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第6章 六守[3]- 세 가지 보배, 백성들의 생업 ▶ 第1篇 文韜 第6章 六守[3]- 세 가지 보배, 백성들의 생업 太公曰「人君無以三寶借人,借人則君失其威.」文王曰「敢問三寶.」 태공이 계속하여 말하였다.“인군은 세 가지 보배를 남에게 빌려 주어서는 안됩니다. 남에게 빌려 주면 곧 임금은 그 위력을 잃습니다.”문왕이 말하였..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6章 六守[2]- 인물 감별법 ▶ - 第1篇 文韜 第6章 六守[2]- 인물 감별법 太公曰「富之而觀其無犯;貴之而觀其無驕;付之而觀其無專;使之而觀其無隱; 危之而觀其無恐;事之而觀其無窮.富之而不犯者,仁也;貴之而不驕者,義也; 付之而不轉者,忠也;使之而不隱者,信也;危之而不恐者,勇也;事之而..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6章 六守[1]- 지켜야 할 여섯 가지 덕 ▶ - 第1篇 文韜 第6章 六守[1]- 지켜야 할 여섯 가지 덕 文王問太公曰「君國主民者,其所以失者,何也」太公曰「不謹所與也.人君有六守,三寶」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나라의 임금이며 백성의 주인인 자가 이를 잃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태공이 대답하였다.“더불어 하는 바..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5章 明傳[1]- 나라가 흥하고 망하는 까닭 ▶ 第1篇 文韜 第5章 明傳[1]- 나라가 흥하고 망하는 까닭 文王寢疾五日,召太公望,太子發在側,曰「嗚呼!天將棄予.周之社稷,將以屬汝. 今予欲師至道之言,以明傳之子孫.」 太公曰「王何所問?」文王曰「先聖之道,其所止, 其所起,可得聞乎?」 문왕이 병상에 누운 지 ..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4章 大禮[2]- 군주의 몸가짐 ▶ 第1篇 文韜 第4章 大禮[2]- 군주의 몸가짐 文王曰「主位如何?」太公曰「安徐而靜,柔節先定.善與而不爭,虛心平志,待物以正.」 문왕이 물었다. “임금의 몸가짐은 어떠해야 합니까.” 태공이 대답하였다. “평안하고 찬찬하며, 조용하고 부드러우며, 절제가 있어 먼저 안정되..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4章 大禮[1]- 군주와 신하의 관계 ▶ 第1篇 文韜 第4章 大禮[1]- 군주와 신하의 관계 文王問太公曰「君臣之禮如何?」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임금과 신하의 예는 어떠해야 합니까.” 太公曰「爲上惟臨,爲下惟 .臨而無遠, 而無隱.爲上惟周,爲下惟定.周, 則天也;定,則地也.或天或地,大禮乃成.」 ..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4章 大禮[1]- 군주와 신하의 관계 ▶ 第1篇 文韜 第4章 大禮[1]- 군주와 신하의 관계 文王問太公曰「君臣之禮如何?」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임금과 신하의 예는 어떠해야 합니까.” 太公曰「爲上惟臨,爲下惟 .臨而無遠, 而無隱.爲上惟周,爲下惟定.周, 則天也;定,則地也.或天或地,大禮乃成.」 ..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3章 國務[2]- 백성을 사랑하는 법 ▶ 第1篇 文韜 第3章 國務[2]- 백성을 사랑하는 법 文王曰「敢請釋其故.」 문왕이 물었다.“죄송합니다만. 그 내용을 풀어 설명해 주십시오.” 太公曰「民不失務則利之,農不失時則成之,薄賦斂則與之,儉宮室臺 則樂之, 吏淸不苛擾則喜之,民失其務則害之,農失其時則敗之,..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文韜 第3章 國務[1]- 백성을 사랑하라 ▶ 第1篇 文韜 第3章 國務[1]- 백성을 사랑하라 文王問太公曰「願聞爲國之大務.欲使主尊人安,爲之奈何?」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원컨대 나라 다스리는 데 크게 힘써야 할 일을 들려주십시오. 임금을 존엄하게 하고 백성이 편안하게 하고자 합니다. 그렇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2章 盈虛[2]- 저절로 다스려지는 무위의 정치 ▶ 第1篇 文韜 第2章 盈虛(영허)[2]- 저절로 다스려지는 무위의 정치 文王曰「古之聖賢,可得聞乎?」太公曰「昔者,帝堯之王天下,上世所謂賢君也.」 文王曰「其治如何?」 문왕이 물었다. “옛날 성현들의 이야기를 들려주시겠습니까.” 태공이 대답했다. “옛날 요임금이 천하.. 육도삼락 2013.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