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도덕경-58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3 도덕경-58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3 그런데 사실 나는 물리학(物理學)의 세계를 잘 모른다. 고등학교 다닐 때까지 나는 '물리' 혹은 생물'과목이란 말만 들어도 머리가 띵해지고, 가슴이 답답해 지는 게, 도대체가 그 내용들이 내게는 그저 어렵고,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도덕경-59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4 도덕경-59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4 내가 교직(敎職)에 있을 때의 일이다. 정심시간이 막 지난 5교시 수업을 할 때였는데, 나른한 봄날 오후였기에 수업을 하다 보면, 여기 저기서 쏟아지는 졸음을 견디다 못해 아에 책상에 엎드려 자는 학생들이 몇 있다. 그러면 대개는 수업을 하다 말고 ..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추천의 글-철학박사 이 완 재 추천의 글 이 책의 저자인 김기태와 나의 인연은 깊다. 그가 영남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면서 부터 우리의 인연은 시작되었다. 즉 나와 사제(師弟)의 인연이 맺어진 것이다. 그때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와 나는 늘 가까운 사이로 지내왔다. 가정적으로 불우하여 부정(父情)에 목말라 ..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도덕경-57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2 도덕경-57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2 뜻풀이 텅 밈에 이르기를 지극히 하고, 고요함을 지키기를 돈독히 하면(致虛極 守靜篤)...... 다시 말하면 '허정하면' 곧 '우리의 마음이 텅 비고 고요하면'이라는 말이다. 이는 또한 '우리의 분별심이 내려지면 '이라는 말인데, 그러면 만물이 무성하게 ..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도덕경-56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 도덕경-56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 제16장 불확정성의 원리 致虛極 守靜篤 (치허극 수정독) 萬物竝作 吾以觀復 (만물병작 오이관복) 夫物芸芸 各復歸其根 (부물운운 각복귀기근) 歸根曰靜 是謂復命 (귀근왈정 시위복명) 復命曰常 知常曰明 (복명왈상 지상왈명) 不知常 妄作凶 (불지상 망작..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도덕경-55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6 도덕경-55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6 그리고 통나무를 쪼개고 다듬어 무언가를 만들면, 때깔도 나고 또한 여러가지로 요긴하게 쓰이게도 되지만, 아직 다듬지도, 쪼개지도 않은 통나무라, 그 것은 말하자면 아직 그 무엇으로도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고, 모호하고, 불분명하여, 아무..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도덕경-54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5 도덕경-54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5 내가 이 장(章)을 뚯풀이 하기 전에 '미운아기오리' 이야기 부터 먼저 한것은 두 얘기가 너무나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이 장(章)이 너무나 따뜻하다. 옛날에 도(道)를 잘 닦은 사람은 미묘현통하여 그 깊이..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도덕경-53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4 도덕경-53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4 이것이 내가 조금 각색해 본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 이다. 나는 이 이야기를 통해 그리고 '미운 아기오리'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몇 가지 점들을 통하여 우리 자신을 조금 돌아보고 싶었다. 그런데 그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우리들이 갖고..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도덕경-52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3 도덕경-52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3 그 고통과 자기 환멸 그리고 깊디깊은 절망감 속에서 '미운 아기 오리'는 또한 얼마나 '온전한 오리'가 되고 싶어 안달했으며, 얼마나 그것을 위해 몸부림 쳤는가! 오리처럼 몸집을 작게 하여 그들과 같이 되어 보려고 얼마나 자주 단식(斷食)했으.. 도덕경 2013.05.06
[스크랩] 도덕경-51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2 도덕경-51 제15장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2 뜻풀이 안데르센의 동화집에 보면 '미운 아기오리 이야기'가 나온다.우리 대부분은 이미 그 이야기를 알고 있지만 이제조금 각도를 달리하여 그 얘기를 다시 한 번 해보자. 어찌된 영문인지 모르지만 백조알 하나가 이제 막 부화(孵化)를 기다리.. 도덕경 2013.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