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손자병법-143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43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夫惟無慮而易敵者, 必擒於人. 부유무려이이적자, 필금어인. 아무런 고려없이 적을 쉽게 보는 자는, 필히 사로잡힐 것이다.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42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42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兵怒而相迎, 久而不合, 又不相去, 必謹察之. 兵非益多也, 惟無武進, 足以倂力料敵, 取人而已. 병노이상영, 구이불합, 우불상거, 필근찰지. 병비익다야, 유무무진, 족이병력료적, 취인이이. 적병의 군영과 대치하던중 오랜 시간이 지나도 적이 싸움..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41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41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數賞者, 窘也 數罰者, 困也. 先暴而後畏其衆者, 不精之至也. 來委謝者, 欲休息也. 삭상자, 군야 삭벌자, 곤야. 선포이후외기중자, 주정지지야. 내위사자, 욕휴식야. 자주 상을 주는 것은 군색하기 때문이다. 자주 벌을 주는 것은 곤궁하기 때문이다. ..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40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40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懸부不返其舍者, 窮寇也. 諄諄翕翕, 徐與人言者, 失衆也. 현부불반기사자, 궁구야. 순순흡흡, 서여인언자, 실중야. 취사도구를 막사로 다시 반입하지 않는것은 궁지에 몰린 것이다. 낮은 소리로 병사들을 서서히 타이르는 것은 병사들에게 인심을 ..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39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39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軍擾者, 將不重也. 旌旗動者, 亂也. 吏怒者, 倦也. 殺馬肉食者, 軍無糧也. 군요자, 장부중야. 정기동자, 난야. 이노자, 권야. 살마육식자, 군무양야. 군영에서 시끄런 소요가 발생하는 것은 장군이 위엄이 없다는 것이다. 깃발이 어지럽게 움직이는 ..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38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38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仗而立者, 飢也. 汲而先飮者, 渴也. 見利而不進者, 勞也. 鳥集者, 虛也. 夜呼者, 恐也. 장이립자, 기야. 급이선음자, 갈야. 견리이부진자, 노야. 조집자, 허야. 야호자, 공야. 적이 지팡이를 의지하고 기립하는 것은 기아에 허덕이는 것이고 급하게 물..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37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37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無約而請和者, 謀也. 奔走而陳兵車者, 期也. 半進半退者, 誘也. 무약이청화자, 모야. 분주이진병거자, 기야. 반진반퇴자, 유야. 약속없이 화친을 청하는것은 음모가 있는 것이다. 분주히 돌아다니며 전차의 진형을 만드는 것은 공격시기를 기다리는..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36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36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辭卑而益備者, 進也. 辭詭而强進驅者, 退也. 輕車先出其側者, 陣也. 사비이익비자, 진야. 사궤이강진구자, 퇴야. 경거선출기측자, 진야. 적군의 언행이 공손하지만 준비를 계속하는 것은 진격할려는 것이다. 적군의 언행이 강하게 진격하려는 것처..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35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35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塵高而銳者 車來也. 卑而廣者, 徒來也. 散而條達者, 樵采也. 少而往來者, 營軍也. 진고이예자 거래야. 비이광자, 도래야. 산이조달자, 초채야. 소이왕래자, 영군야. 먼지같은 분진이 높이 발생하면 전차가 왕래하는 것이다. 먼지가 광대하고 낮게 퍼.. 손자병법 2013.05.11
[스크랩] 손자병법-134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손자병법-134 行軍篇(행군편) 第九(제구) 衆樹動者, 來也. 衆草多障者, 疑也. 鳥起者, 伏也. 獸駭者, 覆也. 중수동자, 래야. 중초다장자, 의야. 조기자, 복야. 수해자, 복야. 바람없이 나무들이 움직이는 것은 적이 왕래한다는 것이다. 많은 풀들로 장애물을 만들어 놓은것은 의심을 불러 일으.. 손자병법 201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