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10章 擧賢[3]- 어진 이를 쓰려면,第11章 賞罰[1]- 신상필벌 ▶ 第1篇 文韜 第10章 擧賢[3]- 어진 이를 쓰려면 文王曰「擧賢奈何?」太公曰「將相分職,而各以官名擧人.按名察實,選才考能, 令實當其能,名當其實,則得擧賢之道也.」 문왕이 물었다.“어진 이를 들어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태공이 대답하였다.“장군과 재상은 그 ..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10章 擧賢[2]- 남의 말에 따라 등용하지 마라 ▶ 第1篇 文韜 第10章 擧賢[2]- 남의 말에 따라 등용하지 마라 文王曰「何如?」太公曰「君以世俗之所譽者爲賢,以世俗之所毁者爲不肖;則多黨者進, 少黨者退.若是則群邪比周而蔽賢,忠臣死於無罪,姦臣以虛譽取爵位.是以世亂愈甚, 則國不免於危亡.」 문왕이 물었다.“어..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10章 擧賢[1]- 눈이 어두우면 인재를 몰라본다 ▶ 第1篇 文韜 第10章 擧賢[1]- 눈이 어두우면 인재를 몰라본다 文王問太公曰「君務擧賢,而不能獲其功,世亂愈甚,以致危亡者,何也?」太公曰 「擧賢而不用,是有擧賢之名,而無用賢之實也.」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군왕이 어진 이를 등용하려 힘써도 그 공을 얻을 수 없으..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9章 上賢[5]- 모습은 보이되 감정은 숨겨라 ▶ 第1篇 文韜 第9章 上賢[5]- 모습은 보이되 감정은 숨겨라 夫王者之道,如龍首,高居而遠望,深視而審聽;神其形,散其情.若天之高, 不可極也;若淵之深,不可測也.故可怒而不怒,奸臣乃作;可殺而不殺, 大賊乃發;兵勢不行,敵國乃强.」 “대저 왕자의 도는 용의 머리..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9章 上賢[4]- 충간하지 않는 자는 신하가 아니다 ▶ 第1篇 文韜 第9章 上賢[4]- 충간하지 않는 자는 신하가 아니다 故民不盡力,非吾民也;士不誠信,非吾士也;臣不忠諫,非吾臣也;吏不平潔愛人, 非吾吏也;相不能富國强兵,調和陰陽,以安萬乘之主,正群臣,定名實,明賞罰, 樂萬民,非吾相也. “그러므로 백성으로써 힘..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9章 上賢[3]- 일곱 가지 해 ▶ 第1篇 文韜 第9章 上賢[3]- 일곱 가지 해 七害者:一曰:無智略權謀,而重賞尊爵之.故强勇輕戰,僥倖於外,王者謹勿使爲將. “일곱 가지 해로움이라는 것은 첫째로, 지략이나 권모가 없는데도 그에게 상을 후히 내리고 벼슬을 높이 주는 일입니다. 이렇게 하게 되면 강하고 용..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9章 上賢[2]- 여섯 가지 적 ▶ 第1篇 文韜 第9章 上賢[2]- 여섯 가지 적 文王曰「願聞其道.」 太公曰「夫六賊者:一曰:臣有大作宮室池 ,遊觀倡樂者,傷王之德. 문왕이 말했다.“원하건대, 그 도리를 들려주십시오.” 태공이 말하였다.“여섯 적이라 하는 것은 첫째로, 신하로서 크고 호화로운 저택에 연못..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9章 上賢[1]- 성실을 취하고 거짓을 버려라 ▶ 第1篇 文韜 第9章 上賢[1]- 성실을 취하고 거짓을 버려라 文王問太公曰「王人者,何上何下?何取何去?何禁何止?」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백성의 임금으로서 누구를 위로 모시고 누구를 아래로 하며, 무엇을 취하고 무엇을 버리며, 어떤 것을 금하고 어떤 것을 그치도록 해야..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8章 守國[1]- 국가를 보호하고 지키는 일 ▶ 第1篇 文韜 第8章 守國[1]- 국가를 보호하고 지키는 일 文王問太公曰「守國奈何?」太公曰「齋.將語君天地之經,四時所生,仁聖之道,民機之情.」王齋七日,北面再拜而問之.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나라는 어떻게 지켜야 합니까.” 태공이 대답하였다.“재계하십시오. .. 육도삼락 2013.11.06
[스크랩] 第7章 守土[1]- 권력은 빌려주면 잃는다 ▶ 第1篇 文韜 第7章 守土[1]- 권력은 빌려주면 잃는다 文王問太公曰「守土奈何?」 문왕이 태공에게 물었다.“강토를 지키려면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太公曰「無疏其親,無怠其衆,撫其左右,御其四旁.無借人國柄;借人國柄,則失其權. 無掘壑而附丘,無舍本而治末.日中必.. 육도삼락 201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