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第2章 盈虛[1]- 나라의 흥망은 하늘에 있지 않다 ▶ 第1篇 文韜 第2章 盈虛(영허)[1]- 나라의 흥망은 하늘에 있지 않다 文王問太公曰「天下熙熙,一盈一虛,一治一亂.所以然者,何也?其君賢不肖不等乎? 其天時變化自然乎?」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이 세상은 넓고 아득하여 한번 흥하면 한번 쇠하고, 한번 잘 다스려지면 한.. 육도삼락 2013.11.04
[스크랩] 第1章 文師[6]- 이익은 나누어라 ▶ 第1篇 文韜 第1章 文師[6]- 이익은 나누어라 文王曰「立斂若何,而天下歸之?」太公曰「天下非一人之天下,乃天下之天下也. 同天下之利者,則得天下;擅天下之利者,則失天下.天有時,地有財,能與人共之者, 仁也;仁之所在,天下歸之.免人之死,救人之患,濟人之急者.. 육도삼락 2013.11.01
[스크랩] 第1章 文師[5]- 녹으로 인재를 부른다 ▶ 第1篇 文韜 第1章 文師[5]- 녹으로 인재를 부른다 太公曰「緡微餌明,小魚食之;緡調餌香,中魚食之;緡隆餌 ,大魚食之.夫魚食其餌, 乃牽於緡;人食其祿,乃服於君.故以餌取魚,魚可殺;以祿取人,人可竭;以家取國, 國可拔;以國取天下,天下可畢.嗚呼!曼曼綿綿.. 육도삼락 2013.11.01
[스크랩] 文韜 第1章 文師[4]- 마음이 화합해야 일을 이룩한다 ▶ 第1篇 文韜 第1章 文師[4]- 마음이 화합해야 일을 이룩한다 文王曰「願聞其情.」太公曰「源深而水流,水流而魚生之,情也;根深而木長, 木長而實生之,情也;君子情同而親合,親合而事生之,情也.言語應對者,情之飾也;至情者,事之極也.今臣言至情不諱,君其惡之乎.. 육도삼락 2013.11.01
[스크랩] 文韜 第1章 文師[3]- 낚시와 인재의 등용 ▶ 第1篇 文韜 第1章 文師[3]- 낚시와 인재의 등용 文王曰「何謂其有似也?」 문왕이 말했다.“그 비슷하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입니까.” 太公曰「釣有三權:祿等以權,死等以權,官等以權.夫釣以求得也,其情深, 可以觀大矣.」 태공이 대답하였다. “낚시에는 세 가지 권.. 육도삼락 2013.11.01
[스크랩] 第1章 文師[2]- 군자는 뜻이 이루어짐을 즐긴다 ▶ 第1篇 文韜 第1章 文師[2]- 군자는 뜻이 이루어짐을 즐긴다 文王乃齋三日,乘田車,駕田馬,田於渭陽,卒見太公坐以竿漁.文王勞而問之曰「子樂漁耶?」 문왕은 사흘동안 목욕재계를 한 다음 사냥수레에 사냥용 말을 메고 위수의 양지쪽으로 사냥을 나갔다.그곳에서 태공이 띠.. 육도삼락 2013.11.01
[스크랩] 第1篇 文韜 第1章 文師,1-하늘이 스승을 보내다 ▶ 第1篇 文韜 第1章 文師[1]- 하늘이 스승을 보내다 文王將田,史編布卜曰「田於渭陽,將大得焉.非龍非 ,非虎非 ,兆得公侯, 天遺汝師.以之佐昌,施及三王」 어느날 문왕이 사냥을 나가려고 하였다. 사관인 편이 점을 쳐보고 말했다. “위수의 양지에서 사냥을 하시면 큰 것.. 육도삼락 2013.11.01
[스크랩] ▣ 낚시에 숨은 이치 /▣ 情(정)이란 무엇인가 ▣ 낚시에 숨은 이치 文王曰 何謂其有似也(문왕왈 하위기유사야): 문왕이 말하기를 낚시 놓는 것과 흡사하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太公曰 釣有三權(태공왈 조유삼권): 태공이 말하기를 낚시에는 세 가지 뜻이 있나이다 祿等以權(녹등이권): 녹을 주는 것은 여러 분야의 인재를 .. 육도삼락 2013.11.01
[스크랩] 六韜(육도). 三略(삼략) ◐ 六韜(육도). 三略(삼략) ◆ 육도는 * 문도(文稻): 위정자(爲政者)가 국민을 문화적으로 다스리는 방법을 논한 것 무도(武稻): 통치자가 적국을 정(征)할 때 통치자로서 시행해야 할 사항을 논한 것 용도(龍稻): 주로 통치자에게 필요한 정략과 군략을 첨가한 병법을 논한 것 호도(虎稻): 호.. 육도삼락 2013.11.01
[스크랩] 육도삼략(六韜三略)-중국 고대 병서의 최고봉인 무경칠서(武經七書) 육도삼략(六韜三略) 육도삼략(六韜三略)이란 육도(六韜)와 삼략(三略)을 묶어 부르는 말로 도략(韜略)이라고도 한다. 육도와 삼략은 중국 고대 병서의 최고봉인 무경칠서(武經七書) 중의 둘이다. 무경칠서란 주나라 손무가 쓴 손자, 전국시대 오기의 오자, 제나라 사마양저의 사마법, 주나.. 육도삼락 201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