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5편 가락4장(假樂四章)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5편 가락4장(假樂四章)] (1장)假樂君子ㅣ여 顯顯令德이로다 宜民宜人이라 受祿于天이어늘 保右命之하시고 自天申之샷다 (가락군자(칙)ㅣ여 현현영덕이로다 의민의인이라 수록우천(친)이어늘 보우명지하시고 자천신지샷다 賦也ㅣ라) 아름답고 즐거운 ..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4편 부예5장(鳧?五章)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4편 부예5장(鳧鷖五章)] (1장)鳧鷖在涇이어늘 公尸來燕來寧이로다 爾酒旣淸하며 爾殽旣馨이어늘 公尸燕飮하니 福祿來成이로다 (부예재경이어늘 공시래연래녕이로다 이주기청하며 이효기형이어늘 공시연음하니 복록래성이로다 興也ㅣ라) ..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3편 기취8장(旣醉八章)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3편 기취8장(旣醉八章)] (1장)旣醉以酒ㅣ오 旣飽以德호니 君子萬年에 介爾景福이로다 (기취이주ㅣ오 기포이덕호니 군자만년에 개이경복이로다 賦也ㅣ라) 이미 술에 취했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가 만년토록 네 큰 복을 크게 하리로다. ○賦也ㅣ라 ..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2편 행위4장(行葦四章)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2편 행위4장(行葦四章)] (1장)敦彼行葦를 牛羊勿踐履면 方苞方體하야 維葉泥泥리라 戚戚兄弟를 莫遠具爾면 或肆之筵이며 或授之几리라 (단피행위를 우양물천리면 방포방체하야 유엽이이리라 척척형제를 막원구이면 혹사지연이며 혹수지궤리라 ..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1편 생민8장(生民八章) 生民之什 三之二 [대아(大雅) / 생민지십(生民之什) 제1편 생민8장(生民八章)] (1장)厥初生民이 時維姜嫄이시니 生民如何오 克禋克祀하사 以弗無子하시고 履帝武敏하사 歆攸介攸止하사 載震載夙하사 載生載育하시니 時維后稷이시니라 (궐초생민이 시유강원이시니 생민여하오 극인극..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10편 문왕유성8장(文王有聲八章)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10편 문왕유성8장(文王有聲八章)] (1장)文王有聲이 遹駿有聲이샷다 遹求厥寧하사 遹觀厥成하시니 文王烝哉샷다 (문왕유성이 휼준유성이샷다 휼구궐녕하사 휼관궐성하시니 문왕증재샷다 賦也ㅣ라) 문왕이 명성을 두심이 마침내 크게 명성..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9편 하무6장(下武六章)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9편 하무6장(下武六章)] (1장)下武維周에 世有哲王이샷다 三后在天이어시늘 王配于京이샷다 (하무유주에 세유철왕이샷다 삼후재천이어시늘 왕배우경이샷다 賦也ㅣ라) 무왕의 아래로 주나라에 세대로 밝은 임금이 있으셨다. 세 임금이 하늘에 계시거..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8편 영대4장(靈臺四章)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8편 영대4장(靈臺四章)] (1장)經始靈臺하야 經之營之하시니 庶民攻之라 不日成之로다 經始勿亟하시나 庶民子來로다 (경시영대하야 경지영지하시니 서민공지라 불일성지로다 경시물극하시나 서민자래(익)로다 賦也ㅣ라) 영대를 경영하여 비로소 ..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7편 황의8장(皇矣八章)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7편 황의8장(皇矣八章)] (1장)皇矣上帝ㅣ 臨下有赫하사 監觀四方하사 求民之莫이시니 維此二國이 其政不獲일새 維彼四國에 爰究爰度하시니 上帝耆之는 憎其式廓이라 乃眷西顧하사 此維與宅하시니라 (황의상제ㅣ 임하유혁하사 감관사방하사 구민지막.. 『시경』 2012.06.29
[스크랩]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6편 사재5장(思齊五章)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6편 사재5장(思齊五章)] (1장)思齊大任이 文王之母ㅣ시니 思媚周姜하사 京室之婦ㅣ러시니 大姒嗣徽音하시니 則百斯男이샷다 (사재태임이 문왕지모ㅣ시니 사미주강하사 경실지부ㅣ러시니 태사사휘음하시니 즉백사남(님)이샷다 賦也ㅣ라) 엄숙한 .. 『시경』 2012.06.29