼가 늘 산야에 마음이 있어 길들일 수 없듯이, 흉포하여 교화시킬 수 없는 사람을 비유하거나, 신의가 없고 엉큼한 심보를 이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참고】▶ 野心 : 본래 복종하지 않는 마음의 의미인데, 후에 무리하거나 야비한 욕심이나, 남 몰래 품은 소망 등으로 확대됨.字意() 산짐승인 이리의 의미. 사는 동굴의 어지러움으로 인해 '어수선하다'는 의미 파생. () 강보에 쌓인 어린 아이를 본뜬 글자임. 강보에 쌓여 있기 때문에 다리가 하나로 표현됨. () 밭 주변의 들판의 의미에서 후에 거칠다등의 의미 파생.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에는 사람의 뇌에서 지각하는 개념을 모두 심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인식해 마음의 의미로 활용됨.납전삼백, 낭설자자, 낭자야심 - 교본파일(1022[추가35])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67(106)] 內 省 不 疚 (내성불구)한자안 내 / 살필 성 / 아니 불 / 괴로울 구의미안으로 반성하여 부끄러움이 없다는 뜻으로, 마음속에 조금도 부끄러울 것이 없어 마음이 결백하다는 의미.字意() 특정 공간으로 들어간다[]는 의미를 표시한 글자로, 후에 이라는 의미 생성. () 작은 것을 상세히 살펴본다는 의미에서 살피다는 뜻 생성. 작게 줄인다는 의미에서 덜다는 뜻도 파생. () 오래도록 병을 앓다는 의미에서 양심에 가책을 느낀다꺼림하다파생.

[3068] - [추가 107] 來 者 可 追 (내자가추)한자올 래 / 놈 자 / 가할 가 / 쫓을 추의미오는 것은 추구할 수 있다는 뜻으로, 지나간 일은 어찌할 도리(道理)가 없지만 장차 다가올 일은 조심하여 이전과 같은 과실을 범하지 않는다는 의미.字意() 본래 '보리이삭'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모양을 빌려 '오다'는 의미를 생성함. '보리'는 별도의 '()'자를 만듦. () 본래 불을 태워 제사지내는 모습이었으나, 후에 대명사로 전용됨. 불완전 명사의 의미로 활용됨. () 입 안에서 큰 소리를 내는 것에서 좋다가능(可能) 의미 파생. () 달린다는 의미의 ''받침. 부수에 오른쪽 모양은 고대 군사들의 집결지 모양. 군사들의 행동을 표현해서 '쫓다'는 의미 생성

[3069] - [추가 108] 路 柳 墻 花 (노류장화)한자길 로 / 버드나무 류 / 담장 장 꽃 화의미길가의 버드나무와 담장의 꽃이라는 뜻으로, 누구라도 꺾을 수 있는 버드나무나 꽃 같은 창부(娼婦)를 의미.字意() 각각이 서로 발로 움직여 옮겨서 가는 의 의미. () 바람에 흔들거리는 버드나무의 의미. ()는 발음 요소. () 흙으로 만든 의 의미. 나무 조각으로 만든 의 의미인 ()’과 동자(同字). () 꽃이 발화하는 의미에서 변하다는 의미의 ()’를 넣었는데, ‘는 발음으로도 사용됨.내성불구, 내자가추, 노류장화 - 교본파일(1023[추가36])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070] - [추가 109] 弩 末 之 勢 (노말지세)한자쇠뇌 노 / 끝 말 / 어조사 지 / 형세 세의미큰 활 끝의 힘이란 뜻으로, 쇠뇌를 끝까지 당겨서 큰 힘을 쏟아낼 수 있는 형세처럼 걷잡을 수 없이 튕겨 나오는 세력(勢力)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字意() 용수철 장치가 있는 쇠뇌의 의미. ‘()’는 발음 역할. () 나무의 위에 표시를 해서 뿌리의 의미인 ()’의 반대 개념으로 의 의미 생성. () 힘의 세기, 기력에서 확대되어 권세(權勢), 남자 성기 '불알'의미까지 파생. 去勢(거세

'이야기한자성어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한자성어1331-1370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뉴3101-3130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뉴3071-3100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뉴3001-3030  (0) 2013.02.12
이야기한자성어뉴2962-3000  (0)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